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NCS 기반 교육과정의 운영성과 및 개선방안-학습자 중심으로- = NCS-based Curriculum Utilization Status and Improvement Plan-Focused on Lear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638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field - oriented curriculum using NCS (National Inability Standard) to accounting and tax related subjects of 2 - year university students and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the curriculu...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field - oriented curriculum using NCS (National Inability Standard) to accounting and tax related subjects of 2 - year university students and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the curriculum.
      [Methodology] For the research metho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students of major in tax accounting in Daejeon and Ulsan. and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FGI (Focus Group Interview), a group in-depth interview for a small group.
      [Find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factors of NCS-based curriculum, it showed that there is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performance in the educational content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 among the factors of NCS-based curriculum, only the contents of education showed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of employment. Third, NCS-based educational achievement has a positive (+) effect on job recognition. Finall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learners who are receiving training according to the NCS-based curriculum in the tax and accounting related departments. As a representative problem, the question of effectiveness of operation of the enhancement course was raised. The improvement process not only impedes the concentration of learners, but also points out that there is a problem in learning motivation.
      [Implications]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think about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improvement process. If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improvement process is positiv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operation timing agai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전문대학 재학생들의 회계․세무 관련 교과목에 NCS(국가직무능력표준)를 적용한 현장중심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교육과정의 운영성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전문대학 재학생들의 회계․세무 관련 교과목에 NCS(국가직무능력표준)를 적용한 현장중심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교육과정의 운영성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대전과 울산의 전문대학 세무회계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소수그룹을 대상으로 집단심층면접법인 FGI(Focus Group Interview: 집단 심층 면접)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NCS를 기반으로 하는 교육과정 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교육과정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회계 및 세무 관련 학과의 NCS 기반 교육과정의 운영성과의 문제점 도출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의 요인 중에서 교육내용과 교육환경에서는 교육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의 요인 중에서 교육내용만이 취업인지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NCS를 기반으로 하는 교육성과가 취업인지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회계 및 세무 관련학과에서 NCS 기반 교육과정에 따라 교육을 받고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대표적 문제점으로 향상 심화과정 운영에 대한 실효성 문제를 제기하였으며 직무능력평가 실시 후 진행되는 향상심화과정은 학습자들의 집중력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학습의욕 고취에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이는 향상심화과정이 가지고 있는 교육 목적에 대해 고민해볼 필요성이 있으며 향상심화과정의 학습효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운영시기에 대해서 다시 한 번 검토해볼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재승, "전자무역시대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적용한 수출입관리 교육과정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탐색적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6 (16): 413-433, 2015

      2 교육부, "전문대학 NCS 기반 교육과정 발전을 위한 토론 결과 보고서" NCS 거점센터운영협의회 2017

      3 백종면, "대학교육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활용 촉진 방안 연구" 45-62, 2012

      4 김진희, "대졸예정자의 셀프리더십과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가 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진로동기의 매개효과" 한국경영교육학회 30 (30): 377-405, 2015

      5 장봉기, "국가직업능력표준을 활용한 기술분야 교육과정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5420-5429, 2011

      6 이순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한 전문대학 호텔경영 전공의 산업체 맞춤형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7 (27): 97-113, 2015

      7 지윤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의 실효성에 관한실증 연구: 국내 전문대학 호텔경영 관련 전공 계열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7 (27): 205-227, 2015

      8 양혜련,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기법을 활용한 S여대 비서과의 교육과정 개발" 22 : 62-95, 2013

      9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

      10 이은용, "교육훈련요인에 따른 교육훈련 전이, 자기효능감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275-294, 2011

      1 정재승, "전자무역시대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적용한 수출입관리 교육과정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탐색적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6 (16): 413-433, 2015

      2 교육부, "전문대학 NCS 기반 교육과정 발전을 위한 토론 결과 보고서" NCS 거점센터운영협의회 2017

      3 백종면, "대학교육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활용 촉진 방안 연구" 45-62, 2012

      4 김진희, "대졸예정자의 셀프리더십과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가 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진로동기의 매개효과" 한국경영교육학회 30 (30): 377-405, 2015

      5 장봉기, "국가직업능력표준을 활용한 기술분야 교육과정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5420-5429, 2011

      6 이순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한 전문대학 호텔경영 전공의 산업체 맞춤형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7 (27): 97-113, 2015

      7 지윤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의 실효성에 관한실증 연구: 국내 전문대학 호텔경영 관련 전공 계열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7 (27): 205-227, 2015

      8 양혜련,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기법을 활용한 S여대 비서과의 교육과정 개발" 22 : 62-95, 2013

      9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

      10 이은용, "교육훈련요인에 따른 교육훈련 전이, 자기효능감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275-294, 2011

      11 권경리,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성과 및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 : Hospitality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한국교통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4

      12 반태현, "교육만족도와 교육성과가 취업가능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 통제위치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31 (31): 495-521, 2016

      13 박용운, "과정이수형 자격제도 운영 학과의 NCS 기반 교육과정 설계모형 연구 - 전문대학 사회복지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52-665, 2016

      14 권순관, "NCS을 기반으로 한 학습모듈의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 실내디자인 자료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18 (18): 1-9, 2015

      15 전재표, "NCS 실무자수준의 회계학습 프로그램" 41-56, 2015

      16 최영규, "NCS 기반 회계 수업에서 협동학습의 효과에 대한 연구: STAD 방법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상업교육학회 29 (29): 25-48, 2015

      17 민선향, "NCS 기반 비서 교육과정 개발 사례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4 (34): 53-74, 2015

      18 김영락, "NCS 기반 교육과정의 지속적교육품질개선(CQI)에 관한 연구-K대학 세무회계정보과를 중심으로-" 한국세무회계학회 (46) : 107-131, 2015

      19 윤우영, "NCS 기반 교육과정 개편에 관한 연구-계명문화대학교 세무회계정보과를 중심으로-" 한국세무회계학회 (44) : 181-208,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0.999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