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高價의료장비의 效用性에 대한 癌 患者의 知覺변화가 의료기관 選澤과 의료서비스 滿足度에 미치는 影響 : PET/CT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4222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의료는 의료소비자의 질병을 진단, 치료하는데 있어서 의료장비의 역할이 거의 결정적이다시피 되고 있다. 과거 문진 및 진찰에 의존하던 시대에서부터 근거 중심의 의료로 변화되어 왔고, 의료장비 기술의 발달 및 열린 정보로 인해 환자의 권리의식도 높아지고, 대중 매체와 인터넷을 통하여 의료 정보가 개방되면서 의료소비자들의 의학적 지식 및 선택능력의 향상으로 높은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요구함으로써, 의료기관도 이제는 의료소비자의 의학적 지식에 대한 지각 변화를 파악하여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암 환자로 등록되어 현재 병원에서 PET/CT 검사를 받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료소비자들의 의학적 지식 유무 및 고가의료장비인 PET/CT의 효용성에 대한 지각 변화를 조사하여 의료기관 선택 동기와 의료서비스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최근 의료소비자들의 의료지식에 대한 지각 변화에 맞게 의학적 지식이 있으며 PET/CT라는 고가의료장비가 암 진단에 우수한 장비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기관 선택 요소인 의료기관의 현대성, 우수성 그리고 의료서비스만족도의 척도인 진료만족, 환경만족 모두 의학적 지식과 PET/CT의 효용성을 알고 있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PET/CT라는 한정된 원인만으로 의료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를 평가하였기에 전반적인 의학적 지식 유무에 대한 실질적인 검증이 어려웠으며, 그로인한 의료서비스 만족도 평가에 대해 일반화하기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었지만, 의학적 지식과 PET/CT의 효용성을 알고 있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보다 의료기관을 선택 할 때 더 신중하게 결정을 하며, 사전에 최소한 자신의 질병에 대한 의학적 지식이 있는 사람이 전반적인 의료서비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는 것은 의료소비자가 미리 상당한 정도의 지식과 판단능력을 가지고 기대하는 부분에서 의료소비자의 기대와 실제 경험한 것과의 차이가 의료서비스만족을 결정하게 된다고 할 수 있으며, 첨단적인 진료를 받으면서 인격 주체에 합당한 배려를 받을 수 있도록 의료소비자에게 질병에 대한 의학적 지식을 배양하는 의학 교육을 더 강화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의료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습득에 도움을 주는 것은 내원객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케팅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일이며,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향상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로터 도출된 시사점은 의료 서비스는 전문성이 있는 서비스라는 특성 때문에 의료소비자가 의료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더라도 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므로 의료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는 의학적 지식의 수준에 맞게 먼저 의료기관에서 의학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환자 또한 자신의 질병 관리와 건강을 위해서 사전에 공부해야 하며, 의학용어는 모르는 게 당연하지만 최소한 자기 질병에 대한 지식과 일반 의학적 지식을 넓혀서 의사의 설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통 환자는 의사에게 의학용어를 물어보고 일상적인 용어로 재설명해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데도 많은 환자들은 의사에게 질문하기를 주저한다. 정상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어느 정도 범위이며, 과민성이나 신경성이 무슨 뜻인지, 심전도 검사· 내시경 검사· 혈액검사· 고가의료장비(CT, MRI, PET/CT)검사 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등 사전에 의학적 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이 의사가 질병에 대한 설명에 대해 중요한 정보를 놓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대중 매체와 인터넷을 통하여 많은 의학적 지식을 얻을 수는 있지만 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의학적 지식은 분명히 환자 만족도 향상, 즉 전반적인 의료서비스만족도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며, 곧 의료서비스 혁신의 기초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차별화된 의미는 기존 연구들이 주로 의료서비스 품질과 의료서비스 만족도 및 재이용도간의 상관 관계만 분석한 반면에 의료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를 매개변수로 설계하여 전반적인 의료서비스 만족도 차이를 확인하였다는 데에 있다.
      번역하기

      현대 의료는 의료소비자의 질병을 진단, 치료하는데 있어서 의료장비의 역할이 거의 결정적이다시피 되고 있다. 과거 문진 및 진찰에 의존하던 시대에서부터 근거 중심의 의료로 변화되어 ...

