본 연구는 기업 및 조직에 재직 중에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고용관계특성과 직무관련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스마트워크환경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인적 자원관리 및 조직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972311
아산 :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21
학위논문(박사) --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 벤처경영학과 벤처경영전공 , 2021.8
2021
한국어
658.4 판사항(23)
충청남도
vi, 157 p. : 삽화, 표 ; 26 cm
호서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부록: 설문지
지도교수: 정찬구
참고문헌: p. 119-150
I804:44018-20000050860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업 및 조직에 재직 중에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고용관계특성과 직무관련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스마트워크환경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인적 자원관리 및 조직성...
본 연구는 기업 및 조직에 재직 중에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고용관계특성과 직무관련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스마트워크환경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인적 자원관리 및 조직성과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첫째, 고용관계특성, 직무관련요인, 직무만족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기업이 직무만족을 이끌어내기 위해 어떠한 변수를 개선 및 강화할 것인지에 대한 분석의 틀을 제시하고 궁극적으로는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어떤 정책을 실시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고용관계특성과 직무관련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스마트워크환경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서 최근 COVID-19로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스마트워크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서 향후 기업이 조직의 생산성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선행지표인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워크환경을 왜 구축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관계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 기존 대부분의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는 고용관계특성의 하위변수 고용보장성, 보상공정성, 동료관계, 참여기회 중 보상공정성만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이처럼 기존 선행연구와 다른 결과가 나온 부분에 대해서는 우선 기존 선행연구처럼 연구대상이 특정 집단이 아니라 산업 전반에 재직 중에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점과 기존 선행연구가 고용관계특성의 4개 하위변수와 직무만족 간의 연구가 대부분이라면 본 연구는 Locke(1976)과 Spector(1985)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고려하여 직무자율성, LMX, 워라밸, 프로티언경력 등 추가 변수을 투입하여 기존 고용관계특성의 하위변수들과 직무만족 간의 영향 관계 정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추가로 투입된 독립변수인 직무관련요인의 하위변수 중 직무자율성, LMX, 프로티언경력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기존연구에서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워라밸이 직무만족에 유의하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은 다소 의외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본 연구가 진행된 시점이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정부정책으로 인한 전통적인 직장생활이 아닌 스마트워크환경이 많이 적용된 업무환경으로 인해 기존의 워라밸과 직무만족 간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음을 암시한다.
셋째, 고용관계특성, 직무관련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스마트워크환경의 조절효과에 대해서 검증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고용관계특성 중 하위변수로 고용보장성만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스마트워크환경의 조절효과를 확인했으며, 나머지 하위변수에서는 유의성 있는 조절효과를 확인하지 못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