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 土牛儀禮의 법제화와 그 성격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는 유교정치이념의 확립을 위해 국초부터 예기월령의 時令들을 다각도에서 활용하였다. 중국적 유교예제의 수용을 통해 국가체제를 확립해 나가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용하였지만, 예...

      고려는 유교정치이념의 확립을 위해 국초부터 예기월령의 時令들을 다각도에서 활용하였다. 중국적 유교예제의 수용을 통해 국가체제를 확립해 나가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용하였지만, 예기월령의 시령들은 중국의 오랜 세시관습에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그것을 수용하는 입장에서는 외래문화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것은 고려의 토양에 맞게 수용될 수밖에 없었다.
      고려가 시행한 예기월령의 시령 중 하나가 ‘토우의례’이다.
      고려는 토우의례의 국가적 실천을 위해 다른 예기월령의 조항들과 마찬가지로 이것을 법제화하였다. 토우의례는 성종년간에 시행된 입춘의 토우의례와 정종대 시행된 계동대나의의 토우의례 두가지였다. 입춘토우의례는 당?송대과 마찬가지로 영선령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계동대나의의 토우의례는 사령으로 분류되어야할 것이다. 농경의례이지만 입춘토우의례가 영선령으로 분류되는 것은 그것이 국가제사인 대?중?소사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고려에서는 농시를 알리는 입춘토우의례와 계동나의의 토우의례가 함께 시행되었지만, 계동나의 토우의례는 정종대 희생을 대체하여 일시적으로 행해진 것 같고 이후로는 입춘토우의례만 남게 되었다.
      중국예제의 하나로 고려에 수용된 토우의례는 관이 주도하는 입춘의례로 자리잡았다. 그리고 이것은 전통적으로 민간에서 행해오던 입춘의례와 합쳐져 전통의례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yo Dynasty accepted Yegui wolryeong (禮記月令), the polite record of moon’s age) to establish a nation government system based on Confucian Politics Ideology. It intended to gradually change Buddhistic ceremony into Confucian ceremony by acce...

      Koryo Dynasty accepted Yegui wolryeong (禮記月令), the polite record of moon’s age) to establish a nation government system based on Confucian Politics Ideology. It intended to gradually change Buddhistic ceremony into Confucian ceremony by accepting Yegui wolryeong. However, the content of Yegui Wolryeong actually had been made on the basis of Chinese society’s old seasonal customs. Koryo Dynasty happened to accept not only political ideology but also Chinese seasonal customs through accepting Yegui Wolryeong. Of course, such foreign culture must have been accepted suitably for Koryo’s reality. Also, Koryo legislated Wolryeong for the national practice of Yegui Wolryeong.
      ‘Clay-bull Rituals (To-u-uirye 土牛儀禮)’ is one of Yegui Wolryeong as well, it was also legislated for its practice. Koryo’s Clay-bull Rituals has two ways, onset of spring rituals (Ipchunuirae 立春儀禮) and December of the lunar calendar big exorcism (Gyedongdaena-ui 季冬大儺儀). Onset of spring rituals is new building and mending command (Yeongseonryeong 營繕令), Gyedongdaena-ui can be classified as supervision (Saryeong 司令). Originally, To-u-uirye included Gyedongdaena-ui in Yegui Wolryeong, however during the Tang age, it remained as onset of spring rituals, i.e. agricultural rite. Whereas, Japanese Yeonheeshik (延喜式) does not include onset of spring rituals, but it only includes Gyedong-uirye. Each country of East Asia also shows the difference in accepting culture according to its necessity.
      Koryo’s To-u-uirye also shows its change throughout the former part and the latter part of Koryo. Both onset of spring rituals and Gyedongdaena-ui exist during the former part of Koryo, however only onset of spring rituals appears during the latter part of Koryo. Just like China, To-u-uirye seems to have got settled as only agricultural rite. Onset of spring rituals had been, as well, a solemn and central government-level ceremony during the former part of Koryo, however it was changing into a festival where government and civilian join together with each district un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고려시대 토우의례의 법제화
      • Ⅲ. 토우의례의 성격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고려시대 토우의례의 법제화
      • Ⅲ. 토우의례의 성격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일권, ""천지서상지"의 역사적 의의와 한국사에서의 사료적 가치" 한국고대사학회 26 : 221-268, 2002

      2 "禮記"

