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 서체의 微加減法에 관한 고찰 = Study on Miga ․ gam Method (method with slightly adding or subtracting) of Hangul Chirography in Jos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051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시대 한글서체가 생성․변천한 원인을 규명하는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하는 연구이다. 한글서체가 생성․발전․변화해온 근저에는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인 ‘倣’과 밀...

      본고는 조선시대 한글서체가 생성․변천한 원인을 규명하는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하는 연구이다. 한글서체가 생성․발전․변화해온 근저에는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인 ‘倣’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정인지는 ‘훈민정음해례’ 후서에서 “세종대왕께서 창제한 ‘훈민정음’ 28 자는 ‘象形而字倣古篆’이라”고 밝혔다. 이는 문자의 기능과 예술적 감각 그리고 백성 의 편의성을 고려한 과학적이며 독창적인 자형이 상형성과 고전모방설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층적으로는 철학적인 태극, 음양오행, 사계절이 循環無斷하는 원리 가 제자원리에 적용되었음을 밝힌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문자의 제자가 象形性, 古篆模倣性, 자연과 철학적 이치 등이 복합적으로 제시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서체의 조형적 근거를 ‘因文成象圖’에 제시된 ‘한자 의 전서를 만드는 방법 중에서 加와 微加減法이 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다’는 새로운 학설이 발표되었다. 서체의 임모와 창작에서 자형이 만들어진 원리와 변화된 이치는 한글 서예 미학의 중요한 준칙이 된다. 이에 자음의 기본자에 가획을 하여 만든 ‘ㄹ ㅂ ㅍ ㅊ ㅎ’의 자형이 세로획 미가법을 적용한 것을 근거 자료로 선별하여, 조선시대 한글 서체인 판본류와 필사류의 자형에 ‘미가감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였다. 연구방법은 조선시대 한글 문헌인 판본류 28종과 필사류 38종을 시기별로 선별하여 훈민정음 자형과 비교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미가법이 적용된 것은 ‘미’, 미가 법에 가까운 것은 근취의 ‘근’, 미가법에서 먼 것은 원취의 ‘원’으로 규정하여, 초성 의 좌측과 상측, 종성을 각각 분석하였다. 아울러 자형이 변화된 것은 ‘변’으로 규정하여 한글 변천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에 시기별로 구분하고 이를 백분율로 통계한 결과 한글 자형의 변천을 통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15세기 중엽 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형의 모습은 판본 류와 필사류에 따라 변별성이 있으며, 정자, 흘림, 진흘림으로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판본 문헌은 가독성과 시각적 명확성에 충실하여 필사류의 표준 자형의 기능이 있다. 필사류는 필사의 효율성에 따라 실용성에서 점차 예술적 미감이 더해져 하나의 통일된 양식의 궁체가 생성되었다. 따라서 궁체의 생성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진것이 아니라 선인들이 15세기부터 판본 문헌의 정형적 자형을 토대로 삼아, 16세기 이후 필사자의 개인별 미적경험에 따라 점선면의 분간포백에 대한 변화 혹은 통일에 의한 결과이다. 흘림 자형은 각각 독립적으로 나타난 변화의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기보다는 음절 구조를 풀어쓰면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한글자 내에서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필 획의 연결성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미적 발전을 도모한 결과이다. 이는 당시 필사자들이 단순히 내용을 기록하기 위한 한글 사용에서 탈피하여 자소․점획의 형태와 크기․위치 등을 다양하게 변형시키면서 새로운 자형과 서체를 개발하기 위해 끊임없 이 노력한 것을 알 수 있다. 만물이 각각 그 마땅한 곳에서 자신만의 색채를 띠는 것과 같이 한글 편지의 자 형은 각각 成於自然을 본받은 듯하다. 특히 궁체 형성의 토대를 훈민정음 창제 당시 의 ‘미가법’에 의한 공간 변화로써 응용한 것은 마치 사계절이 끊임없이 순환하는 [物極必反] 이치와 같은 원리를 담으려는 노력이 배어있다. 본 연구의 활용성은 조선시대 5백여 년간 서예사적으로 변천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것이므로 한글 서체의 조형적 근거와 ‘變’과 ‘化’의 규칙을 파악하여 예술성을 높일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한글 서예 창작의 영감을 얻을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그리고 ‘미가법’의 변화를 파악하여 한글 서예가 취상한 자연의 법칙을 관찰하는 것은 훈민정음 자형이나 한글 서체를 시각․조형적인 면에서 실용화하 는 중요한 방안일 뿐 아니라 한글의 예술화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나아가 한글서예의 우수성과 아름다운 조형을 제시함으로써 교과서의 참고 자료와 미술대학, 서예대학의 임모자료 및 대학원생의 미학 연구의 대상 자료로 활 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undamentally investigated the cause how Hangul chirography in Joseon was created and has been changed. The foundation that Hangul chirography was created, developed and changed is closely related to the creating principle of Hunminjeongeum...

