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소형 아파트 가변형 평면구성을 위한 建築計劃的 要素를 導出해 내는 작업을 중심으로 소규모 집합주거의 계획시 거주자들의 자유로운 생활과 삶의 質을 높이기 위해서 고려해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3620995
서울 : 檀國大學校 産業技術大學院, 1996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 건설공학과 건축계획전공 , 1996. 2
1996
한국어
617.8 판사항(4)
서울
x, 102p. : 삽도 ; 27cm
참고문헌: p. 98-10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소형 아파트 가변형 평면구성을 위한 建築計劃的 要素를 導出해 내는 작업을 중심으로 소규모 집합주거의 계획시 거주자들의 자유로운 생활과 삶의 質을 높이기 위해서 고려해야...
본 논문은 소형 아파트 가변형 평면구성을 위한 建築計劃的 要素를 導出해 내는 작업을 중심으로 소규모 집합주거의 계획시 거주자들의 자유로운 생활과 삶의 質을 높이기 위해서 고려해야 하는 건축계획적 요소들의 내용을 담고 있다.
공동주택의 公共性과 集合性이라는 건축적 특성상 획일적인 평면형으로 고정되어 거주자들의 다양한 住要求에 대한 순응이 어려운 현실에서 본 연구는 설계당시에서 부터 거주자들의 다양한 住生活 변화에 적응가능한 계획요소를 적응하여 住生活 욕구를 해소시킬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目的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험연구와 연구자료중 현실성을 반영하고 연구의 목적과 부합되는 부분을 추출하여 본 연구를 위한 객관적인 기초자료로 선정하였고, 전용면적 85㎡이하를 중심으로 하는 硏究範圍를 가지고 제한적인 집합주거의 평면형에서 적용이 가능한 건축적 가변성(Flexibility)의 요소를 실제사례에 대입시켜 현실과의 적용에 대한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第 2 章 주거현황 및 주요구, 第 3 章 주거공간의 가변성, 第 4 章 가변형 평면구성의 계획요소로 나누여 住要求사항에 대한 건축적 가변성이 어떻게 실제적용이 가능한 요소로 구체화되는지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으며, 건축계획시 실제적용이 가능한 요소를 추출하여 각 부분별로 도식화 작업을 하였다.
먼저, 第 2 章의 주거현황 및 주요구에서 현재 획일적이고 경직된 주거 현황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1) 생활의 단조로움과 생활수준의 質的 저하.
2) 기능에 따른 무계획적인 室의 변용과 변경.
3) 주거의 이동성과 住생활의 불안정한 현상.
이상의 3가지 대표적 항목으로 분류하여 住생활양식과 가족주기에 따른 公, 私的 住要求와 室使用을 고찰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5가지의 대표적인 住요구 사항을 추출하였다.
1) 가족구성원수의 증가에 따른 전용면적의 확대.
2) 가사공간과 수납공간의 협소.
3) 폐쇄적이고 단순한 평면에 대한 불만.
4) 가족단란실로서 공간기능의 미비.
5) 동선을 고려하지 않은 거실배치.
다음 第 3 章의 주거공간의 가변성에서는 건축적 가변성의 추출을 위해 범위를 내적 가변성으로 결정한 후 그 안에서 고정요소, 半고정요소, 非고정요소와 정신 · 문화적 요소, 행위 · 행태적 요소, 건축계획 · 구조 · 설비적 요소로 분류하여 가변성을 적용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모듈라 코디네이션(M.C)설계와 가동비내력벽체의 개념을 반영하는 건축계획요소와 각 부분별 건축적 가변성의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第 4 章 가변형 평면구성의 계획요소에서 제시한 건축적 가변성은 실제로 광범위한 영역과 무수한 계획요소를 가지나 현실에 가장 근접해 있고 실제적용이 손쉬운 소형 아파트 계획의 가변성 요소중 대표적인 것들만을 제시하였으며 미흡하나마 본 연구가 住生活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다양한 住要求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으로서 집합주거의 가변성 요소의 방향과 그 기초작업을 위한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flexible planning elements of the small apartment housing in our country. In the limited space and environmental condition, the life style changes rapidly. The "Flexibility" means changeability, adaptability for the practica...
This Study deals with the flexible planning elements of the small apartment housing in our country. In the limited space and environmental condition, the life style changes rapidly.
The "Flexibility" means changeability, adaptability for the practical needs in the apartment life. The realization of flexibility, the fixed environmental elements should be minimized.
The fixed elements are rigidity form like as structure system, plumbing system, entrance location and unique, traditional life style.
The flow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Ⅰdeals with problems, purpose, method and limit of this study.
Chapter Ⅱ deals with the residence situation, needs of our country apartment housing.
Chapter Ⅲ deals with the concepts and practical methods for the flexibility.
Chapter Ⅳ deals with the flexible planning elements for the practical needs.
Chapter Ⅴ deals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ing the abstract solution for the problems mentioned at Chapter Ⅰ.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roblems of the rigid, uniform apartment housing situations ;
1) Monotony and low quality of life style.
2) Planless change of space usage location and size.
3) Frequency of movement and unsettlement.
2. The representative needs based on life style and life cycle are as follows.
1) Enlargement of net area by the increase of family numbers.
2) Limited area of the utility and storage.
3) Dissatisfaction of the closed and simple plan.
4) Living room layout unconsidered circulation.
3. The adaptive solutions of some problems above mentioned are as follows.
1) Grouping and Seperations of life space.
(public, semi-public, private) (fixed, semi-fixed, non-fixed els.)
2) Minimization of architectural rigidity elements.
3) Being horizontalization of vertical elements.
4) Application of Modular Co-ordination and movable unbearing wall.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