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어과 논증 교육에서 ‘논증 평가하기’를 위한 준거의 재구조화 = Restructuring of Criteria for ‘Evaluating Arguments’ in Argumentation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71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restructure the criteria for evaluating argumentation in argumentation learning. To this end, it analyz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validity evalu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well as those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confirmed the challenges of criteria for evaluating the validity of texts. In addition, to buil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problem-solving, this study reviewed good arguments or criteria for argument in discourses of logic, new rhetoric, pragmatic and dialogue theory, and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result, it concludes that the argumentation evalu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ust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purpose of the argumentative communication act. This paper restructured the criteria for argumentation evaluation into the equipment of argument components, justification of an argumentation, acceptability of the argumentation context, and rationality of communication and presented detailed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criter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restructure the criteria for evaluating argumentation in argumentation learning. To this end, it analyz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validity evalu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15 r...

      This study aimed to restructure the criteria for evaluating argumentation in argumentation learning. To this end, it analyz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validity evalu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well as those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confirmed the challenges of criteria for evaluating the validity of texts. In addition, to buil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problem-solving, this study reviewed good arguments or criteria for argument in discourses of logic, new rhetoric, pragmatic and dialogue theory, and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result, it concludes that the argumentation evalu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ust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purpose of the argumentative communication act. This paper restructured the criteria for argumentation evaluation into the equipment of argument components, justification of an argumentation, acceptability of the argumentation context, and rationality of communication and presented detailed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criter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논증 교육에서 논증의 ‘타당성 평가하기’의 구체적 양상을 분석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논증 평가 준거와 세부 기준을 재구조화하는 데 있다. 우선 문제 제기 차원에서 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국어과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중학교 국어 교과서 9종,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11종에 제시된 텍스트의 타당성 평가하기와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여, 텍스트의 타당성 평가하기에 대한 국어교육적 이해 방식의 특징과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문제 해결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 차원에서, 논증 교육의 학문적 기반이 되는 논리학, 신수사학, 화용·대화론에서 좋은 논증 혹은 논증 평가의 기준을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 선행 담론을 고찰하였다. 국어교육학 연구에서 제안된 논증 텍스트 또는 설득 목적 텍스트에 대한 평가 기준들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육 장면에서 논증 평가하기는 논리의 ‘형식’이 갖추어야 할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논증적 소통 행위’의 ‘목적’을 고려한 ‘적절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접근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논증 평가를 위한 준거를 ‘논증 메시지 구성 요소의 구비’, ‘논증의 정당화 가능성’, ‘논증 맥락에의 수용 가능성’, ‘논증적 소통 방식의 합리성’으로 재구조화하고, 준거별 세부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논증 교육에서 논증의 ‘타당성 평가하기’의 구체적 양상을 분석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논증 평가 준거와 세부 기준을 재구조화하는 데 있다. 우선 문제 제기 차원...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논증 교육에서 논증의 ‘타당성 평가하기’의 구체적 양상을 분석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논증 평가 준거와 세부 기준을 재구조화하는 데 있다. 우선 문제 제기 차원에서 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국어과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중학교 국어 교과서 9종,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11종에 제시된 텍스트의 타당성 평가하기와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여, 텍스트의 타당성 평가하기에 대한 국어교육적 이해 방식의 특징과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문제 해결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 차원에서, 논증 교육의 학문적 기반이 되는 논리학, 신수사학, 화용·대화론에서 좋은 논증 혹은 논증 평가의 기준을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 선행 담론을 고찰하였다. 국어교육학 연구에서 제안된 논증 텍스트 또는 설득 목적 텍스트에 대한 평가 기준들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육 장면에서 논증 평가하기는 논리의 ‘형식’이 갖추어야 할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논증적 소통 행위’의 ‘목적’을 고려한 ‘적절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접근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논증 평가를 위한 준거를 ‘논증 메시지 구성 요소의 구비’, ‘논증의 정당화 가능성’, ‘논증 맥락에의 수용 가능성’, ‘논증적 소통 방식의 합리성’으로 재구조화하고, 준거별 세부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6-2 ㉯" 미래엔 2017

      2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6-2 ㉮" 미래엔 2017

      3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6-1 ㉮" 미래엔 2017

      4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5-2 ㉯" 미래엔 2017

      5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5-1 ㉯" 미래엔 2017

      6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서(Ⅲ)-국어, 도덕, 사회"

