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의 특화된 디자인 방향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740132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11.4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 study on specialized design direction for green public facilities

      • 형태사항

        v, 110 p.: 삽화,표; 30 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노승완
        참고문헌 : p.86-8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최근 우리나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사용자 조사를 통하여 개선방향을 마련하고, 공공시설물 가이드라인에서 신재생에너지 측면을 강화할 수 있는 특화된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나라는 2006년 11월 공공디자인에 관한 종합계획의 수립시행 및 공공디자인에 관한 법률이 제정발의 되면서 공공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그 결과 행정부처와 자치단체별 공공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이 제정되었다. 서울을 비롯한 7개의 광역자치단체에서는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공공시설물 설치 및 유지관리에 기본 지침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실제 디자인에 활용하고 있다. 이는 도시경쟁력 제고 및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인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볼 수 있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은 디자인의 가이드라인 적용이 불분명하거나 지켜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일부 공공시설물에서는 지나치게 장식적인 디자인과 은유적인 디자인도 있으며, 도시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하지 않은 일회성 디자인과 진지한 고려 없이 추진되고 있는 디자인도 있다. 현재 우리나라 공공 디자인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사례는 현재 공공시설물의 가이드라인에서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디자인에서 일부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시설물의 분류 및 특징을 조사하고, 신재생에너지의 종류를 알아본 후, 국내에서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의 사례를 조사하여 국내외 에너지 정책과의 관계를 종합하여 사용자 조사를 통한 시민의 의견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의 특화된 디자인방향을 정리하였다.

      첫 번째,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의 사용자 중심으로 특화된 5가지 방향
      1. 신재생에너지 이용의 보편화의 방향
      2. 태양광 및 풍력 발전부의 계획화 방향
      3. 에너지 소비 등급 가시화의 방향
      4. 기능중심의 조형을 따르는 기능적 방향
      5. 디자인적 친밀감을 주는 조형적 방향

      두 번째, 기존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5가지 개선방향
      1. 계획적 공공디자인에 의한 디자인 방향
      2. 유지관리 측면에서의 영속적 방향
      3. 자치단체 정체성 표현의 방향
      4. 도시경관의 영속성을 위한 방향
      5. 단순성과 결합성의 완성도 높은 디자인 방향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가 적용된 공공시설물의 디자인방향이 도시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조화롭게 존재할 수 있도록 공공시설물의 디자인지침 및 관리자료를 마련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최근 우리나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사용자 조사를 통하여 개선방향을 마련하고, 공공시설물 가이드라인에서 신재생에너지 측...

      본 논문은 최근 우리나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사용자 조사를 통하여 개선방향을 마련하고, 공공시설물 가이드라인에서 신재생에너지 측면을 강화할 수 있는 특화된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나라는 2006년 11월 공공디자인에 관한 종합계획의 수립시행 및 공공디자인에 관한 법률이 제정발의 되면서 공공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그 결과 행정부처와 자치단체별 공공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이 제정되었다. 서울을 비롯한 7개의 광역자치단체에서는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공공시설물 설치 및 유지관리에 기본 지침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실제 디자인에 활용하고 있다. 이는 도시경쟁력 제고 및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인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볼 수 있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은 디자인의 가이드라인 적용이 불분명하거나 지켜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일부 공공시설물에서는 지나치게 장식적인 디자인과 은유적인 디자인도 있으며, 도시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하지 않은 일회성 디자인과 진지한 고려 없이 추진되고 있는 디자인도 있다. 현재 우리나라 공공 디자인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사례는 현재 공공시설물의 가이드라인에서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디자인에서 일부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시설물의 분류 및 특징을 조사하고, 신재생에너지의 종류를 알아본 후, 국내에서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의 사례를 조사하여 국내외 에너지 정책과의 관계를 종합하여 사용자 조사를 통한 시민의 의견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의 특화된 디자인방향을 정리하였다.

      첫 번째,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의 사용자 중심으로 특화된 5가지 방향
      1. 신재생에너지 이용의 보편화의 방향
      2. 태양광 및 풍력 발전부의 계획화 방향
      3. 에너지 소비 등급 가시화의 방향
      4. 기능중심의 조형을 따르는 기능적 방향
      5. 디자인적 친밀감을 주는 조형적 방향

