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 입국해서 국적을 취득했던 북한이탈주민 중 한국을 떠나 제3국으로 위장 망명한 재이주자가 약 2000명 정도에 이른다. 이들의 수는 많지 않지만 2019년 기준으로 32,000명 정도인 것...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68900
2019
-
북한이탈주민 ; 지원정책 ; 정치인식 ; 남한주민 ; 친근감 ; 대한민국 수용 ; 북한에 대한 인식 ; 북한사회 인식 ; 북한관련 경험 ; 경제적 손실 ; North Korean defectors ; remigration ; support from the government ; feelings of closeness ; political attitude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41-65(25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한민국에 입국해서 국적을 취득했던 북한이탈주민 중 한국을 떠나 제3국으로 위장 망명한 재이주자가 약 2000명 정도에 이른다. 이들의 수는 많지 않지만 2019년 기준으로 32,000명 정도인 것...
대한민국에 입국해서 국적을 취득했던 북한이탈주민 중 한국을 떠나 제3국으로 위장 망명한 재이주자가 약 2000명 정도에 이른다. 이들의 수는 많지 않지만 2019년 기준으로 32,000명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소수의 문제라고 간과하고 넘어갈 수 없다. 더욱이 남한과 북한 주민이 남북한의 화해와 교류협력 증진, 통합, 통일에 이르는 과정에서 하나의 공동체를 구성하는 것까지 고려해야 한다면 당연히 필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한으로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이 한국을 떠나 제3국으로 재이주하는 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제도적 차원에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부의 정책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했다. 분석결과 정부의 정책이 북한이탈주민의 적응과 정착에 완전하지는 않지만, 생각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의 제3국행을 제도의 미비만으로 판단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본 연구는 제도이외에 북한이탈주민과 남한 주민의 관계가 남한 정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고, 남한 주민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 중 정치적 인식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우선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은 서로에게 느끼는 친근감의 온도차가 생각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한주민들이 북한에 대해 더 많이 접촉하고 북한사회를 알아갈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친근감이 높고, 남한 사회 수용여부에도 긍정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남한주민들이 북한이탈주민으로 인해 경제적 손실이 있다고 인식하는 경우에 북한이탈주민 수용에 부정적이라는 것도 나타났다.
결국 북한이탈주민의 적응과 남한주민과의 경계 허물기는 정부와 민간단체의 보호 및 지원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남한 주민이 적극적으로 북한에 대해 알아가고, 이를 통해 관계를 개선해 통합하는 과정이 절실히 필요한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mong the North Korean defectors who entered the Republic of Korea and acquired nationality, about 2,000 people have left South Korea and moved to third countries disguised as asylum seekers. Although the number is not large, considering that the numb...
Among the North Korean defectors who entered the Republic of Korea and acquired nationality, about 2,000 people have left South Korea and moved to third countries disguised as asylum seekers. Although the number is not large, considering that the number of those North Korean defectors is about 32,000 as of 2019, it cannot be overlooked as a small number. Furthermore, it is a matter of course to be looked at if the people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to consider forming a community in the process of reconciliation, increased exchanges and cooperation, integration, and eventually to accomplish th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henomenon of North Korean defectors leaving South Korea and relocating to a third country. It examin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y on North Korean defectors at institutional lev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olicy of the government is not perfect but shows a higher satisfaction of the defectors than expected in terms of the adaptation and settlement in the South. Therefore, it is insufficient to judge the remigration of the defectors to third nations only by insufficient support in the system.
This study assum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uth Koreans would affect the settlement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and analyzes the political perceptions in the attitude of the South Koreans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First of all,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feelings of closeness between the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people of South Korea are much more different than expected. It has been confirmed that as the residents of South Korea get to have more knowledge on North Korea and understand the North Korean society, they tend to be friendlier towards North Korean defectors and more positively accept them to the South Korean society.
