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교과영역에 대한 교사평가기준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220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중 교사평가에 적용 가능한 비교과영역의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 및 외국의 사례조사를 바...

      이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중 교사평가에 적용 가능한 비교과영역의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 및 외국의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교사평가 내 비교과영역의 의미를 밝히고,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국의 교사평가에서 활용되는 비교과영역의 평가지표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비교과영역의 교사평가지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비교과영역의 개념은 생활지도, 학급경영, 전문성 개발, 상급자나 동료,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이나 협력, 기타 행정 능력 등으로 구성되며, 비교과영역에 대한 교사평가란 이와 관련된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주요국 사례 분석 결과, 미국과 영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본의 비교과영역 교사평가의 비중이 높았으며, 3국의 비교과영역 관련교사평가 영역은 학생과의 관계와 수업 외 지도활동, 전문성 개발, 학습 환경 조성,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기타 업무능력 등으로 나타났다. 비교과영역 개념 정의와 주요국의 교사평가 중 비교과영역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비교과영역의 교사 평가영역으로 학생관리, 전문성 개발, 학습 환경의 조성,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기타 업무 능력으로 선정하였고 각 영역의 평가기준(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non-teaching area evaluation indices” that can be applied to teacher evaluation, which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To carry out this task, literature survey and fo...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non-teaching area evaluation indices” that can be applied to teacher evaluation, which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To carry out this task, literature survey and foreign case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present the meaning of non-teaching area evaluation section in teacher evaluation. Then, non-teaching area evaluation indices used in major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were analyzed to propose a Korean version of the indices.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non-teaching area evaluation is defined as evaluation of teachers’ability to perform in the areas of life guidance, class management, specialty development, communication or cooperation with higher ranking teachers, colleagues, and parents of students, and other types of administration. Analysis of teacher evaluation in non-teaching areas showed that the share of non-teaching area was relatively higher in Japan in comparison with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Non-teaching area evaluation in the three countries consisted in relationship with students, supervision of extra-scholarly activities, specialty development, creation of learning environment,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s, and other capabilities. Based on literature survey, definition of non-teaching area evaluation, and non-teaching area assessment in teacher evaluation in major countries, the following realms were proposed as indices (draft) of non-teaching area evaluation that can be applied to Korea: student management, specialty development, creation of learning environment,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and other capabil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비교과영역에 대한 교사평가의 개념적 틀
      • 3. 주요국의 비교과영역에 대한 교사평가의 실제
      • 4. 주요국의 비교과영역에 대한 교사평가의 주요 특징
      • 국문초록
      • 1. 서론
      • 2. 비교과영역에 대한 교사평가의 개념적 틀
      • 3. 주요국의 비교과영역에 대한 교사평가의 실제
      • 4. 주요국의 비교과영역에 대한 교사평가의 주요 특징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정일, "한일간 교원의 사회경제적 지위 및 교직관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1994

      2 김계현,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학지사 2000

      3 박병량, "학교․학급경영론" 학지사 2006

      4 정원식, "카운슬링의 원리" 교육과학사 1999

      5 "영국 ‘학교를 위한 훈련․개발기구(TDA)’"

      6 김계현, "상담과 심리검사" 학지사 2005

      7 "미국 조지아주 교육부 조지아전문성기준위원회 홈페이지"

      8 "미국 버지니아주 교육부 교수학습지원센터 홈페이지"

      9 "미국 NBPTS 홈페이지"

      10 여은정, "근무성적평정제도와 새로운 교사평가제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 윤정일, "한일간 교원의 사회경제적 지위 및 교직관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1994

      2 김계현,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학지사 2000

      3 박병량, "학교․학급경영론" 학지사 2006

      4 정원식, "카운슬링의 원리" 교육과학사 1999

      5 "영국 ‘학교를 위한 훈련․개발기구(TDA)’"

      6 김계현, "상담과 심리검사" 학지사 2005

      7 "미국 조지아주 교육부 조지아전문성기준위원회 홈페이지"

      8 "미국 버지니아주 교육부 교수학습지원센터 홈페이지"

      9 "미국 NBPTS 홈페이지"

      10 여은정, "근무성적평정제도와 새로운 교사평가제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1 최희선, "교원평가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정책연구 제100집)"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1999

      12 진동섭, "교원평가에 관한 교원 인식 연구" 56 : 1-35, 1998

      13 김이경, "교원평가시스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

      14 신상명, "교원평가 내용의 합리성과 타당성" 27-42, 2007

      15 김이경, "교원의 직무 수행 실태 분석 및 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16 김갑성, "교원능력개발평가 선도학교 운영 결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17 김재웅, "교사 평가의 정치학: 새로운 교사 평가제의 도입 및 시범운영 과정을 중심으로" 3-24, 2008

      18 "文部科学省HP"

      19 東京都教育委員会, "教員等人事考課制度導入に関する検討委員会中間まとめ" 2006

      20 宮城の教員の資質向上に関する調査研究会議, "教員の資質向上をめざす新しい評価システムに関する提言ー最終まとめー" 2005

      21 "http://www.nbpts.org/UserFiles/File/what_teachers.pdf"

      22 NBPTS, "What Teachers Should Know and Be Able to Do" 2008

      23 김이경, "Teachers matter: Attracting, developing and retaining effective teachers" 한국교육개발원 2006

      24 NBPTS, "Middle Childhood through Early Adolescence/Mathematics STANDARDS(for teachers of students ages 7-15)" 2008

      25 NBPTS,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Mathematics STANDARDS(2nd)"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80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