      현대 의료는 의료소비자의 질병을 진단, 치료하는데 있어서 의료장비의 역할이 거의 결정적이다시피 되고 있다. 과거 문진 및 진찰에 의존하던 시대에서부터 근거 중심의 의료로 변화되어 왔고, 의료장비 기술의 발달 및 열린 정보로 인해 환자의 권리의식도 높아지고, 대중 매체와 인터넷을 통하여 의료 정보가 개방되면서 의료소비자들의 의학적 지식 및 선택능력의 향상으로 높은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요구함으로써, 의료기관도 이제는 의료소비자의 의학적 지식에 대한 지각 변화를 파악하여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암 환자로 등록되어 현재 병원에서 PET/CT 검사를 받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료소비자들의 의학적 지식 유무 및 고가의료장비인 PET/CT의 효용성에 대한 지각 변화를 조사하여 의료기관 선택 동기와 의료서비스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최근 의료소비자들의 의료지식에 대한 지각 변화에 맞게 의학적 지식이 있으며 PET/CT라는 고가의료장비가 암 진단에 우수한 장비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기관 선택 요소인 의료기관의 현대성, 우수성 그리고 의료서비스만족도의 척도인 진료만족, 환경만족 모두 의학적 지식과 PET/CT의 효용성을 알고 있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PET/CT라는 한정된 원인만으로 의료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를 평가하였기에 전반적인 의학적 지식 유무에 대한 실질적인 검증이 어려웠으며, 그로인한 의료서비스 만족도 평가에 대해 일반화하기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었지만, 의학적 지식과 PET/CT의 효용성을 알고 있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보다 의료기관을 선택 할 때 더 신중하게 결정을 하며, 사전에 최소한 자신의 질병에 대한 의학적 지식이 있는 사람이 전반적인 의료서비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는 것은 의료소비자가 미리 상당한 정도의 지식과 판단능력을 가지고 기대하는 부분에서 의료소비자의 기대와 실제 경험한 것과의 차이가 의료서비스만족을 결정하게 된다고 할 수 있으며, 첨단적인 진료를 받으면서 인격 주체에 합당한 배려를 받을 수 있도록 의료소비자에게 질병에 대한 의학적 지식을 배양하는 의학 교육을 더 강화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의료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습득에 도움을 주는 것은 내원객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케팅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일이며,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향상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로터 도출된 시사점은 의료 서비스는 전문성이 있는 서비스라는 특성 때문에 의료소비자가 의료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더라도 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므로 의료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는 의학적 지식의 수준에 맞게 먼저 의료기관에서 의학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환자 또한 자신의 질병 관리와 건강을 위해서 사전에 공부해야 하며, 의학용어는 모르는 게 당연하지만 최소한 자기 질병에 대한 지식과 일반 의학적 지식을 넓혀서 의사의 설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통 환자는 의사에게 의학용어를 물어보고 일상적인 용어로 재설명해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데도 많은 환자들은 의사에게 질문하기를 주저한다. 정상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어느 정도 범위이며, 과민성이나 신경성이 무슨 뜻인지, 심전도 검사· 내시경 검사· 혈액검사· 고가의료장비(CT, MRI, PET/CT)검사 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등 사전에 의학적 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이 의사가 질병에 대한 설명에 대해 중요한 정보를 놓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대중 매체와 인터넷을 통하여 많은 의학적 지식을 얻을 수는 있지만 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의학적 지식은 분명히 환자 만족도 향상, 즉 전반적인 의료서비스만족도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며, 곧 의료서비스 혁신의 기초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차별화된 의미는 기존 연구들이 주로 의료서비스 품질과 의료서비스 만족도 및 재이용도간의 상관 관계만 분석한 반면에 의료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를 매개변수로 설계하여 전반적인 의료서비스 만족도 차이를 확인하였다는 데에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role of medical equipment is important for diagnosis and treatment in modern health care. In the past, diagnosis depended on a medical examination by interview. but now, patients require high quality health care services according to development of medical devices and health information through the mass media and the internet.
      For this reason, change of the consumer's medical knowledge by identifying practical countermeasures is needed for improving health services in medical institution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 in perception on PET/CT to patients enrolled as cancer patients at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then we analyzed motives of choosing medical institutions and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
      As a result of this study, customers have equivalent medical information for changing medical environment. People who know that PET/CT is an excellent equipment for cancer diagnosis are more than people who don't know that fact.
      The medical institutions choice element such as modernity, accessibility and excellence and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 like treatment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are higher in the group that knew medical knowledge and effectiveness of PET/CT than the group that did not. However, it was difficult to evaluate medical knowledge because of limited factor, PET/CT.
      Even though there are limitations to generalize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 from some examples, study shows that people who knew medical knowledge and effectiveness of PET/CT made more careful decision to get medical institutions than the people who did not. so we need to reinforce medical education to meet the demands of patients.
      The education for medical information is important factor to increase rate of hospital visitors and to provide data for marketing basis. Further, it could improve quality of health care service.
      The point from this study was that though medical consumers acquired information on medicine, they don't have enough information use ability because of distinctiveness in medical information. so institutions have to provide medicine information for affordable their knowledge situation. On the other hand, patients try to understand their disease by studying at least general medical knowledge for their disease management and health. Although patients usually could ask doctors to explain medical term easily, they are reluctant to do that.