      3 이범직, "한국중세예사상연구" 일조각 1991

      4 황경숙, "한국의 벽사의례와 연희문화" 월인 2000

      5 이두현, "한국연극사" 학연사 1987

      6 김택규, "한국농경세시의 연구"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5

      7 한정수, "한국 중세 유교정치사상과 농업" 혜안 2007

      8 오영섭, "최승로 상서문의 사상적 기반과 역사적 의의" 10 : 1993

      9 한정수, "여말선초 지방지식인의 시간 이해 ­ 耘谷 元天錫을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38) : 133-160, 2007

      10 나희라, "신라의 국가제사" 지식산업사 2003

      1 김일권, ""천지서상지"의 역사적 의의와 한국사에서의 사료적 가치" 한국고대사학회 26 : 221-268, 2002

      2 "禮記"

      3 이범직, "한국중세예사상연구" 일조각 1991

      4 황경숙, "한국의 벽사의례와 연희문화" 월인 2000

      5 이두현, "한국연극사" 학연사 1987

      6 김택규, "한국농경세시의 연구"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5

      7 한정수, "한국 중세 유교정치사상과 농업" 혜안 2007

      8 오영섭, "최승로 상서문의 사상적 기반과 역사적 의의" 10 : 1993

      9 한정수, "여말선초 지방지식인의 시간 이해 ­ 耘谷 元天錫을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38) : 133-160, 2007

      10 나희라, "신라의 국가제사" 지식산업사 2003

      11 이희덕, "고려유교 정치사상의 연구" 일조각 1984

      12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고려시대 율령의 복원과 정리" 경인문화사 2010

      13 채웅석, "고려시대 刑政의 ‘原情’認識과 「月令」 활용" 한국중세사학회 (27) : 285-314, 2009

      14 "高麗史節要"

      15 "高麗史"

      16 "隋書"

      17 김건곤, "釋 息影庵의 正體에 대한 再論 ―南原梁氏, 法名 淵鑑―"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5) : 349-374, 2006

      18 "舊唐書"

      19 "耘谷詩史"

      20 "續日本紀"

      21 "稼亭集"

      22 "眉巖日記草"

      23 "牧隱詩藁"

      24 金斗奉, "濟州島實記" 濟州實蹟硏究社 1932

      25 "東國輿地勝覽"

      26 "東京夢華錄"

      27 寺澤薰, "日本の古代 13" 中央公論社 1996

      28 三上喜孝, "日唐律令比較硏究の新段階" 山川出版社 2008

      29 "新增"

      30 "政和五禮新儀"

      31 "後漢書"

      32 "延喜式"

      33 권덕영, "天地瑞祥志 편찬자에 대한 새로운 시각 -日本에 전래된 신라 天文地理書의 일례-" 52 : 1999

      34 "天地瑞祥志"

      35 牛來潁, "天一閣藏明鈔本天聖令校證-附唐令復原硏究 下冊" 中華書局 2006

      36 "大元聖政"

      37 김상범, "土牛儀禮의 法制化過程과 儀禮變化에 나타나는 時代的 含意 - 天聖令과 唐令의 비교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12) : 133-160, 2009

      38 "國朝典章"

      39 황패강, "國文學論集 3" 1969

      40 김상범, "唐末ㆍ五代時期 具注曆日과 地方祭祀" 중국고중세사학회 (29) : 189-219, 2013

      41 "唐月令注"

      42 丸橋充拓, "唐宋變革期の軍禮と秩序" 64 (64): 2005

      43 仁井田陞, "唐令拾遺補" 東京大學出版會 1997

      44 仁井田陞, "唐令拾遺" 東京大學出版會 1933

      45 김정식, "唐 玄宗朝 禮記 月令의 改定과 그 性格" 동양사학회 (93) : 35-78, 2005

      46 권오영, "古代의 裸耕" 중부고고학회 7 (7): 29-40, 2008

      47 三宅和朗, "古代國家の神祇と祭祀" 吉川弘文館 1995

      48 "兼明書"

      49 "內裏式"

      50 "儀式"

      51 菊池克美, "中國禮法と日本律令制" 東方書店 1992

      52 陶立璠, "中國의 假面문화" 11 : 1994

      53 池田溫, "中國法制史-基本資料の硏究" 東京大學出版會 1993

      54 "世宗實錄"

      55 栗原朋信, "上代日本對外關係の硏究" 吉川弘文館 1978

      56 "三國史記"

      57 나희라, "7~8세기 唐, 新羅, 日本의 國家祭祀體系 비교" 한국고대사학회 33 : 291-324,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1.01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