In conclusion, the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removal of the barrier with South Koreans are not entirely dependent on the protection and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civilian organizations, but it is urgently needed that the South Korean people actively get to know about North Korea, through which the relationship of the people improve and reach integr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수현, "피를 나눈 형제, 이웃보다 못한 친척?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주민의 사회적 거리감과 결정요인, 2007-2014" 인류사회재건연구원 30 (30): 123-160, 2015
2 "통일부 홈페이지"
3 오윤환, "탈북청소년의 정체성 연구: 탈북에서 탈남까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4 통일연구원, "탈북자의보호및국내적응개선방안" 1999
5 윤인진, "탈북자의 취업 및 직장적응 실태와 개선방안" 2004
6 윤인진, "탈북자의 취업 및 직장부적응 상황" 2000
7 윤인진, "탈북자의 남한사회 적응실태와 정착지원의 새로운 접근" 33 (33): 511-549, 1999
8 이금순, "탈북자문제해결방안" 통일연구원 1999
9 윤인진, "탈북자문제의 실태와 분석: 탈북과 사회적응의 통합모델" 18 : 3-32, 2000
10 전우택, "탈북자들의 남한사회 적응생활 실태조사: 2001년도 553명의 탈북자들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 7 (7): 155-208, 2003
1 권수현, "피를 나눈 형제, 이웃보다 못한 친척?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주민의 사회적 거리감과 결정요인, 2007-2014" 인류사회재건연구원 30 (30): 123-160, 2015
2 "통일부 홈페이지"
3 오윤환, "탈북청소년의 정체성 연구: 탈북에서 탈남까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4 통일연구원, "탈북자의보호및국내적응개선방안" 1999
5 윤인진, "탈북자의 취업 및 직장적응 실태와 개선방안" 2004
6 윤인진, "탈북자의 취업 및 직장부적응 상황" 2000
7 윤인진, "탈북자의 남한사회 적응실태와 정착지원의 새로운 접근" 33 (33): 511-549, 1999
8 이금순, "탈북자문제해결방안" 통일연구원 1999
9 윤인진, "탈북자문제의 실태와 분석: 탈북과 사회적응의 통합모델" 18 : 3-32, 2000
10 전우택, "탈북자들의 남한사회 적응생활 실태조사: 2001년도 553명의 탈북자들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 7 (7): 155-208, 2003
11 전우택, "탈북자들과 보호 경찰관들의 인간관계에 대한 분석: 보호경찰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4 (4): 21-64, 2000
12 조용관, "탈북자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23 : 277-298, 1998
13 박현선, "탈북자 국내 정착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향" 북한연구학회 6 (6): 209-240, 2002
14 윤인진, "탈북과 사회 적응의 통합적 이해: 국내 탈북자를 중심으로" 3 (3): 123-184, 2000
15 김영수, "탈북 귀순자 남한사회 적응 실태 조사" 통일연수원 1996
16 홍순혜, "신변보호담당관을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 정착 장애요인과 신변보호담당관의 업무부담:개인적 요인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2 : 223-240, 2003
17 윤인진, "소수자의 사회적 배제와 사회통합의 과제: 북한이주민의 경험을중심으로" 7 (7): 41-92, 2006
18 안혜영, "새터민의 자립정착을 위한 취업정책 모형개발 연구" 통일연구원 14 (14): 269-307, 2005
19 전우택, "사람의 통일을 위하여 : 남⋅북한사람들의 통합을 위한 사회정신의학적고찰" 오름 2000
20 정기선, "북한주민에 대한 사회심리적 태도가 통일열망에 미치는 영향" 32 : 427-448, 1999
21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북한주민 통일의식 2018"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9
22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북한주민 통일의식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8
2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북한주민 통일의식 2016"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7
24 길은배, "북한이탈청소년의남한사회적응실태및지원방안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003
25 박윤숙,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특성과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6 윤여상, "북한이탈주민의적응과부적응" 세명출판사 2001
27 김영수, "북한이탈주민의 현황과 재사회화 문제" 사회과학연구소 12 (12): 118-148, 2004
28 이우영,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정착" 통일연구원 2003
29 안혜영,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을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 역할에 관한 연구" 통일연구원 10 (10): 179-239, 2001
