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화성, "화성암 지역의 야외지질학습장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 34 (34): 274-285, 2013
2 박미영, "홍도 지형 자원을 활용한 지오투어리즘"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109-121, 2011
3 전영권, "한국의 지오투어리즘" 한국지형학회 17 (17): 53-69, 2010
4 김창환, "한국에서의 지오파크 활동과 지리학적 의미" 한국지형학회 16 (16): 57-66, 2009
5 이정훈, "지형 특성에 기반한 여수시 사도일원의 생태관광 프로그램 구성"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738-752, 2011
6 환경부,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지형)"
7 전남대학교, "전남도서 해안지역 지질환경 연구" 244-, 1999
8 오강호, "전남 진도 관매8경의 지형․지질․경관과 지오투어리즘 활용" 한국도서(섬)학회 24 (24): 131-143, 2012
9 환경부, "울릉도․독도 및 제주도 국가지질공원 인증(보도자료)"
10 윤석태, "울릉도 주변 무인도서의 지형․지질․경관과 활용 및 관리 방안" 한국도서(섬)학회 25 (25): 75-89, 2013
1 김화성, "화성암 지역의 야외지질학습장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 34 (34): 274-285, 2013
2 박미영, "홍도 지형 자원을 활용한 지오투어리즘"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109-121, 2011
3 전영권, "한국의 지오투어리즘" 한국지형학회 17 (17): 53-69, 2010
4 김창환, "한국에서의 지오파크 활동과 지리학적 의미" 한국지형학회 16 (16): 57-66, 2009
5 이정훈, "지형 특성에 기반한 여수시 사도일원의 생태관광 프로그램 구성"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738-752, 2011
6 환경부,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지형)"
7 전남대학교, "전남도서 해안지역 지질환경 연구" 244-, 1999
8 오강호, "전남 진도 관매8경의 지형․지질․경관과 지오투어리즘 활용" 한국도서(섬)학회 24 (24): 131-143, 2012
9 환경부, "울릉도․독도 및 제주도 국가지질공원 인증(보도자료)"
10 윤석태, "울릉도 주변 무인도서의 지형․지질․경관과 활용 및 관리 방안" 한국도서(섬)학회 25 (25): 75-89, 2013
11 안건상, "여수의 암석 분포와 지질경관의 형성" 한국도서(섬)학회 22 (22): 199-211, 2010
12 전남대학교 공룡연구소, "여수 일대 공룡화석 및 지질환경 기초학술조사" 137-, 2001
13 김해경, "여수 사도의 지형 및 지질경관 특성" 한국지형학회 20 (20): 35-43, 2013
14 정철환, "신안군 비금면 일대 보전가치가 있는 무인도서의 지형․지질․경관 특성 및 관리 방안" 한국도서(섬)학회 23 (23): 125-136, 2011
15 김해경, "신안 증도의 지형 및 지질경관 특성" 한국도서(섬)학회 25 (25): 161-173, 2014
16 한국환경정책, "보존 가치가 있는 지형, 지질의 대상 설정에 관한 연구" 159-, 2003
17 박경, "백령도의 보존가치가 높은 지형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지리연구소 28 : 77-89, 2009
18 한국자원연구소, "도서․폐광 현황 및 활용성 연구" 221-, 1991
19 전영권, "대구 신천과 금호강 일대의 문화지형 발굴과 스토리텔링 구성" 한국지형학회 17 (17): 17-30, 2010
20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의 신비로운 지형지질 이야기-다도해편"
21 환경부, "국가지질공원 인증제도 시행(보도자료)"
22 안건상,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금당산의 지질학습장으로서 활용성" 한국지구과학회 34 (34): 235-248, 2013
23 과학기술부, "광주 지질도폭 설명서(1:250,000)"
24 Kern, E. L, "Enhancement of Student Values, Interests and Attitudes in Earth Science Through a Field-Oriented Approach" 32 : 299-305,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