      This study fundamentally investigated the cause how Hangul chirography in Joseon was created and has been changed. The foundation that Hangul chirography was created, developed and changed is closely related to the creating principle of Hunminjeongeum. Jeong, Inji specified that 28 letters of Hunminjeongeum, King Sejong created, were ‘ 象形而字倣古篆 (It assumed the form, and the letters emulated the old seal script.)’ in the second epistle of ‘Hunminjeongeum Haerye’. It shows that the scientific and creative shape of characters, which considers the function of characters, the artistic sense and the public convenience, is based on the pictogram and the theory of emulation of the old seal script. On the other hand, it was recorded in the creating principle that the constant circulating principle of the Great Ultimate as a philosophical principl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and four seasons was applied in Hunminjeongeum. As above, the creation of letters is based on the pictogram, the theory of emulation of the old seal script, the nature and the philosophical principle. Therefore, a new theory has been released that the creating principle of Hunminjeongeum was related to and based on Ga( 加 , adding) and Miga·gam method(method with slightly adding or subtracting), one of the creating method of the seal script in Chinese characters, which was suggested in ‘Yīnwénchéngxiàngtú( 因文成象圖 , a figure which shows that an image is completed by a pattern)’.
      The basis that the shape of characters was created and the principle that it has been changed in the process of imitating and creating chirography were very important regulations in Hangul chirography aesthetics. Thus, this study concentrated on ‘ ㄹ ㅂ ㅍ ㅊ ㅎ ’ which have been changed in shape and aimed to understand how the Miga·gam method of vertical stokes concretely applied the handwritings for block-printing and manuscripts, which are Hangul chirography in Joseon. This study compared the shape of characters of ‘ ㄹ ㅂ ㅍ ㅊ ㅎ ’ sorted according to the times from 28 kinds of block-printed book and 38 kinds of manuscripts, Hangul literature in Joseon, with that of characters in Hunminjeongeum. It analyzed each left and upper part of an initial consonant and a final consonant by defining that Miga method was applied as ‘Mi( 微 , slight)’, close to Miga method as ‘Geun( 近 , close)’ and far from Miga method as ‘Won( 遠 , far)’. In addition, it investigated the features that Hangul has been changed by defining that the shape of characters has been changed as ‘Byeon( 變 , change)’. The block-printed literature is substantial in readability and visual clarity, so it could function as a standard shape of characters of handwritings in manuscripts. Handwritings in manuscripts have been developed to Gungche(the court style of Hangul), which had one unified style, by adding an artistic sense of beauty according to the efficiency of handwritings. Therefore, Gungche was not created in a day. The foregoers have achieved it by changing or unifying the structure and the arrangement of dots, lines and face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aesthetic experiences based on the standardized shape of characters in manuscript literature since 15th century. It could be discovered that the shape of characters in cursive style has not been independently changed, but aesthetically developed by efficiently using the connectivity of strokes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letter because the writing speed was too slow when writing the structure of syllables separately. The writers have broken away from using Hangul for simply recording contents, and they have constantly tried to develop a new shape of characters and a new handwriting style by variously changing the shape, size and position of consonants, dots and strok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연구의 기저론
      • 1. 연구 내용의 가치
      • 2. 연구 대상 자료의 선정
      • Ⅲ. ‘미가감법’ 자료의 분석
      • Ⅰ. 머리말
      • Ⅱ. 연구의 기저론
      • 1. 연구 내용의 가치
      • 2. 연구 대상 자료의 선정
      • Ⅲ. ‘미가감법’ 자료의 분석
      • 1. 판본문헌
      • 2. 언간류
      • 3. 궁체문헌
      • Ⅳ. ‘미가감법’의 미학적 특징
      • Ⅴ.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복동, "훈민정음 구조와 한글서예의 심미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8

      2 홍윤표, "한글이야기1-2" 태학사 2013

      3 박양춘, "한글을 세계 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6

      4 예술의전당, "한글서예변천전도록" 미진사 1991

      5 박병천, "한글서예 변천전" 예술의전당 89-127, 1991

      6 "한글반포 557주년 기념 서예학술대회 논문집"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7 박병천, "한글궁체연구" 일지사 1990

      8 정복동, "한글書體의 立象盡意的 審美構造" 한국서예학회 (11) : 2007

      9 정복동, "한글書體의 觀物取象的 審美構造" 동양철학연구회 72 (72): 71-103, 2008

      10 최정란, "한글 서예의 자형에 나타난 조형성 연구" 원광대 2004

      1 정복동, "훈민정음 구조와 한글서예의 심미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8

      2 홍윤표, "한글이야기1-2" 태학사 2013

      3 박양춘, "한글을 세계 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6

      4 예술의전당, "한글서예변천전도록" 미진사 1991

      5 박병천, "한글서예 변천전" 예술의전당 89-127, 1991

      6 "한글반포 557주년 기념 서예학술대회 논문집"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7 박병천, "한글궁체연구" 일지사 1990

      8 정복동, "한글書體의 立象盡意的 審美構造" 한국서예학회 (11) : 2007

      9 정복동, "한글書體의 觀物取象的 審美構造" 동양철학연구회 72 (72): 71-103, 2008

      10 최정란, "한글 서예의 자형에 나타난 조형성 연구" 원광대 2004

      11 홍윤표, "한글 서예의 역사와 그 정체성" 세종한글서예큰뜻모임 2001

      12 홍윤표, "한글 서예 서체의 명칭" 성균관대 서예문화연구소 2004

      13 朴壽姿, "한글 書體의 變遷과 特性에 관한 硏究"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88

