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안 임자도의 지형,지질경관 특성 및 교육적 활용방안 =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of Imjado, Sinangu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255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resources for education, tourism and geotourism through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omorphological and gelogical landscapes of Imjado, Sinan-gu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Ministry of Envior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12) there are seven types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sea cliff, wave cut platform, sea cave and etc) or eleven types (stratification, joint, dyke, volcanic rock, conglomerate, intrusive structure, flow texture and etc) based upon Korea Environment Institute``s (2003) categorization.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of this study area are useful materials for science textbooks such as earth science Ⅰ&Ⅱ, since they provide useful materials for on-the-spot learning activities. The landscapes also act as a basic data for ecotourism and geotourism for visitors in Imjado, Sinangu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resources for education, tourism and geotourism through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omorphological and gelogical landscapes of Imjado, Sinan-gu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Min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resources for education, tourism and geotourism through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omorphological and gelogical landscapes of Imjado, Sinan-gu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Ministry of Envior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12) there are seven types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sea cliff, wave cut platform, sea cave and etc) or eleven types (stratification, joint, dyke, volcanic rock, conglomerate, intrusive structure, flow texture and etc) based upon Korea Environment Institute``s (2003) categorization.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of this study area are useful materials for science textbooks such as earth science Ⅰ&Ⅱ, since they provide useful materials for on-the-spot learning activities. The landscapes also act as a basic data for ecotourism and geotourism for visitors in Imjado, Sinangu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화성, "화성암 지역의 야외지질학습장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 34 (34): 274-285, 2013

      2 박미영, "홍도 지형 자원을 활용한 지오투어리즘"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109-121, 2011

      3 전영권, "한국의 지오투어리즘" 한국지형학회 17 (17): 53-69, 2010

      4 김창환, "한국에서의 지오파크 활동과 지리학적 의미" 한국지형학회 16 (16): 57-66, 2009

      5 이정훈, "지형 특성에 기반한 여수시 사도일원의 생태관광 프로그램 구성"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738-752, 2011

      6 환경부,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지형)"

      7 전남대학교, "전남도서 해안지역 지질환경 연구" 244-, 1999

      8 오강호, "전남 진도 관매8경의 지형․지질․경관과 지오투어리즘 활용" 한국도서(섬)학회 24 (24): 131-143, 2012

      9 환경부, "울릉도․독도 및 제주도 국가지질공원 인증(보도자료)"

      10 윤석태, "울릉도 주변 무인도서의 지형․지질․경관과 활용 및 관리 방안" 한국도서(섬)학회 25 (25): 75-89, 2013

      1 김화성, "화성암 지역의 야외지질학습장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 34 (34): 274-285, 2013

      2 박미영, "홍도 지형 자원을 활용한 지오투어리즘"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109-121, 2011

      3 전영권, "한국의 지오투어리즘" 한국지형학회 17 (17): 53-69, 2010

      4 김창환, "한국에서의 지오파크 활동과 지리학적 의미" 한국지형학회 16 (16): 57-66, 2009

      5 이정훈, "지형 특성에 기반한 여수시 사도일원의 생태관광 프로그램 구성"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738-752, 2011

      6 환경부,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지형)"

      7 전남대학교, "전남도서 해안지역 지질환경 연구" 244-, 1999

      8 오강호, "전남 진도 관매8경의 지형․지질․경관과 지오투어리즘 활용" 한국도서(섬)학회 24 (24): 131-143, 2012

      9 환경부, "울릉도․독도 및 제주도 국가지질공원 인증(보도자료)"

      10 윤석태, "울릉도 주변 무인도서의 지형․지질․경관과 활용 및 관리 방안" 한국도서(섬)학회 25 (25): 75-89, 2013

      11 안건상, "여수의 암석 분포와 지질경관의 형성" 한국도서(섬)학회 22 (22): 199-211, 2010

      12 전남대학교 공룡연구소, "여수 일대 공룡화석 및 지질환경 기초학술조사" 137-, 2001

      13 김해경, "여수 사도의 지형 및 지질경관 특성" 한국지형학회 20 (20): 35-43, 2013

      14 정철환, "신안군 비금면 일대 보전가치가 있는 무인도서의 지형․지질․경관 특성 및 관리 방안" 한국도서(섬)학회 23 (23): 125-136, 2011

      15 김해경, "신안 증도의 지형 및 지질경관 특성" 한국도서(섬)학회 25 (25): 161-173, 2014

      16 한국환경정책, "보존 가치가 있는 지형, 지질의 대상 설정에 관한 연구" 159-, 2003

      17 박경, "백령도의 보존가치가 높은 지형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지리연구소 28 : 77-89, 2009

      18 한국자원연구소, "도서․폐광 현황 및 활용성 연구" 221-, 1991

      19 전영권, "대구 신천과 금호강 일대의 문화지형 발굴과 스토리텔링 구성" 한국지형학회 17 (17): 17-30, 2010

      20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의 신비로운 지형지질 이야기-다도해편"

      21 환경부, "국가지질공원 인증제도 시행(보도자료)"

      22 안건상,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금당산의 지질학습장으로서 활용성" 한국지구과학회 34 (34): 235-248, 2013

      23 과학기술부, "광주 지질도폭 설명서(1:250,000)"

      24 Kern, E. L, "Enhancement of Student Values, Interests and Attitudes in Earth Science Through a Field-Oriented Approach" 32 : 299-305,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