30 이금순,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프로그램연구" 통일연구원 2005
31 채정민,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심리적 문화적응 기제와 적응행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32 김광웅,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배제'와 '사회성'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33 권수현,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국민의 태도"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0 (20): 129-153, 2011
34 양계민, "북한이탈주민과의 접촉이 남한 사람들의 신뢰와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1 (11): 97-115, 2005
35 안혜영,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을 위한 지역 네트워크 분석" 통일연구원 16 (16): 145-171, 2007
36 이금순, "북한이탈주민 적응실태 연구" 통일연구원 2003
37 이금순, "북한이탈주민 분야별지원체계 개선방안" 통일연구원 2004
38 이우영, "북한이탈주민 문제의 종합적 정책방안연구" 통일연구원 2000
39 윤인진, "북한이주민의 사회적응 실태와 정착지원방안" 아세아문제연구소 50 (50): 106-143, 2007
40 "매일일보. 2017년 10월 31일 인터넷 기사"
41 김영수, "대학생 및 고등학생들의 탈북자관 조사" 10 : 125-155, 1998
42 "뉴데일리. 2010년 9월 15일 인터넷 기사"
43 이기영, "남한거주 탈북자의 정착과 사회적응 지원방안" 18 : 33-54, 2000
44 김현경, "난민으로서의 새터민의 외상(trauma) 회복 경험에 대한 현상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45 전우택, "난민들의 정신건강과 생활적응에 대한 고찰 및 한반도 통일과정에서 전망과 대책" 36 (36): 3-18, 1997
46 "경향신문. 2019년 2월 21일 인터넷 기사"
47 Raijmanet, Rebeca, "What Does a Nation Owe Non-Citizens?: National Attachments, Pereception of Threat and Attitudes towards Granting Citizenship Rights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49 (49): 195-220, 2008
48 "Voice of America. 2011년 3월 1일 인터넷 기사 / 2018년 2월 21일 인터넷 기사"
49 O’Rourke, Kevin H., "The Determinations of Individual Attitudes towards Immigration" 22 : 838-861, 2006
50 Almond, Gabriel A., "The Civic Culture: Political Attitudes and Democracy in Five Natio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2
51 Gorodzeisky, Anastasia, "Terms of Exclusion: Public Views towards Admission and Allocation of Rights to Immigrants in European Countries" 32 (32): 401-423, 2009
52 Chandler, Charles, "Social factors influencing immigration attitude:an analysis of data from the General Social Survey" 38 : 177-188, 2001
53 Moshe, Semyonov, "Foreigners’ Impact on European Societies: Public Views and Perceptions in a Cross-National Comparative Perspective" 49 : 5-29, 2008
54 Hainmuller Jens, "Educated Preference: Explaining Attitudes Toward Immigration in Europe" 61 : 399-442, 2007
55 Espenshade, Thomas, "Contemporary American Attitudes toward U.S. Immigration" 30 : 535-570, 1996
56 De Figueredo, Rui J. P. Jr., "Are Patriots Bigots? An Inquiry into the Vices of In-Group Pride" 47 (47): 171-188, 2003
57 Allport, Gordon W., "A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Clark University Press 798-844, 1935
58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8.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조사"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9
59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7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조사"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8
60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1-2016년 통일의식 자료"
화폐에 대한 구성주의적 관점과 대안화폐로서 비트코인의 가능성
매니페스토 평가 기준에 대한 실증적 고찰: 대선 공약과 국정운영의 연관성 분석을 중심으로
국제사회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한국의 추진과제: K-SDGs 수립과정과 추진체제 개선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