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집논문 :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의 아리랑 논의에 대한 분석적 고찰 = Special Topic : A Study on Homer B. Hulbert`s Writing on Arir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045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9세기 말-20세기 초에 국내에서 활동했던 미국인 선교사 호머 헐버트(Homer Bezaleel Hulbert, 訖法, 轄甫)[1863-1949]가 아리랑에 관해 남긴 기록을 정교하게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주요...

      본고는, 19세기 말-20세기 초에 국내에서 활동했던 미국인 선교사 호머 헐버트(Homer Bezaleel Hulbert, 訖法, 轄甫)[1863-1949]가 아리랑에 관해 남긴 기록을 정교하게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주요 논의 내용을 항목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헐버트는 한국문학의 전반적인 특징을 고유성과 보편성이라는 두 지표로 파악하였고, 특히 한국시가는 순수한 표현과 격정적인 서정이 주조를 이룬다고 보았다. 한국시가의 이러한 특질을 헐버트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지만, 개별 작품을 거론할 때에는 본래의 단형 시가를 일정 정도 장형화 또는 서사화된 형태로 변형하여 번역하거나 소개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그 같은 방식은 아리랑을 다루는 문맥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헐버트는 한국의 민요 텍스트에 내재된 시적 의미가 항상 복합적인 성격을 띠기 때문에 아리랑과 같은 작품에 접근할 때에는 예사 이상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전제하였다. 그의 설명을 바탕으로 19세기 말 아리랑의 향유 양상을 추적하면, 적어도 1883년 이전의 어느 시점부터 아리랑이 사람들 사이에 점차 확산되던 추세에 있었고 그것이 1883년을 기점으로 대중들의 애호를 받기 시작하였으며, 1896년 무렵 이후부터는 시정에 대단한 인기를 끌었던 것으로 정리된다. 한편, 헐버트가 한국에 체류했던 1880-90년대에 들어서면 ``아리랑``의 본래 어의가 이미 희석되었던 사정도 드러난다. 헐버트는 아리랑의 후창 부분 가운데 ``□ □어라``라는 관습구에 집중하여 후창 전체의 의미를 풀이하였다. 즉, 한국의 노래는 고전적 양식과 대중적 양식을 막론하고 유흥이 중요한 축으로 작용하며, 술은 물론 뱃놀이와 같은 다소 이색적 놀이문화조차 유흥의 상징으로서 아리랑의 관습구에 개재된 것이라 분석하였다. 관습화된 후창과는 달리 선창에 해당하는 부분은 그 변이가 매우 다양해서 어떠한 내용이든 담아낼 수 있다고 보았다. 한편, 헐버트는 무한정 확장되는 아리랑의 수많은 연들이 의미상 일정 정도 독립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들을 엮어서 따로 일관된 서사를 추출해 내기는 어렵다고 인식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헐버트는 아리랑이 한편으로는 세계인의 정서와 상상력을 모두 감싸 안는 보편적 성격을 지니면서도 또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인의 삶과 감수성을 깊이 있게 체현해 내기도 한다고 결론지었다. 더 나아가 인간의 보편적 감성이란 어느 곳에서나 일치된다는 긍정적 세계인식을 아리랑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도출해 내기도 하였다. 따라서 그가 한국문학 전반의 성격을 고유성과 보편성의 양대 자질로 파악하는 구도를 정립하는 데에도 아리랑이 대단히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리라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look at the American missionary, Homer B. Hulbert`s writing on Arirang in the Korean Repository in 1896. Hulbert concluded that Korean literature had two main characteristics: uniqueness and generality. Korean poetry is not only muc...

      This paper aims to look at the American missionary, Homer B. Hulbert`s writing on Arirang in the Korean Repository in 1896. Hulbert concluded that Korean literature had two main characteristics: uniqueness and generality. Korean poetry is not only much shorter and simpler compared to Western poetry but it is also dominated by passion. In spite of his affirmative view of such features, he refused to translate Korean short poems or songs literally into English language. Instead, Hulbert usually attempted to present them as if they originally had certain narrations and plots; consequently, song of Arirang was also introduced to the Western world partly by such way through his writing. Hulbert thought that the text of Korean folksongs always had compound meanings of which foreign observers had to take notice. According to him, Arirang, which could represent the whole Korean folksongs at that time, started to capture the public fancy in about 1883 and won popularity until 1896. However, he finally could not reveal the significance of the word ``Arirang`` because it had already been forgot by 1880s and 1890s when he stayed in Korea. Hulbert interpreted the whole meaning of the chorus of Arirang focusing on its habitual verse "Launch the Boat." He presumed that pleasure and amusement were the main interests of Korean songs, regardless of classical and popular, so the boating excursion as well as drinking composed the notable part of the chorus as the symbol of recreation. While the chorus was fixed, the leading dictions could include almost any contents in them and also were relatively independent from one another. Hulbert concluded that Arirang was universal enough to cover every human feeling or imagination and that the song was so unique that it could fully express Korean life and emotion at the same time. Moreover, from his review of Arirang, Hulbert derived a positive conviction that human nature`s thinking is fundamentally the same all around the world. Accordingly, we can assume the following: Arirang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urces to make him believe that uniqueness and generality were the two m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