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럽연합의 보호책임원칙 논의와 인도적 지원 매커니즘: 미얀마 사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85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 세계적으로 재난의 종류가 복잡해지고 다양해짐에 따라 인도적 위기 상황은 심화되고 있다.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유럽연합기관들(European Union Institutions)의 역할은 점차 커지고 있다. 유럽은 국제사회의 인도적 지원 분야에서도 그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동 연구는 유럽연합의 국제사회에 대한 인도주의적 기여를 다음과 같은 두가지 측면에 집중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보호책임원칙(Responsibility to Protect, R2P)에 대한 유럽연합의 논의와 기여에 대해 분석한다. 둘째, 유럽 연합의 인도적 지원(humanitarian assistance) 체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동남아시아 지역 특히 미얀마의 인도적 위기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2008년 미얀마를 덮친 사이클론 나르기스 사태로 촉발된 보호책임 논쟁, 로힝야 사태, 가장 최근인 2021년 2월 군부 쿠데타 등 미얀마의 인도적 위기 상황은 유럽연합뿐 아니라 국제사회에 인도적 위기 대응에 대한 도전 과제를 제공하고 있다.
      번역하기

      전 세계적으로 재난의 종류가 복잡해지고 다양해짐에 따라 인도적 위기 상황은 심화되고 있다.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유럽연합기관들(European Union Institutions)의 역할은 점차 커지고 있다. 유...

      전 세계적으로 재난의 종류가 복잡해지고 다양해짐에 따라 인도적 위기 상황은 심화되고 있다.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유럽연합기관들(European Union Institutions)의 역할은 점차 커지고 있다. 유럽은 국제사회의 인도적 지원 분야에서도 그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동 연구는 유럽연합의 국제사회에 대한 인도주의적 기여를 다음과 같은 두가지 측면에 집중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보호책임원칙(Responsibility to Protect, R2P)에 대한 유럽연합의 논의와 기여에 대해 분석한다. 둘째, 유럽 연합의 인도적 지원(humanitarian assistance) 체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동남아시아 지역 특히 미얀마의 인도적 위기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2008년 미얀마를 덮친 사이클론 나르기스 사태로 촉발된 보호책임 논쟁, 로힝야 사태, 가장 최근인 2021년 2월 군부 쿠데타 등 미얀마의 인도적 위기 상황은 유럽연합뿐 아니라 국제사회에 인도적 위기 대응에 대한 도전 과제를 제공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types of disasters worldwide become more complex and diversified, the humanitarian crisis is intensifying.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and Humanitarian Assistance, the role of Institutions of the European Union becomes crucial.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humanitarian contribution of the European Union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y focusing on the following two aspects. First, the research discusses the contribution of the European Union to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R2P). Second, the paper explores the system and the mechanism of the EU"s humanitarian assistance. The research specifically focuses on humanitarian issues in Southeast Asia with a specific focus on Myanmar. The humanitarian crisis in Myanmar, such as the controversy over R2P sparked by the Cyclone Nargis crisis, struck Myanmar in 2008. Furthermore, the Rohingya crisis and the most recent military coup in February 2021 provide a significant challenge for the European Union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respond to a humanitarian crisis.
      번역하기

      As the types of disasters worldwide become more complex and diversified, the humanitarian crisis is intensifying.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and Humanitarian Assistance, the role of Institutions of the European Union becomes crucial....

      As the types of disasters worldwide become more complex and diversified, the humanitarian crisis is intensifying.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and Humanitarian Assistance, the role of Institutions of the European Union becomes crucial.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humanitarian contribution of the European Union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y focusing on the following two aspects. First, the research discusses the contribution of the European Union to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R2P). Second, the paper explores the system and the mechanism of the EU"s humanitarian assistance. The research specifically focuses on humanitarian issues in Southeast Asia with a specific focus on Myanmar. The humanitarian crisis in Myanmar, such as the controversy over R2P sparked by the Cyclone Nargis crisis, struck Myanmar in 2008. Furthermore, the Rohingya crisis and the most recent military coup in February 2021 provide a significant challenge for the European Union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respond to a humanitarian cris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인도적 위기에 대한 국제사회의 논의
      • Ⅲ. 유럽의 보호책임원칙 논의 및 인도적 지원 체계
      • Ⅳ. 보호책임원칙 논의와 인도적 지원: 미얀마 사례
      • 국문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인도적 위기에 대한 국제사회의 논의
      • Ⅲ. 유럽의 보호책임원칙 논의 및 인도적 지원 체계
      • Ⅳ. 보호책임원칙 논의와 인도적 지원: 미얀마 사례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은하, "인도적 지원의 정의에 관한 소고: 국제기구와 공여국 정부의 인도적 지원 개념을 중심으로" 6 (6): 2014

      2 이용호,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국제인도법의 발전과 한계" 법학연구소 26 (26): 283-321, 2014

      3 대한적십자사, "솔페리노의 회상" 대한적십자사 2009

      4 박지현, "난민, 실향민과 국제인도법에 대한 연구" 36 : 2016

      5 대한적십자사 인도법연구소, "국제인도법이란?"

