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후 식민청산 결여와 재일조선인의 미해방 = Unsettled ”Cleaning-up“ of Japan’s Colonialism and Unliberated Korean Residents in Japa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how Koreans in Japan, who were temporarily considered ‘liberated people’ by the U.S. government after Japan’s defeat in the World War II, were legally categorized as stateless foreign persons. The status of Korean residents...

      This article explores how Koreans in Japan, who were temporarily considered ‘liberated people’ by the U.S. government after Japan’s defeat in the World War II, were legally categorized as stateless foreign persons. The statu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as not only stipulated by the Japan’s policy to exclude Koreans but also due to the absence of the Allied Powers’ accusation of Japan’s colonial occupation in the post-war context. Additionally, this article addresses the Soviet Union’s attitude for post-war settlement was not so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he Allied Powers.
      However, in a exceptional case, the North Korean authority, which obtained a certain autonomy north of the 38th parallel, arrested and sentenced Japanese officials to prison for colonial occupation. The Japanese government’s demand for their return was passed to the Soviet Union through the U.S. military, and the Japanese were eventually released. This affected the way in which North Korea was unable to ‘clean up’ Japan’s colonial rule. After all, North Korea neither recognized Koreans in Japan as victims of Japan’s colonialism nor ‘nation’ of a liberated country. Instead, the North Korean government encourage Koreans in Japan to involve in socialist revolution in Japan.
      Consequently, although South and North Koreas gained sovereign powers to control the repatriation of Koreans in Japan, the two countries fell into a spiral of war. Korean residents in Japan were recognized as means of protecting their national security. In this context, Koreans in Japan had to become foreign stateless persons and have remained victims of, what I call, ‘cold war-colonialism’ until no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일본의 패전 이후 미국에 의해 일시적이나마 ‘해방민족’으로 호명되었던 재일조선인들이, 해방민족으로서 아무런 권리도 가지지 못한 채 국적 없는 외국인으로 지위가 규정되는 ...

      이 글은 일본의 패전 이후 미국에 의해 일시적이나마 ‘해방민족’으로 호명되었던 재일조선인들이, 해방민족으로서 아무런 권리도 가지지 못한 채 국적 없는 외국인으로 지위가 규정되는 배경에 관한 것이다. 재일조선인의 지위가 단순히 일본의 조선인 배제 정책만으로 규정되었다기보다, 전승국 중심의 전후처리에서 식민지배에 대한 사과나 식민주의 청산이 결여된 것이 더욱 중요한 요인이 되었음을 말하고자 한다.
      나아가 사회주의 소련의 식민주의 청산 인식 또한 연합국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음을 살펴본다.
      한편, 예외적으로 38선 이북에서 일정한 자치권을 확보한 북조선 당국이 일본인 관료들을 식민지배의 책임을 물어 체포하고 징역형을 선고한 것은 놀랄만한 일이었다. 그러나 그들을 귀환시키라는 일본 정부의 요구가 미군정을 통해 소련군에게 전달되었고, 일본인들은 석방되었다. 결국 북조선에서도 식민주의 청산은 그렇게중단되었고, 그들 역시 재일조선인을 식민주의의 피해자이자, 새로운 국가의 ‘국민’ 으로 자각하는 데까지 나아가지 못했다. 오히려 재일조선인들에게 일본 혁명에 종사할 것을 당부하는 길을 택하고 말았다.
      남북 모두에서 재일조선인의 귀환을 협상할 수 있는 정부가 수립되었지만, 두 국가는 전쟁의 소용돌이에 빠져들었다. 재일조선인은 안보를 지탱하는 보조적 수단으로만 인식되었다. 재일조선인은 결국 일본의 국적 없는 외국인이라는 지위를 강요받았고, 현재까지 냉전식민주의의 피해자로 남게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신사본 K3003, 총번호 378 平」(1947)년 1월 16일 야마나카 관리국장에게 니시카와 관방성 연락원이 보낸 전신), 『소화 22년 1월, 소련지구 나인(邦人) 인양(引揚) 각지 상황: 북조선의 부 제3권』(이상의 자료는 국가기록원 소장 문서 번호 CTA0003411에 포함된 것들임.)"