      7 류수열, "중학교 국어 3-2" 금성출판사 2020

      8 김진수, "중학교 국어 3-2" 비상교육 2020

      9 이도영, "중학교 국어 3-1" 창비 2020

      10 박영목, "중학교 국어 3-1" 천재교육 2020

      1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6-2 ㉯" 미래엔 2017

      2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6-2 ㉮" 미래엔 2017

      3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6-1 ㉮" 미래엔 2017

      4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5-2 ㉯" 미래엔 2017

      5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5-1 ㉯" 미래엔 2017

      6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서(Ⅲ)-국어, 도덕, 사회"

      7 류수열, "중학교 국어 3-2" 금성출판사 2020

      8 김진수, "중학교 국어 3-2" 비상교육 2020

      9 이도영, "중학교 국어 3-1" 창비 2020

      10 박영목, "중학교 국어 3-1" 천재교육 2020

      11 신유식, "중학교 국어 3-1" 미래엔 2020

      12 류수열, "중학교 국어 2-1" 금성출판사 2019

      13 이삼형, "중학교 국어 1-2" 지학사 2018

      14 이은영, "중학교 국어 1-2" 동아출판사 2018

      15 이도영, "중학교 국어 1-2" 창비 2018

      16 노미숙, "중학교 국어 1-2" 천재교육 2018

      17 김진수, "중학교 국어 1-2" 비상교육 2018

      18 신유식, "중학교 국어 1-1" 미래엔 2018

      19 박영목, "중학교 국어 1-1" 천재교육 2018

      20 류수열, "중학교 국어 1-1" 금성출판사 2018

      21 교육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서-국어, 도덕, 사회"

      22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국어"

      23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국어"

      24 송지언, "작문 교과서의 논설문 수록 양상과개선 방안" 한국어교육학회 (150) : 295-328, 2015

      25 홍종화, "의사소통과 논증" 프랑스학회 (37) : 395-411, 2006

      26 최훈, "오류 연구의 최근 동향" 33-46, 2006

      27 서수현, "쓰기 평가의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28 이재기, "신수사학적 관점에 따른 논증 텍스트 평가 기준" 청람어문교육학회 (46) : 163-192, 2012

      29 양경희 ; 최영인 ; 길호현 ; 박재현, "설득적 의사소통의 교육 내용 개선 방향: 내용 생성 및 조직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since1969) (68) : 89-118, 2018

      30 양경희 ; 박재현, "설득 관련 용어의 교육적 재개념화와 교육 내용 체계화 방안: 논증 요소를 중심으로"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0 (10): 97-124, 2016

      31 서영진, "상호 교섭적 논증 교육의 내용 구성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32 박준호, "비형식 논리학의 논증과 논증 평가 개념" 범한철학회 34 (34): 151-175, 2004

      33 Williams, J. M., "논증의 탄생" 홍문관 2008

      34 민병곤, "논증 교육의 내용 연구 : 6, 8, 10학년 학습자의 작문 및 토론 분석을 바탕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35 원진숙, "논술 평가 기준 설정 연구" 2 : 287-315, 1995

      36 Walton, D., "논리의 숲 논술의 꽃" 베가북스 2008

      37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

      38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39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40 서영진, "국어 교과서 논증 교육 내용의 타당성 고찰 -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논증 방법 파악하며 읽기’ 단원을 중심으로 -" 청람어문교육학회 (88) : 41-80, 2022

      41 서영진, "교과서 토론 담화 텍스트의 적합성 분석—논증 구성 및 상호교섭 양상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49 (49): 295-351, 2014

      42 장성민, "고등학생의 자료 통합적 글쓰기에서 분량에 따른 능숙한 필자와 미숙한 필자의 논증 양상 비교" 국어교육학회 50 (50): 193-233, 2015

      43 교육부,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서"

      44 민현식, "고등학교 국어" 좋은책신사고 2018

      45 박영목, "고등학교 국어" 천재교육 2018

      46 김동환, "고등학교 국어" 교학사 2019

      47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국어"

      48 장성민, "경험적 논거를 활용한 설득적 글쓰기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49 Toulmin, S. E., "The use of argu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8

      50 Perelman. C., "The new rhetoric: A tratise on argumentation" University of Norte Dama Press 1958

      51 Tindale, C. W., "New essays in informal logic" Informal Logic 67-81, 1994

      52 Woods, J., "New essays in informal logic" Informal Logic 82-92, 1994

      53 Eemeren, F. H., "Argumentation, communication, and fallacies a pragma-dialectical perspectiv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2

      54 김서윤, "<과정록(過庭錄)>의 문답 장면을 통해 본 비판적 이해의 준거와 원리" 한국국어교육학회 (119) : 123-153,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