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 Study of the Vitalization of Cross-border E-commerce between ASEAN and Korea: Focus on Trade and Logistics Issu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551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ies for ASEAN MSME’s in the Korean e-commerce market. The ASEAN is the second largest trading partner of South Korea.
      However, the share of ASEAN in the cross-border e-commerce market of Korea is extremely low. First, we analyzed the Trade Specification Index (TSI) for competitiveness between Korea to ASEAN. Except for the food and drinks industry, Korea has the upper hand on ASEAN in cross-border e-commerce. Second, we focused on the priority factors of ASEAN MSME’s for making strategies for the Korea e-commerce market using AHP analysis. In this analysis, the experience of entering an overseas logistics market ranked first by a value of 0.087 (8.7%), followed by the Korean logistics network existence by 0.086 (8.6%). Lastly, we suggest logistics solutions for advance to korea such as strategic alliances with korean logistics companies, and using integrated e-platforms for vitalizing Cross-Border E-Commerce between Korea and ASEA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ies for ASEAN MSME’s in the Korean e-commerce market. The ASEAN is the second largest trading partner of South Korea. However, the share of ASEAN in the cross-border e-commerce market of Korea is extr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ies for ASEAN MSME’s in the Korean e-commerce market. The ASEAN is the second largest trading partner of South Korea.
      However, the share of ASEAN in the cross-border e-commerce market of Korea is extremely low. First, we analyzed the Trade Specification Index (TSI) for competitiveness between Korea to ASEAN. Except for the food and drinks industry, Korea has the upper hand on ASEAN in cross-border e-commerce. Second, we focused on the priority factors of ASEAN MSME’s for making strategies for the Korea e-commerce market using AHP analysis. In this analysis, the experience of entering an overseas logistics market ranked first by a value of 0.087 (8.7%), followed by the Korean logistics network existence by 0.086 (8.6%). Lastly, we suggest logistics solutions for advance to korea such as strategic alliances with korean logistics companies, and using integrated e-platforms for vitalizing Cross-Border E-Commerce between Korea and ASEA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영, "한국기업의 중국 전자상거래시장진출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연구원 11 (11): 469-484, 2015

      2 여택동, "한ㆍ중 FTA가 대구ㆍ경북지역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통상정보학회 17 (17): 309-337, 2015

      3 박종삼, "한·중 FTA에 따른 충남 주력산업의 대응방안"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8 (18): 199-224, 2015

      4 강상구, "중국 해외직판 활성화를 위한 한국의 B2C 전자상거래 발전방안" 한국전자무역연구소 13 (13): 71-94, 2015

      5 이용근, "중국 전자상거래시장의 현황과 향후전망" 한국전자무역연구소 6 (6): 45-68, 2008

      6 최석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의 진출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무역연구소 6 (6): 141-169, 2008

      7 박정희, "중국 B2C 온라인쇼핑몰 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2 (12): 71-93, 2012

      8 김정호, "중국 B2B 전자상거래 문제점과 해결방안" 한국무역연구원 6 (6): 499-514, 2010

      9 김정포,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해외진출시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18 (18): 1287-1305, 2005

      10 이현정, "온라인 해외직접판매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국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5 (15): 129-142, 2015

      1 이재영, "한국기업의 중국 전자상거래시장진출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연구원 11 (11): 469-484, 2015

      2 여택동, "한ㆍ중 FTA가 대구ㆍ경북지역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통상정보학회 17 (17): 309-337, 2015

      3 박종삼, "한·중 FTA에 따른 충남 주력산업의 대응방안"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8 (18): 199-224, 2015

      4 강상구, "중국 해외직판 활성화를 위한 한국의 B2C 전자상거래 발전방안" 한국전자무역연구소 13 (13): 71-94, 2015

      5 이용근, "중국 전자상거래시장의 현황과 향후전망" 한국전자무역연구소 6 (6): 45-68, 2008

      6 최석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의 진출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무역연구소 6 (6): 141-169, 2008

      7 박정희, "중국 B2C 온라인쇼핑몰 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2 (12): 71-93, 2012

      8 김정호, "중국 B2B 전자상거래 문제점과 해결방안" 한국무역연구원 6 (6): 499-514, 2010

      9 김정포,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해외진출시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18 (18): 1287-1305, 2005

      10 이현정, "온라인 해외직접판매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국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5 (15): 129-142, 2015

      11 정용균, "무역원활화를 위한 국내 전자무역 활성화 방안 - 포터의 경쟁력 분석모형을 중심으로 -" 한국국제통상학회 11 (11): 203-228, 2006

      12 이준봉, "국내 중소기업의 B2C 전자상거래 수출활성화 방안: 온라인해외 직접판매 운영 단계별 애로 사항을 중심으로" 한국무역연구원 12 (12): 207-228, 2016

      13 Export-Import Bank of Korea, "Statistics"

      14 ASEAN-Korea Centre, "Statistics"

      15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K-stat"

      16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International Statistics"

      17 International Contractors Association of Korea, "International Construction Information Service"

      18 Satty, T. L., "How to Make a Decision: The Analytic Decision Process" 48 (48): 9-26, 1990

      19 고현정, "Fuzzy-AHP를 활용한 인도 물류시장 진출사업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26 (26): 1-18, 2010

      20 권오경, "AHP를 이용한 한국 B2C 기업의 중국 전자상거래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상학회 31 (31): 247-262, 2016

      21 김창희, "AHP를 이용한 3자 물류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고려 요인의 중요도 산정 연구" 한국SCM학회 15 (15): 17-28, 2015

      22 Choi, Suk-Sin,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ntry to Foreign Market: Application of Transaction Cost Theory" 22 (22): 127-147,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7 0.482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