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재난관리 요소의 재난대응 효과성에 대한 영향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797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large-scale disasters are getting more frequent and more enlarged, getting more increased are the importance and urgency of disaster management that will protect human life and civilization. In this study, I want to study the importance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 factors, which are one of the most urgent and practical elements in preparing and managing disasters as real dangers challanging our present life, and to illuminate the impact of disaster management factors on disaster response effectiveness.
      For this aim, my study proceeds as following. First, the concept and the nature of disaster, the importance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and the concept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and their importance are discussed. Second, the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are classified as elimentary factors of disaster response. Third, through analyzing precedent studies and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factors to which we should pay attention for facilitating disaster and disaster management are defined.
      In addition, using the concepts classified and defined above, a survey is conducted for citizens aged 19 to 69 who are in an age and position to face disasters directly in real life and respond to them maturely.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arranged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one-way variance analysis, T-Test, and IPA analysis. Through these analyses, I try to figure out which category is recognized as more necessary and(or) more important in terms of population sociology and disaster experience, among four categories presented to targetted citizens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 management system which each local government needs to have. I also examined the gap between importance and need awareness of each sector. By using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I tried to get a hint to solidify the construction of a disaster management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to approach the ultimate purpose of increasing disaster response effectiveness for local governments which should strive to respond to disasters and are in a position to use the means and measures.
      To conclude, the ultimate objective of my study is to come up with more efficient disaster countermeasures which can make best of constantly changing new situations by filling a gap in objective theoretical research in reliance on realistic or possible disaster victims' perceptions and collective intelligence.
      번역하기

      As the large-scale disasters are getting more frequent and more enlarged, getting more increased are the importance and urgency of disaster management that will protect human life and civilization. In this study, I want to study the importance of disa...

      As the large-scale disasters are getting more frequent and more enlarged, getting more increased are the importance and urgency of disaster management that will protect human life and civilization. In this study, I want to study the importance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 factors, which are one of the most urgent and practical elements in preparing and managing disasters as real dangers challanging our present life, and to illuminate the impact of disaster management factors on disaster response effectiveness.
      For this aim, my study proceeds as following. First, the concept and the nature of disaster, the importance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and the concept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and their importance are discussed. Second, the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are classified as elimentary factors of disaster response. Third, through analyzing precedent studies and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factors to which we should pay attention for facilitating disaster and disaster management are defined.
      In addition, using the concepts classified and defined above, a survey is conducted for citizens aged 19 to 69 who are in an age and position to face disasters directly in real life and respond to them maturely.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arranged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one-way variance analysis, T-Test, and IPA analysis. Through these analyses, I try to figure out which category is recognized as more necessary and(or) more important in terms of population sociology and disaster experience, among four categories presented to targetted citizens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 management system which each local government needs to have. I also examined the gap between importance and need awareness of each sector. By using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I tried to get a hint to solidify the construction of a disaster management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to approach the ultimate purpose of increasing disaster response effectiveness for local governments which should strive to respond to disasters and are in a position to use the means and measures.
      To conclude, the ultimate objective of my study is to come up with more efficient disaster countermeasures which can make best of constantly changing new situations by filling a gap in objective theoretical research in reliance on realistic or possible disaster victims' perceptions and collective intellig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론 1
      •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제 2절 연구의 목적 3
      • 제 3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제 1장 서론 1
      •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제 2절 연구의 목적 3
      • 제 3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제 2장 이론적 논의 5
      • 제 1절 재난관리에 관한 논의 5
      • (1) 재난의 개념 및 특성 5
      • (2) 재난의 유형 7
      • (3) 재난관리의 개념 및 특성 9
      • (4) 재난관리 단계별 업무 11
      • 제 2절 재난관리자원에 관한 논의 13
      • (1) 재난관리자원의 개념과 필요성 13
      • (2) 재난관리자원 분류 14
      • 제 3절 재난관리의 주요 요소 20
      • (1) 신속성 21
      • (2) 비축성 22
      • (3) 전문성 24
      • (4) 체계성 26
      • (5) 교육 효과 28
      • 제 4절 선행연구 검토 30
      • 제 3장 연구 설계 31
      • 제 1절 연구 분석틀 및 가설 31
      • (1) 연구 분석틀 31
      • (2) 주요 가설 33
      • 제 2절 설문지 구성 및 변수 44
      • (1) 설문지 구성 44
      • (2) 주요 변수 구성 45
      • 제 3절 자료수집 및 측정 방법 45
      • (1) 설문조사 제 3~10절에 대한 신뢰도 검증 46
      • 제 4장 분석결과 47
      • 제 1절 재난관리자원 관리체계 구축 방향 빈도 분석 47
      • 제 2절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차이 63
      • (1) 재난관리자원 중 비축자원에 대한 필요성 인식 65
      • (2) 재난관리자원 중 비축자원에 대한 중요성 인식 72
      • (3) 재난관리자원 비축관리에 대한 필요성 인식 79
      • (4) 재난관리자원 비축관리에 대한 중요성 인식 86
      • (5) 재난관리자원 응원 및 동원 관리체계에 대한 필요성 인식 93
      • (6) 재난관리자원 응원 및 동원 관리체계에 대한 중요성 인식 100
      • (7) 재난관리자원 중 재난피해자 지원을 위한 자원의 관리체계 필요성 인식 107
      • (8) 재난관리자원 중 재난피해자 지원을 위한 자원의 관리체계 중요성 인식 114
      • 제 3절 재난 경험별 차이 121
      • (1) 재난관리자원 중 비축자원에 대한 필요성 인식 123
      • (2) 재난관리자원 중 비축자원에 대한 중요성 인식 125
      • (3) 재난관리자원 비축관리에 대한 필요성 인식 127
      • (4) 재난관리자원 비축관리에 대한 중요성 인식 129
      • (5) 재난관리자원 응원 및 동원 관리체계에 대한 필요성 인식 131
      • (6) 재난관리자원 응원 및 동원 관리체계에 대한 중요성 인식 133
      • (7) 재난관리자원 중 재난피해자 지원을 위한 자원의 관리체계 필요성 인식 135
      • (8) 재난관리자원 중 재난피해자 지원을 위한 자원의 관리체계 중요성 인식 137
      • 제 4절 IPA 분석으로 알아보는 시민 수요자 관점 재난관리자원 관리체계 구축 방향 139
      • 제 5장 결론 및 제언 143
      • 참고문헌 149
      • 부록 재난관리자원에 관한 설문조사 167
      • 제 1절 인구사회학적 특성 168
      • 제 2절 재난 경험 169
      • 제 3절 재난관리자원 중 비축자원에 대한 필요성 인식 170
      • 제 4절 재난관리자원 중 비축자원에 대한 중요성 인식 171
      • 제 5절 재난관리자원의 비축관리에 대한 필요성 인식 172
      • 제 6절 재난관리자원의 비축관리에 대한 중요성 인식 173
      • 제 7절 재난관리자원 응원 및 동원 관리체계에 대한 필요성 인식 174
      • 제 8절 재난관리자원 응원 및 동원 관리체계에 대한 중요성 인식 175
      • 제 9절 재난관리자원 중 재난피해자 지원을 위한 자원의 관리체계 필요성 인식 176
      • 제 10절 재난관리자원 중 재난피해자 지원을 위한 자원의 관리체계 중요성 인식 1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