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I기반 학습분석 시스템의 교육적 효과성 분석 = Effectiveness Analysis of Learning Analytics System Based on A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142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AI기반 학습분석 시스템인 클래스팅 AI가 초등학교 학습 환경에서 학업성취도 및 21세기 학습자 역량(창의성, 문제해결력, 협업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 S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AI학습분석 집단, 교육용 SNS 활용 집단, 전통적 ICT 활용 집단으로 나누어 학업성취도와 학습역량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교수자들에게도 AI기반 학습분석 시스템을 활용에 대한 만족도 및 수업의 변화에 대한 사전 사후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AI학습분석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 및 학습역량(4개 영역)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수자들은 AI기반 학습분석을 통해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수업이 학습자중심으로 변화하였다고 인식하였다. 이는 AI기반 학습분석 시스템이 학생들의 적극적인 학습 참여와 학습자 중심의 교육 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AI기반 학습분석 시스템인 클래스팅 AI가 초등학교 학습 환경에서 학업성취도 및 21세기 학습자 역량(창의성, 문제해결력, 협업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 S초등...

      본 연구는 AI기반 학습분석 시스템인 클래스팅 AI가 초등학교 학습 환경에서 학업성취도 및 21세기 학습자 역량(창의성, 문제해결력, 협업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 S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AI학습분석 집단, 교육용 SNS 활용 집단, 전통적 ICT 활용 집단으로 나누어 학업성취도와 학습역량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교수자들에게도 AI기반 학습분석 시스템을 활용에 대한 만족도 및 수업의 변화에 대한 사전 사후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AI학습분석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 및 학습역량(4개 영역)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수자들은 AI기반 학습분석을 통해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수업이 학습자중심으로 변화하였다고 인식하였다. 이는 AI기반 학습분석 시스템이 학생들의 적극적인 학습 참여와 학습자 중심의 교육 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ClassTing AI, an AI-based learning analytics system, on academic achievement and 21st-century learner competencies (creativity, problem-solving, collaboration) in elementary school learning environments. Fourth-grade students at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 AI learning analytics group, an educational SNS utilization group, and a traditional ICT utilization group, to compar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competencies. Additionally, the satisfaction of instructors with the use of the AI-based learning analytics system and changes in their pre-and post-perceptions about the transformation of lessons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I learning analytics group significantly outperformed the other groups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competencies. Instructors also recognized that AI-based learning analytics facilitated active student participation and shifted the classroom towards a learner-centered environment. This suggests that AI-based learning analytics systems can contribute to fostering active learning engagement and creating a learner-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ClassTing AI, an AI-based learning analytics system, on academic achievement and 21st-century learner competencies (creativity, problem-solving, collaboration) in elementary school learning environments. Fourth-grade ...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ClassTing AI, an AI-based learning analytics system, on academic achievement and 21st-century learner competencies (creativity, problem-solving, collaboration) in elementary school learning environments. Fourth-grade students at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 AI learning analytics group, an educational SNS utilization group, and a traditional ICT utilization group, to compar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competencies. Additionally, the satisfaction of instructors with the use of the AI-based learning analytics system and changes in their pre-and post-perceptions about the transformation of lessons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I learning analytics group significantly outperformed the other groups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competencies. Instructors also recognized that AI-based learning analytics facilitated active student participation and shifted the classroom towards a learner-centered environment. This suggests that AI-based learning analytics systems can contribute to fostering active learning engagement and creating a learner-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