      14 이재옥, "한글 封書의 書體美에 관한 硏究 : 흘림·진흘림을 中心으로" 원광대 1999

      15 문화재청, "한국의 옛글씨" 2009

      16 이기성, "출판디자인용 한글 궁서체 폰트에 관한 연구" 한국출판학회 183 (183): 183-216, 2007

      17 박정숙, "추사 김정희 서간의 서예미학적 연구 : 한글·한문서간을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18 조민환, "중국철학과 예술정신" 예문서원 1998

      19 백두현, "조선시대의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 92 : 2001

      20 박병천, "조선시대 한글편지 서체자전" 도서출판 다운샘 2012

      21 윤양희, "조선시대 한글서예" 미진사 1994

      22 박병천, "조선시대 한글서간체 연구" 도서출판 다운샘 2007

      23 이광호, "조선시대 한글 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2" 태학사 2005

      24 이광호, "조선시대 한글 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1" 태학사 2005

      25 유지복, "조선시대 초서풍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0

      26 박병천, "조선시대 언간서체의 조형성과 작품화경향 고찰" 103-181, 2003

      27 홍윤표, "조선시대 언간과 한글서예로의 효용성"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28 황문환,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현황과 특성" 국어사학회 (10) : 73-131, 2010

      29 정복동, "조선시대 사대부 언간 서체의 미적 특징 고찰 : 16-19세기 자음자의 서체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37-70, 2011

      30 한국한글서예연구회, "조선시대 문인들과 한글서예" 다운샘 2006

      31 허경무, "조선 시대 한글 서체의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32 이민식, "정조시대의 명필, 정조대왕 탄신 250주년 기념 특별전" 한신대학교 박물관 2002

      33 황선엽, "정미가례시일기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0

      34 한국학중앙연구원, "의성김씨 김성일파 종택 전주이씨 덕천군파 종택 한글 간찰" 태학사 2009

      35 한국학중앙연구원, "은진송씨 송준길․송규렴 가문 한글 간찰" 태학사 2009

      36 송하경, "우리 디자인의 제다움 찾기" 안그라픽스 2006

      37 조민환, "옥동 이서 筆訣" 미술문화원 2012

      38 박병천, "옛문헌 한글 글꼴 발굴․복원 연구 15-21세기" 2001

      39 송준길, "예술의전당도록"

      40 이종덕, "언간을 중심으로 본 필사격식과 표지에 대하여" 15-24, 2004

      41 정복동, "순천김씨묘 출토 언간 ‘倣’적 서체미 소고" 강암서예학술재단 17 : 2013

      42 충북대학교박물관, "순천김씨묘 출토 간찰도록" 학연문화사 2002

      43 박종국, "세종대왕과 訓民正音"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4

      44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세언독 소재 언간(MF35-11350등) , 송준길후손가 언간(MF35-11683등)"

      45 김응학, "서예미학과 예술정신" 古輪 2006

      46 조용선, "봉셔" 도서출판 다운샘 1997

      47 이난영, "궁체의 특성 표현에 대한 연구" 계명대 1997

      48 이진숙, "궁체 정자의 서예에 관한 연구 : 결체미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0

      49 한국어학연구회, "국어사 자료선집" 도서출판 박이정 2003

      50 홍윤표, "국어사 연구" 태학사 1997

      51 천혜봉, "韓國田籍印刷史" 汎友社 2001

      52 홍윤표, "訓民正音의 ‘象形而字倣古篆’에 대하여" 국어학회 (46) : 53-66, 2005

      53 강신항, "訓民正音" 신구문화사 2001

      54 어강석, "藏書閣 所藏 純明孝皇后 관련 한글 簡札'의 內容과 價値" 韓國學中央硏究院 17 : 2007

      55 이완우, "朝鮮王朝의 列聖御筆 刊行" 국립문화재연구소 (24) : 147-168, 1991

      56 장지훈, "崔瑗의 草書美學觀" 8 : 2004

      57 水采田, "宋代書論" 湖南美術出版社 1999

      58 조민환, "孫過庭의 美學思想에 관한 硏究" 동양철학연구회 35 (35): 35-61, 1995

      59 김일근, "增訂(三訂) 諺簡의 硏究" 건국대학교 출판부 1986

      60 정복동, "『신한첩』 서의 심미 양식 고찰 -『숙명신한첩』ㆍ『숙휘신한첩』을 중심으로-" 한국서예학회 (23) : 205-234, 2013

      61 최영희, "『뎡미가례시일긔』의 서예미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62 서영현, "17세기 궁중 언간과 사대부 언간의 서체 비교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7

      63 정복동, "16-17세기 한글편지의 서체적 특징 -여성 한글편지의 중심축 변천에 대한 사상사적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동양예술학회 (16) : 39-77, 2011

      64 정복동, "15세기 한글서예사" 도서출판 다운샘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 0.63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