      두 번째, 기존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5가지 개선방향
      1. 계획적 공공디자인에 의한 디자인 방향
      2. 유지관리 측면에서의 영속적 방향
      3. 자치단체 정체성 표현의 방향
      4. 도시경관의 영속성을 위한 방향
      5. 단순성과 결합성의 완성도 높은 디자인 방향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가 적용된 공공시설물의 디자인방향이 도시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조화롭게 존재할 수 있도록 공공시설물의 디자인지침 및 관리자료를 마련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rough a survey on users, a solution to improve the designs for the public facilities based on green energy (green public facilities) which get more attention in Korea recently, and provide a specialized design direction to emphasize the aspect of green energy.
      The importance of public design has been getting important since the master plan for public design was established and the Public Design Law was put forwarded and enacted on November, 2006. As a result, a public design guideline is enacted by each government department and country council. And 7 metropolitan councils including Seoul are utilizing the public design guideline as a basic instruction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public facilities and applying it in actual designing. This is deemed to be desirable since it is the element that improves the competitiveness as a city and raises the quality of citizen's life.
      However, it is the reality that the guideline is not applied clearly or even not at all in green public facilities. Some public facilities have too decorative or metaphorical designs so that the designs look like simply one-off designs without consideration of harmony with city environment or even without serious consideration on design. Our current level of design for public facilities in Korea is, in reality, inferior to that of the advanced countries. Such cases are supporting the claims that the current design guideline for public facilities has some limit to be applied in green public facilities.
      H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facilities, the kinds of green energies and the cases of green facilities in Korea, and finally summarized the specialized design direction for green public facilities, mainly based on the citizens' opinions through an user surve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relations with the energy polici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First, five design directions specialized for the users of green public facilities
      1. Generalization of utilizing green energy
      2. Planification based on solar and wind power generation
      3. Visualization of energy consumption level
      4. Functionality of architecture focusing on functions
      5. Architectural intimacy in design

      Second, five improvement directions on the existing design guideline
      1. Public design with a master plan
      2. Lastingness in the maintenance aspect
      3. Expression of local government identity
      4. Consistency of city landscape
      5. High perfection of design with simplicity and harmony

      Through this, the specialized design direction for green public facilities has its significance in drawing up an instruction and management manual for the designs of public facilities so that they may coexist harmoniously without spoiling the urban landscape.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rough a survey on users, a solution to improve the designs for the public facilities based on green energy (green public facilities) which get more attention in Korea recently, and provide a specialized design direction t...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rough a survey on users, a solution to improve the designs for the public facilities based on green energy (green public facilities) which get more attention in Korea recently, and provide a specialized design direction to emphasize the aspect of green energy.
      The importance of public design has been getting important since the master plan for public design was established and the Public Design Law was put forwarded and enacted on November, 2006. As a result, a public design guideline is enacted by each government department and country council. And 7 metropolitan councils including Seoul are utilizing the public design guideline as a basic instruction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public facilities and applying it in actual designing. This is deemed to be desirable since it is the element that improves the competitiveness as a city and raises the quality of citizen's life.
      However, it is the reality that the guideline is not applied clearly or even not at all in green public facilities. Some public facilities have too decorative or metaphorical designs so that the designs look like simply one-off designs without consideration of harmony with city environment or even without serious consideration on design. Our current level of design for public facilities in Korea is, in reality, inferior to that of the advanced countries. Such cases are supporting the claims that the current design guideline for public facilities has some limit to be applied in green public facilities.
      H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facilities, the kinds of green energies and the cases of green facilities in Korea, and finally summarized the specialized design direction for green public facilities, mainly based on the citizens' opinions through an user surve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relations with the energy polici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First, five design directions specialized for the users of green public facilities
      1. Generalization of utilizing green energy
      2. Planification based on solar and wind power generation
      3. Visualization of energy consumption level
      4. Functionality of architecture focusing on functions
      5. Architectural intimacy in design

      Second, five improvement directions on the existing design guideline
      1. Public design with a master plan
      2. Lastingness in the maintenance aspect
      3. Expression of local government identity
      4. Consistency of city landscape
      5. High perfection of design with simplicity and harmony

      Through this, the specialized design direction for green public facilities has its significance in drawing up an instruction and management manual for the designs of public facilities so that they may coexist harmoniously without spoiling the urban landscap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Ⅱ. 이론적 배경 5
      • 1. 공공시설물의 분류 및 특징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Ⅱ. 이론적 배경 5
      • 1. 공공시설물의 분류 및 특징 5
      • 1) 공공시설물의 정의 5
      • 2) 공공시설물의 기능별 분류 7
      • 3)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특성 9
      • 2. 신재생에너지의 개념 및 종류 11
      • 1) 신재생에너지의 개념 11
      • 2) 신재생에너지의 종류 13
      • 3.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정책 현황 15
      • 1) 국내 정책 현황 16
      • 2) 해외 정책 현황 16
      • 3) 신재생에너지의 공공시설물 활용 21
      • Ⅲ. 사용자 측면에서의 신재생에너지와 공공시설물 23
      • 1. 공공시설물 사용자 조사 및 분석 23
      • 1) 연구대상의 설정 및 분석방법 23
      • 2) 자료의 분석 26
      • 3) 분석결과의 요약 55
      • 2.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의 특징적 방향 59
      • 1)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중요 항목 59
      • 2)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의 사용자중심 방향 60
      • Ⅳ. 공공시설물 디자인 가이드라인 63
      • 1.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 조사 및 분석 64
      • 1)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 사례조사 64
      • 2)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 디자인 분석 67
      • 2. 자치단체별 공공시설물 가이드라인 현황 69
      • 3. 자치단체별 공공시설물 가이드라인 현황분석 76
      • Ⅴ. 연구분석 80
      • 1.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의 특화된 디자인방향 제시 81
      • 2. 특화된 디자인방향 적용에 따른 기대효과 82
      • Ⅵ. 결 론 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