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제규범의 국내확산경로 = Pathways from International Society into National Legislature: Introduction and Co-Sponsorship of Anti-Personnel Landmines Norm in the Republic of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국제규범이 국내 정치과정에 확산되는 경로를 규범의 권능화로 정의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이 글은 국회 안에서 대인지뢰금지규범이 확산되는 경로, 즉 권능화 과정을 규범의 도입 과정과 공동발의 단계로 나누어 분석한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낸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뢰가 매설된 지역구 출신 국회의원이 지뢰제거를 위하여 대인지뢰금지규범을 명분으로 끌어들인다. 대인지뢰금지규범을 담은 의원입법은, 법제화되지 않더라도, 국방부를 압박하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대인지뢰금지규범을 국내로 확산시키려는 비정부 기구는 사회운동 경험을 가진 국회의원에게 접근하여 의원입법을 공동으로 준비하는 과정을 통해국제규범을 내화(內化)하려고 한다. 한국에서 대인지뢰 피해자가 소수이고 대인지뢰매설지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비정부기구는 풀뿌리 운동을 전개하지 않고, 국회의원과 협업을 선택한다. 셋째, 국회의원의 이념 성향과 당적이 대인지뢰금지 규범을 담은 의원입법에 공동발의자로 참여하는지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 반면, 지역구 이해, 소관상임위원회 소속 여부, 성별, 과거 사회운동 경험등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한다. 이 글은 대인지뢰금지규범이 진보적 이념 성향을 보이는 인사에 의하여 국회 안에서 확산되고 있으며 정당 안에서“법안 품앗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경험적으로 확인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국제규범이 국내 정치과정에 확산되는 경로를 규범의 권능화로 정의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이 글은 국회 안에서 대인지뢰금지규범이 확산되는 경로, 즉 권능화 과정을 규...

      이 글은 국제규범이 국내 정치과정에 확산되는 경로를 규범의 권능화로 정의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이 글은 국회 안에서 대인지뢰금지규범이 확산되는 경로, 즉 권능화 과정을 규범의 도입 과정과 공동발의 단계로 나누어 분석한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낸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뢰가 매설된 지역구 출신 국회의원이 지뢰제거를 위하여 대인지뢰금지규범을 명분으로 끌어들인다. 대인지뢰금지규범을 담은 의원입법은, 법제화되지 않더라도, 국방부를 압박하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대인지뢰금지규범을 국내로 확산시키려는 비정부 기구는 사회운동 경험을 가진 국회의원에게 접근하여 의원입법을 공동으로 준비하는 과정을 통해국제규범을 내화(內化)하려고 한다. 한국에서 대인지뢰 피해자가 소수이고 대인지뢰매설지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비정부기구는 풀뿌리 운동을 전개하지 않고, 국회의원과 협업을 선택한다. 셋째, 국회의원의 이념 성향과 당적이 대인지뢰금지 규범을 담은 의원입법에 공동발의자로 참여하는지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 반면, 지역구 이해, 소관상임위원회 소속 여부, 성별, 과거 사회운동 경험등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한다. 이 글은 대인지뢰금지규범이 진보적 이념 성향을 보이는 인사에 의하여 국회 안에서 확산되고 있으며 정당 안에서“법안 품앗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경험적으로 확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dentifies the two paths where the Ottawa Convention to prohibit the use of anti-personnel landmines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constituencies’ interest and transnational advocacy network. National Assemblymen, whose districts include minefields, have been active in internalizing the norm to get rid of landmines in their districts; those who have been involved in transnational advocacy networks tend to be lobbied intensively by anti-personnel landmines activists. In addition, this paper shows that National Assemblymen’s ideological position has stronger impacts than their partisan identification in the co-sponsorship of the two bills which incorporate antipersonnel landmines norm in the Korean legislature.
      번역하기

      This paper identifies the two paths where the Ottawa Convention to prohibit the use of anti-personnel landmines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constituencies’ interest and transnational advocacy network. Nat...

      This paper identifies the two paths where the Ottawa Convention to prohibit the use of anti-personnel landmines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constituencies’ interest and transnational advocacy network. National Assemblymen, whose districts include minefields, have been active in internalizing the norm to get rid of landmines in their districts; those who have been involved in transnational advocacy networks tend to be lobbied intensively by anti-personnel landmines activists. In addition, this paper shows that National Assemblymen’s ideological position has stronger impacts than their partisan identification in the co-sponsorship of the two bills which incorporate antipersonnel landmines norm in the Korean legisla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대인지뢰금지규범의 국회내 유입 경로
      • Ⅲ. 대인지뢰금지규범을 담은 법안의 공동발의
      • Ⅳ. 공동발의 참여에 관한 경험적 분석
      • 논문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대인지뢰금지규범의 국회내 유입 경로
      • Ⅲ. 대인지뢰금지규범을 담은 법안의 공동발의
      • Ⅳ. 공동발의 참여에 관한 경험적 분석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