      6 Twitchett, Kenneth J., "Yaounde Association and the Enlarged European Community" 30 (30): 1974

      7 Ozerdem, Alpaslan,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in natural disasters: antoher excuse for interventionism? Nargis Cyclone, Myanmar" 10 (10): 2010

      8 UNGA-UNSC, "The role of regional and subregional arrangements in implementing the responsibility to protest – Report of the Secretary-General(A/65/877-S/.2011/393)"

      9 Pedersen, Morten B., "The Rohingya Crisis, Myanmar, and R2P ‘Black Holes’" 13 : 2021

      10 Staunton, Egaltine,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norm cluster and the challenge of atrocity prevention : an analysis of the European Union’s strategy in Myanmar" 26 (26): 2020

      1 장은하, "인도적 지원의 정의에 관한 소고: 국제기구와 공여국 정부의 인도적 지원 개념을 중심으로" 6 (6): 2014

      2 이용호,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국제인도법의 발전과 한계" 법학연구소 26 (26): 283-321, 2014

      3 대한적십자사, "솔페리노의 회상" 대한적십자사 2009

      4 박지현, "난민, 실향민과 국제인도법에 대한 연구" 36 : 2016

      5 대한적십자사 인도법연구소, "국제인도법이란?"

      6 Twitchett, Kenneth J., "Yaounde Association and the Enlarged European Community" 30 (30): 1974

      7 Ozerdem, Alpaslan,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in natural disasters: antoher excuse for interventionism? Nargis Cyclone, Myanmar" 10 (10): 2010

      8 UNGA-UNSC, "The role of regional and subregional arrangements in implementing the responsibility to protest – Report of the Secretary-General(A/65/877-S/.2011/393)"

      9 Pedersen, Morten B., "The Rohingya Crisis, Myanmar, and R2P ‘Black Holes’" 13 : 2021

      10 Staunton, Egaltine,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norm cluster and the challenge of atrocity prevention : an analysis of the European Union’s strategy in Myanmar" 26 (26): 2020

      11 Haccke, Jurgen, "The Oxford Handbook of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12 Mennecke, Martin, "The Failur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Apply R2P and Atrocity Prevention in Myanmar" 13 : 2021

      13 Joint Declarations, "The European Consensus on Humanitarian Aid,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14 Smith, Karen E., "The EU and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in an Illiberal Era" Dahrendorf Forum 2018

      15 Cohen, Roberts, "The Burma Cyclone and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Congressional Briefing on Security for a New Century"

      16 Office on Genocide Prevention and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Statement of the Special Adviser of the Secretary-General on the Prevention of Genocide on the situation in Myanmar" UN

      17 The Diplomat, "Should R2P Be Invoked in the case of Myanmar?"

      18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Resolution 60/1: 2005 World Summit Outcome"

      19 Manner, Ian, "Normative power Europe : A contradiction in terms" 40 (40): 2002

      20 De Franco, C, "Living by Example? The European Un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R2P)" 53 (53): 2015

      21 Rieff, David, "Humanitarianism in crisis" 81 (81): 111-121, 2002

      22 Ercan, Pinar Gozen, "How can a ‘Responsible’ European Union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Reponsbility to Protect?" 27 (27): 2019

      23 Development Initiatives, "Global Humanitarian Assistance Report 2020" 2020

      24 Suhrke, Astri, "Filling ‘the Gap’: Lessons Well Learnt by the Multilateral Aid Agencies" Michelsen Institute 2005

      25 Aggestam, Lisbeth, "Ethical Power Europe?" 84 (84): 2008

      26 Elsuwege, Peter Van, "EU Management of Global Emergencies: Legal Framework for Combating Threats and Crises" Brill 2014

      27 Broberg, Morten, "EU Humanitarian Aid after the Lisbon Treaty" 22 (22): 2014

      28 Versluys, Helen, "Depoliticising and Europeanising humanitarian aid: Success or failure?" 9 (9): 2008

      29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Council Decision (CFSP) 2021/639 of 19 April 2021 amending Decision 2013/184/CFSP concerning restrictive measures in view of the situation in Myanmar/Burma, Vol. 64"

      30 Paik, Wooyeal, "Authoritarianism and Humanitarian Aid : Regime Stability and External Relief in China and Myanmar" 24 (24): 2011

      31 Morada, Noel M, "ASEAN and Rakhine Crisis : Balancing Non-interference, Accounability, and Strategic Interests in Responding to Atrocities in Myanmar" 13 :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0.63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