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적 실천으로서 스포츠의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과학 이론들이 적용되어 왔지만 스포츠와 정치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스포츠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38596
2021
Korean
스포츠 ; 축구 ; 정체성 정치 ; 프리미어 리그 ; 스페인 축구 ; Sports ; Football ; Identity Politics ; Premier League ; Spanish Football
KCI등재
학술저널
199-219(2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문화적 실천으로서 스포츠의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과학 이론들이 적용되어 왔지만 스포츠와 정치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스포츠를...
문화적 실천으로서 스포츠의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과학 이론들이 적용되어 왔지만 스포츠와 정치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스포츠를 정치의 수단으로 간주하지만 스포츠와 정치의 관계는 복합적이고 이런 관계는 정체성의 정치 개념을 적용하면 많은 부분 설명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축구는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로 그에 따라서 다양한 층위의 집단 정체성이 투사되어 있어서 정체성의 정치 개념을 적용해서 분석할 수 있는 적절한 스포츠 영역이다. 이 논문은 유럽에서 근대 스포츠로 성립된 축구에 투사된 계급, 지역, 민족 등의 정체성과 그 정체성들의 변화를 추적하면서 축구에 내장된 정치적 함의를 분석하려고 시도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ocial meanings of sports as a cultural practice are analysed through application of divers theories in social sciences. However it seems to be unsuccessful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sports. While most of researches consider...
The social meanings of sports as a cultural practice are analysed through application of divers theories in social sciences. However it seems to be unsuccessful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sports. While most of researches consider sports as political means, their relations are complexe and this complexity can be properly explained by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identity politics. In particular, the football is a suitable area to which the concept of identity politics can be applied, as it is the most popular sports in the world and therefore divers group identities are projected into the football,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identities of class, locality and nation which are articulated to the football from its establishment as a modern sports in Europe and their transformation, and to analyse its political implication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Giulianotti, R., "축구의 사회학" 현실문화연구 2004
2 Foer, F., "축구는 어떻게 세계를 지배했는가" 말글빛냄 2005
3 Heinich, N., "정체성이 아닌 것 – 존재 인식에 대한 자유, 나와 타자에 대한 자유" 산지니 2021
4 송병록, "전쟁, 스포츠 그리고 (국제)정치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20 (20): 53-80, 2017
5 정준영, "월드컵, 신화와 현실" 한울 2002
6 이장영, "월드컵, 신화와 현실" 한울 2002
7 하남길, "영국 축구의 사회사: 사회 계급적 통제와 지배" 한국체육사학회 17 (17): 1-20, 2012
8 정준영, "열광하는 스포츠 은폐된 이데올로기" 책세상 2003
9 양순창, "스포츠의 정치적 상징성과 상징조작 기제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정치학회 43 (43): 53-72, 2003
10 이대희, "스포츠와 정체성의 정치" 21세기정치학회 23 (23): 397-419, 2013
1 Giulianotti, R., "축구의 사회학" 현실문화연구 2004
2 Foer, F., "축구는 어떻게 세계를 지배했는가" 말글빛냄 2005
3 Heinich, N., "정체성이 아닌 것 – 존재 인식에 대한 자유, 나와 타자에 대한 자유" 산지니 2021
4 송병록, "전쟁, 스포츠 그리고 (국제)정치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20 (20): 53-80, 2017
5 정준영, "월드컵, 신화와 현실" 한울 2002
6 이장영, "월드컵, 신화와 현실" 한울 2002
7 하남길, "영국 축구의 사회사: 사회 계급적 통제와 지배" 한국체육사학회 17 (17): 1-20, 2012
8 정준영, "열광하는 스포츠 은폐된 이데올로기" 책세상 2003
9 양순창, "스포츠의 정치적 상징성과 상징조작 기제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정치학회 43 (43): 53-72, 2003
10 이대희, "스포츠와 정체성의 정치" 21세기정치학회 23 (23): 397-419, 2013
11 양은경, "스포츠 선수의 초국적 이동과 유연한 민족정체성의 형성: ‘국가경쟁력으로서의 박지성’에 대한 미디어 담론 분석" 한국언론학회 56 (56): 80-104, 2012
12 임호준, "스페인 프로축구와 지역민족주의 -아뜰레틱 빌바오와 F.C. 바르셀로나를 중심으로-"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2 (22): 37-63, 2011
13 Nixon II, H., "새로운 스포츠 사회학" 백산서당 2002
14 고자카이 도시아키, "민족은 없다" 뿌리와이파리 2003
15 김동원, "문화의 세계화와 전 지구적 수용자 – 유럽 프로축구리그의 전 지구적 확산" 2 (2): 2015
16 정병호, "대중문화로써 스포츠의 정치적 상징에 관한 고찰" 1 (1): 2010
17 Benoit, M., "The politicization of football : the European game and the approach to the Second World War" 9 (9): 2008
18 Nili, S., "The Rules of the Game-Nationalism, Globalisation and Football in Spain : Barça and Bilbao in Comparative Perspective" 23 (23): 2009
19 Dubal, S., "The Neoliberalization of Football : Rethinking Neoliberalism through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Beautiful Game" 45 (45): 2010
20 Poli, R., "The Effects of the Pandemic on the Demography of Players in Europe" CIES 2020
21 Poli, R., "The Denationalization of Sport : Deethnicization of the Nation and Identity Deterritorialization" 10 (10): 2007
22 Coakley, J., "Sports in Society: Issues and Controversies" McGraw-Hill 2009
23 Scambler, G., "Sport and Society: History, Power and Culture" Open Press University 2005
24 Wiarda, H. J., "Political Culture, Political Science and Identity Politics; An Uneasy Alliance" Routledge 2014
25 Carrington, B., "Merely Identity : Cultural Identity and Politics of Sport" 24 (24): 2007
26 Dunning, E., "L'Europe et le sport" IRIS/PUF 2001
27 Nicholson, L., "Identity before Identity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8 Noury, A., "Identity Politics and Populism in Europe" 23 : 2020
29 Bernstein, M., "Identity Politics" 31 : 2005
30 Sonntag, A., "Géopolitique du football" Editions Complexe 1998
31 Maguire, J., "Globalization: Critical Concepts in Sociology (VI)" Routledge 2003
32 Beard, B., "Foreign Ownership of Premier League Clubs"
33 Boniface, P., "Football et géopolitique" 66 : 1999
34 Power, M. J., "Football and politics : the politics of football" 25 : 2020
35 Russell, D., "Football Cultures and Identities" Palgrave Macmillan 1999
36 Cha, V. D., "A Theory of Sport and Politics" 26 (26): 2009
37 Parekh, B., "A New Politics of Identity" Palgrave Macmillan 2008
자유무역협정(FTA)에 포함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조항과 그 배경에 관한 연구: 유럽연합(EU)의 사례
헝가리 권위주의 체제의 가속화에 관한 연구: Covid-19 전후 오르반 정권을 중심으로
유럽연합의 보호책임원칙 논의와 인도적 지원 매커니즘: 미얀마 사례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2 | 0.639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