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경, "한국판 노인용 사기 척도(PGCMS)의 타당화 연구" 한국노년학회 32 (32): 207-222, 2012
2 전겸구, "한국판 CES-D 개발 연구" 11 (11): 65-76, 1992
3 최병숙, "한국복지패널연구 자료를 기초로 주거환경과 우울감 및 자존감과의 관계 분석" 한국주거학회 23 (23): 75-86, 2012
4 전병주, "택지개발에 의한 이주자의 주거환경 변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관계망의 완충효과" 한국사회보장학회 30 (30): 197-229, 2014
5 최은영, "최근 사회노년학의 연구동향- 한국노년학회지 게재논문의 ‘노인’개념과 주제 분석 -" 사회과학연구원 19 (19): 165-186, 2012
6 김영천, "질적 연구에서의 자료분석: 소프트웨어 접근의 이해" 한국교육인류학회 11 (11): 1-35, 2008
7 김미영, "저소득 조손가족 조모와 손자녀의 가족관계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50) : 145-177, 2015
8 임종린, "우울형 여성독거노인의 참여활동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독거노인친구만들기 프로그램 체험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9-33, 2016
9 박경은, "여성노인의 우울, 죽음불안, 삶의 질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 27 (27): 527-538, 2013
10 오인근, "여성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4 (14): 113-136, 2009
1 유경, "한국판 노인용 사기 척도(PGCMS)의 타당화 연구" 한국노년학회 32 (32): 207-222, 2012
2 전겸구, "한국판 CES-D 개발 연구" 11 (11): 65-76, 1992
3 최병숙, "한국복지패널연구 자료를 기초로 주거환경과 우울감 및 자존감과의 관계 분석" 한국주거학회 23 (23): 75-86, 2012
4 전병주, "택지개발에 의한 이주자의 주거환경 변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관계망의 완충효과" 한국사회보장학회 30 (30): 197-229, 2014
5 최은영, "최근 사회노년학의 연구동향- 한국노년학회지 게재논문의 ‘노인’개념과 주제 분석 -" 사회과학연구원 19 (19): 165-186, 2012
6 김영천, "질적 연구에서의 자료분석: 소프트웨어 접근의 이해" 한국교육인류학회 11 (11): 1-35, 2008
7 김미영, "저소득 조손가족 조모와 손자녀의 가족관계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50) : 145-177, 2015
8 임종린, "우울형 여성독거노인의 참여활동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독거노인친구만들기 프로그램 체험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9-33, 2016
9 박경은, "여성노인의 우울, 죽음불안, 삶의 질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 27 (27): 527-538, 2013
10 오인근, "여성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4 (14): 113-136, 2009
11 전병주, "여성 노인의 거주형태에 따른 우울, 삶의 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사회과학연구소 30 (30): 189-212, 2014
12 성준모, "소득수준별 가구 경제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109-132, 2010
13 신창환, "삶의 특성이 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0 (30): 453-469, 2010
14 통계청, "사회조사" 통계청 2012
15 이진숙, "대안적 가족으로서의 독거노인들의 공동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아세아문제연구소 58 (58): 42-71, 2015
16 정인수, "농촌지역 독거노인 생활공동체 거주만족도" 한국농촌건축학회 14 (14): 9-20, 2012
17 김유진, "농촌지역 독거노인 공동생활거주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노년학회 36 (36): 21-38, 2016
18 유은주, "농촌 공동생활가정 거주 노인의 공동생활체 경험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2) : 151-172, 2013
19 농림축산식품부, "농촌 고령자 공동시설지원 시범사업"
20 김강섭, "농어촌지역 공동생활시설 이용실태 고찰" 한국농촌건축학회 13 (13): 91-98, 2011
21 조원석, "농어촌 독거노인의 공동주거 선호 경향에 관한 연구 - 농어촌 독거노인을 위한 친환경 공동주거의 모형개발 연구(1) -" 한국농촌건축학회 13 (13): 107-114, 2011
22 박헌춘, "농어촌 독거노인 공동생활주거 실태조사 연구- 충남지역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농촌건축학회 13 (13): 1-8, 2011
23 박순미, "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특성 비교-" 한국노인복지학회 (47) : 137-160, 2010
24 김예성, "노인의 독거여부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400-429, 2014
25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4
26 정경희, "노년기 독거현황과 정책적 대응 전략"
27 김영천, "교육연구에서의 통합연구방법(Mixed Research Methods) : 개념과 시사점"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305-328, 2011
28 오미영, "공동체적 삶에 대한 여성주의적고찰" 17 : 125-169, 2006
29 김현진, "고령자용 소규모 그룹홈의 생활환경 실태" 한국주거학회 19 (19): 21-29, 2008
30 김진영, "건강한 저소득층 노인의 주요 건강보호 요인: 질적 면접 연구" 한국보건사회학회 (36) : 103-131, 2014
31 Macintyre, S., "What features of the home and the area might help to explain observed relationships between housing tenure and health?" 9 (9): 207-218, 2003
32 Greene, J. C., "Toward a conceptual framework for mixed-method evaluation designs" 11 : 255-274, 1989
33 Lawton, M. P., "The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for Morale Scale : A revision" 30 : 85-89, 1975
34 Radloff, L. S., "The CES-D scale" 1 : 385-401, 1977
35 Jones, D. R., "Social and environmental epidemiology in the inner city: some leads from the OPCS Longitudinal Study" 39 (39): 247-257, 1990
36 Golant S. M., "Residential normalcy and the enriched coping repertoires of successfully aging older adults" 55 : 70-82, 2015
37 Riley, A., "Racial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Neighborhood Disadvantage on Residential Mobility in Later Life" 71 (71): 1131-1140, 2016
38 Foster, S., "Neighborhood Correlates of Sitting Time for Australian Adults in New Suburbs" 47 (47): 902-922, 2015
39 Halpern, D., "Mental health and the built environment" Taylor & Francis 1995
40 Costa, F. J., "Housing-related Well-being in Older People : The Impact of Environmental and Financial Influences" 50 (50): 657-673, 2013
41 Windle, G. S., "Housing related difficulties, housing tenure and variations in health status : Evidence from older people in Wales" 12 (12): 267-278, 2006
42 Marsh, A., "Housing deprivation and health : A longitudinal analysis" 15 (15): 411-428, 2000
43 Fornara, F., "Handbook of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Quality of Life Research"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441-465, 2017
44 Karen, S., "Feminist Challenges to the New Familialism : Lifestyle Experimentation and the Freedom of Intimate Association" 11 (11): 12-34, 1996
45 Elsawahli, H., "Evaluating Potential Environmental Variables and Active Aging in Older Adults for Age-Friendly Neighborhoods in Malaysia" 31 (31): 74-92, 2017
46 Cao, X. J., "Environmental correlate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 An exploration of mismatched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in the Twin Cities" 150 : 26-35,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