      For example, people who knew medical knowledge such as normal cholesterol and blood pressure levels and diverse medical checkup, could keep track of important information. Most people can get medical knowledge through mass media and the internet but the medical knowledge provided from medical institutions will definitely improve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 and it will be the basis of medical service innovation.
      Finally, differentiated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earlier research mainly analyzed the correlation of health care services and quality with revisit ratio whereas this study analyzed overall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 by parametrizing medical knowledge of patients.
      번역하기

      Recently, the role of medical equipment is important for diagnosis and treatment in modern health care. In the past, diagnosis depended on a medical examination by interview. but now, patients require high quality health care services according to dev...

      Recently, the role of medical equipment is important for diagnosis and treatment in modern health care. In the past, diagnosis depended on a medical examination by interview. but now, patients require high quality health care services according to development of medical devices and health information through the mass media and the internet.
      For this reason, change of the consumer's medical knowledge by identifying practical countermeasures is needed for improving health services in medical institution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 in perception on PET/CT to patients enrolled as cancer patients at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then we analyzed motives of choosing medical institutions and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
      As a result of this study, customers have equivalent medical information for changing medical environment. People who know that PET/CT is an excellent equipment for cancer diagnosis are more than people who don't know that fact.
      The medical institutions choice element such as modernity, accessibility and excellence and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 like treatment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are higher in the group that knew medical knowledge and effectiveness of PET/CT than the group that did not. However, it was difficult to evaluate medical knowledge because of limited factor, PET/CT.
      Even though there are limitations to generalize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 from some examples, study shows that people who knew medical knowledge and effectiveness of PET/CT made more careful decision to get medical institutions than the people who did not. so we need to reinforce medical education to meet the demands of patients.
      The education for medical information is important factor to increase rate of hospital visitors and to provide data for marketing basis. Further, it could improve quality of health care service.
      The point from this study was that though medical consumers acquired information on medicine, they don't have enough information use ability because of distinctiveness in medical information. so institutions have to provide medicine information for affordable their knowledge situation. On the other hand, patients try to understand their disease by studying at least general medical knowledge for their disease management and health. Although patients usually could ask doctors to explain medical term easily, they are reluctant to do that.
      For example, people who knew medical knowledge such as normal cholesterol and blood pressure levels and diverse medical checkup, could keep track of important information. Most people can get medical knowledge through mass media and the internet but the medical knowledge provided from medical institutions will definitely improve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 and it will be the basis of medical service innovation.
      Finally, differentiated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earlier research mainly analyzed the correlation of health care services and quality with revisit ratio whereas this study analyzed overall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 by parametrizing medical knowledge of pati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ⅰ
      • 영문초록 ⅲ
      • Ⅰ. 서론 1
      • A.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 국문초록 ⅰ
      • 영문초록 ⅲ
      • Ⅰ. 서론 1
      • A.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 B. 연구의 목적 2
      • Ⅱ. 이론적 배경 4
      • A. 의학적 지식 및 고가의료장비(PET/CT)에 대한 지각 4
      • 1. 의학적 지식에 대한 의의 4
      • 2. 고가의료장비(PET/CT)에 대한 인식 6
      • a. PET/CT의 원리 7
      • b. PET/CT의 효용성 8
      • B. 의료기관 선택에 대한 선행 연구 11
      • 1. 의료기관 선택과정 11
      • 2. 의료기관 선택 요인 13
      • C. 의료기관의 서비스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 16
      • 1. 의료서비스의 개념 16
      • 2. 의료서비스의 특성 17
      • 3. 의료기관의 서비스 만족도 20
      • Ⅲ. 연구 방법 22
      • A. 설문지 개발 22
      • B. 가설설정 24
      • C.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25
      • 1. 자료수집 25
      • 2. 분석방법 25
      • Ⅳ. 연구결과 26
      • A. 의료기관 선택 요인과 의료서비스만족도 조사도구 문항에 대한 신뢰성 검증 26
      • B. 분석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7
      • C. 기술적 통계 분석 결과 29
      • 1. 의학적지식 유무 및 고가의료장비의 지각 차이에 대한 기술 통계 분석 결과 29
      • 2. 의료기관 선택에 대한 기술 통계 분석 결과 30
      • 3.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기술 통계 분석 결과 32
      • D. 의학적 지식 유무 및 고가의료장비(PET/CT)의 지각 변화에 따른 차이 분석 34
      • 1. 의료기관 선택 차이 34
      • 2. 의료서비스만족도 차이 36
      • E. 가설검증 38
      • Ⅴ. 고찰 39
      • Ⅵ. 결론 및 제언 42
      • 참고문헌 45
      • 부록-설문 조사지 49
      • 감사의 글 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