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헨리 제임스(Henry James)의 『나사못 조이기』(The Turn of the Screw)에서 모호성(ambiguity)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임스의 다른 작품들과는 달리 『나사못 조이기』는 출간 이 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274056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문학(미국소설) , 2013. 8
2013
한국어
420
광주
i, 45 p. ; 26 cm
지도교수: 나희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헨리 제임스(Henry James)의 『나사못 조이기』(The Turn of the Screw)에서 모호성(ambiguity)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임스의 다른 작품들과는 달리 『나사못 조이기』는 출간 이 후...
본 논문은 헨리 제임스(Henry James)의 『나사못 조이기』(The Turn of the Screw)에서 모호성(ambiguity)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임스의 다른 작품들과는 달리 『나사못 조이기』는 출간 이 후 독자와 평단으로부터 지속적인 주목을 받았으며 소설의 해석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작품에 대한 이론적 흐름은 크게 프로이트적 분석과 전통적 해석의 두 갈래로 나뉘며 양측의 공방은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이 외에도 다각적으로 소설에 접근하려는 시도가 끊이지 않았는데, 이처럼 『나사못 조이기』를 둘러싼 수많은 담론을 양산하는 토대가 되는 것은 작품의 모호성이다. 제임스는 작품에서 여러 가지 서술구조와 기법을 사용하여 작품의 모호성을 심화시키고 이를 통하여 다양한 해석 가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설의 모호성을 각각 서술구조에서 비롯된 모호성, 신뢰할 수 없는 화자로 인한 모호성, 서술기법에서 기인하는 모호성으로 나누어 연구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