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1860년대 미국의 아프리카계 해방노예 교육운동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042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남북전쟁 직후 미국 남부에서 펼쳐진 아프리카계 해방노예들을 위한 교육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을 세 그룹으로 나누어 동기 및 교육활동을 살펴보았다. 먼저, 전쟁 당시 연방...

      이 논문에서는 남북전쟁 직후 미국 남부에서 펼쳐진 아프리카계 해방노예들을 위한 교육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을 세 그룹으로 나누어 동기 및 교육활동을 살펴보았다. 먼저, 전쟁 당시 연방군과 전쟁 후 창설된 연방기구 ‘해방노예국’ 관리들은 해방노예들이 자유노동자로 전환하는 과정을 도와줌에 있어서 교육의 중요성을 인정하여 해방노예교육운동을 선도하였다. 둘째, 미국선교협회(American Missionary Association)를 비롯한 북부 자선단체들의 지원을 받아 파견된 북부 교사들은 해방노예들을 교육하는 것이야말로 노예제를 허용했던 미국의 국가적 죄를 속죄하는 길이라 믿었다. 마지막으로, 해방노예들은 교육과 자유를 동일시하고, 교육을 통해 사회경제적 기회를 취하기 위해 자녀들과 자신들을 위한 교육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연방관리들, 교사들, 그리고 해방노예들의 헌신과 성취에도 불구하고, 인적, 물질적 자원의 부족과 열악한 환경은 해방노예교육에 있어서 장애가 되었다. 또한 남부 백인들은 해방노예학교운동 및 북부인들에 대해 극심한 적대감을 갖고 방해하였다. 북부 교사들 및 연방관리들이 북부 출신의 흑인교사들에게조차 보였던 인종주의적 태도는 교사들 간의 긴밀한 결속력을 저해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860년대 해방노예교육운동은 그 다음 세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교육 및 자조(自助) 활동의 밑거름이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deals with motivations and activities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African-American freedmen’s education in the South during and after the Civil War. First, federal officials regarded freedmen’s education as the key to successful ‘reco...

      The study deals with motivations and activities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African-American freedmen’s education in the South during and after the Civil War. First, federal officials regarded freedmen’s education as the key to successful ‘reconstruction’ of the South in the mold of northern free-labor system. The Army hired teachers to teach the freedmen in ‘contraband camps.’ The Freedmen’s Bureau launched education programs to help the freedmen in their transition from slavery to freedom. Second, white and black, male and female northern teachers came to the South, believing that their teaching could contribute to cleansing of the national ‘sin’ of allowing slavery. Sponsored by such northern abolitionist benevolent societies as the American Missionary Association, the teachers committed themselves to making the freedmen literate, piet, and industrious. Last, the freedmen themselves made big efforts to educate their children and themselves. Literacy was an antithesis of slavery to them. They had the expectation that education would open the upward way to economic and social mobility.
      However, there were many obstacles to freedmen’s education. Teachers were always wanting. There were under-qualified teachers, too. The northern teachers suffered from unfriendly southern climate and poor school-facilities. The lack of fund also limited educational programs. Severly hostile to freedmen’s education and to northern ‘invaders,’ southern whites often imposed threat to the teachers and even burned school buildings. Racist attitudes of northern white teachers and officials toward black ‘colleague’ teachers hampered the teachers’ solidarity. Nevertheless, the educational movement for the freedmen in the 1860s contributed to building the precious experience of self-help among the southern African Americans and to providing teachers among themselves for the next gener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여는 말
      • 2. 교육운동 참여자들
      • 3. 교육현장의 장애요소들
      • 4. 닫는 말
      • 〈References〉
      • 1. 여는 말
      • 2. 교육운동 참여자들
      • 3. 교육현장의 장애요소들
      • 4. 닫는 말
      • 〈References〉
      • Abstract
      • 국문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