      2 이연식, "해방 후 한반도 거주 일본인 귀환에 관한 연구 : 점령군·조선인·일본인 3자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3 "주한미군사 1" 국사편찬위원회 2014

      4 김일성, "조선해외교포운동에 대하여" 조선로동당출판사 1985

      5 "전신사본 K3003 秘, 총번호 007171 平」(1947)년 3월 25일 사세보인양원호국 사와노보리(沢登) 외무성 연락원이 보낸 전신사본"

      6 "재일학도의용군동지회 홈페이지"

      7 재일대한기독교회 지문거부실행위원회, "재일 한국인 지문 거부 운동-법정진술 모음" 정암사 1987

      8 김재웅, "재북한일본인들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북한의 일본인기술자 정책(1945~1950)" 동북아역사재단 (44) : 209-247, 2014

      9 조선일보, "이대통령, 재일교포 출마에 談"

      10 "쇼와 22(1947)년 3월 29일 사세보인양원호국내 종전연락사세보사무국 연락반 사와노보리 부영사가 외무성 오노 국장에게 보내는 보고서"

      1 "「전신사본 K3003, 총번호 378 平」(1947)년 1월 16일 야마나카 관리국장에게 니시카와 관방성 연락원이 보낸 전신), 『소화 22년 1월, 소련지구 나인(邦人) 인양(引揚) 각지 상황: 북조선의 부 제3권』(이상의 자료는 국가기록원 소장 문서 번호 CTA0003411에 포함된 것들임.)"

      2 이연식, "해방 후 한반도 거주 일본인 귀환에 관한 연구 : 점령군·조선인·일본인 3자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3 "주한미군사 1" 국사편찬위원회 2014

      4 김일성, "조선해외교포운동에 대하여" 조선로동당출판사 1985

      5 "전신사본 K3003 秘, 총번호 007171 平」(1947)년 3월 25일 사세보인양원호국 사와노보리(沢登) 외무성 연락원이 보낸 전신사본"

      6 "재일학도의용군동지회 홈페이지"

      7 재일대한기독교회 지문거부실행위원회, "재일 한국인 지문 거부 운동-법정진술 모음" 정암사 1987

      8 김재웅, "재북한일본인들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북한의 일본인기술자 정책(1945~1950)" 동북아역사재단 (44) : 209-247, 2014

      9 조선일보, "이대통령, 재일교포 출마에 談"

      10 "쇼와 22(1947)년 3월 29일 사세보인양원호국내 종전연락사세보사무국 연락반 사와노보리 부영사가 외무성 오노 국장에게 보내는 보고서"

      11 "보고서-전 평안북도 내무부장 조선총독 시절 내무관 高橋榮夫가 외무성 관리국장에게 보내는" 1947

      12 김태기, "미국무성의 대일점령정책안과 재일조선인 정책- 일본통의 재일조선인에 대한 인식과 정책결정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9 (9): 127-156, 2004

      13 조선일보, "등록한 건 28%"

      14 조경희, "남북분단과 재일조선인의 국적-한일 정부의 ‘조선적’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58 : 253-277, 2014

      15 森田芳夫, "朝鮮終戰の記錄" 巖南堂書店 1964

      16 若摫泰雄, "戰後引揚の記錄" 時事通信社 1995

      17 "SCAPIN 224(1 November 1945)GC, Subj.: Repatriation of Non-Japanese from Japan"

      18 "Incoming Message from Washington(from the Joint Chiefs of Staff) to MacArthur, Dated 8 Dec. 1945, KK/ESS-00643"

      19 김태기, "GHQ/SCAP의 대 재일한국인정책" 38 (38): 1999

      20 주영복, "6·25 북에서 본 증언 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2 1.67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