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미투 운동, 구조적 인권 침해 그리고 인권교육 = Me Too Movement, Structural Violation of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924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 한국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미투 운동의 근본적 원인을 살펴보고, 그 근본원인인 여성에 대한 성폭력 관행과 연관된 다양한 인권 침해 문제들을 살펴본 후,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해 나아가기 위한 인권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한국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미투 운동의 근본적 원인은 여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온 성폭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여성에 대한 성폭력 관행은 구조적으로 성적 욕망을 부추기는 미디어, 정치권력에서의 여성차별과 배제, 노동에서의 여성차별과 배제, 여성에게 아름다움을 강요하고 가사노동을 전담하도록 하는 문화 등과 밀접히 결합되어 있다. 한국사회에서 발생하는 여성에 대한 성폭력 관행은 명시적으로는 신체의 자유만을 위반하고 있는 듯 보이지만, 구조적으로는 정치권, 노동권, 임금, 문화생활, 그리고 교육 등에서의 평등권, 교육권의 위반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인권교육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 노력이 요구된다. 첫째, 여성 자신이 인권을 침해당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에 저항하고 자신의 인권을 지키며 증진시켜 나갈 수 있는 힘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여성에 대한 성폭력을 가져오는 정치, 경제, 교육, 문화, 언론 등이 얽힌 한국 사회구조를 변화시켜 나아가는 것이다. 전자가 여성의 역량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후자는 한국 사회구조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자에서의 인권교육대상은 주로 여성이지만, 후자에 서는 인권교육대상이 여성을 넘어 남성을 포함한 일반 대중, 여성 관련 전문직 종사자, 교육자로 확대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 한국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미투 운동의 근본적 원인을 살펴보고, 그 근본원인인 여성에 대한 성폭력 관행과 연관된 다양한 인권 침해 문제들을 살펴본 후, 이러한 ...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 한국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미투 운동의 근본적 원인을 살펴보고, 그 근본원인인 여성에 대한 성폭력 관행과 연관된 다양한 인권 침해 문제들을 살펴본 후,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해 나아가기 위한 인권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한국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미투 운동의 근본적 원인은 여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온 성폭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여성에 대한 성폭력 관행은 구조적으로 성적 욕망을 부추기는 미디어, 정치권력에서의 여성차별과 배제, 노동에서의 여성차별과 배제, 여성에게 아름다움을 강요하고 가사노동을 전담하도록 하는 문화 등과 밀접히 결합되어 있다. 한국사회에서 발생하는 여성에 대한 성폭력 관행은 명시적으로는 신체의 자유만을 위반하고 있는 듯 보이지만, 구조적으로는 정치권, 노동권, 임금, 문화생활, 그리고 교육 등에서의 평등권, 교육권의 위반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인권교육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 노력이 요구된다. 첫째, 여성 자신이 인권을 침해당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에 저항하고 자신의 인권을 지키며 증진시켜 나갈 수 있는 힘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여성에 대한 성폭력을 가져오는 정치, 경제, 교육, 문화, 언론 등이 얽힌 한국 사회구조를 변화시켜 나아가는 것이다. 전자가 여성의 역량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후자는 한국 사회구조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자에서의 인권교육대상은 주로 여성이지만, 후자에 서는 인권교육대상이 여성을 넘어 남성을 포함한 일반 대중, 여성 관련 전문직 종사자, 교육자로 확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Flasspohler, Svenja, "힘 있는 여성" 나무생각 2018

      2 Laclau, Ernesto, "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 급진민주주의 정치를 향하여" 후마니타스 287-, 2012

      3 정수복,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 당연의 세계 낯설게 보기" 생각의 나무 142-148, 2007

      4 통계청,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5 뉴시스, "캐나다 저명 소설가 앳우드도 ‘미투’비판 역풍"

      6 웅거, 로베르트, "정치: 운명을 거스르는 이론" 창비 2015

      7 Agamben, Giorgio, "장치란 무엇인가? : 장치학을 위한 서론" 난장 33-, 2010

      8 Mill, John Stuart, "자유론" 책세상 2010

      9 Menke, Christoph, "인권철학입문: 정치적⋅도덕적 경험에 비추어 본 인권의 철학적 문제들" 21세기북스 2012

      10 조효제, "인권을 찾아서: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한울아카데미 73-74, 2011

      1 Flasspohler, Svenja, "힘 있는 여성" 나무생각 2018

      2 Laclau, Ernesto, "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 급진민주주의 정치를 향하여" 후마니타스 287-, 2012

      3 정수복,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 당연의 세계 낯설게 보기" 생각의 나무 142-148, 2007

      4 통계청,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5 뉴시스, "캐나다 저명 소설가 앳우드도 ‘미투’비판 역풍"

      6 웅거, 로베르트, "정치: 운명을 거스르는 이론" 창비 2015

      7 Agamben, Giorgio, "장치란 무엇인가? : 장치학을 위한 서론" 난장 33-, 2010

      8 Mill, John Stuart, "자유론" 책세상 2010

      9 Menke, Christoph, "인권철학입문: 정치적⋅도덕적 경험에 비추어 본 인권의 철학적 문제들" 21세기북스 2012

      10 조효제, "인권을 찾아서: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한울아카데미 73-74, 2011

      11 글로벌뉴스통신, "우원식, “안희정, 있을 수 없는 일이 벌어졌다.”"

      12 Wollstonecraft, Mary, "여권의 옹호" 연암서가 92-102, 1792

      13 미디어 오늘, "안희정 충남지사 사퇴…정치권으로 번진 ‘미투’불길"

      14 뉴스1, "숀펜, 미투운동 비판... 갓난 아이들 십자군 전쟁"

      15 나달숙, "사회적 약자 및 소수자의 인권보호와 인권교육 방향"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6 (6): 23-55, 2013

      16 한국양성평등교육원, "대중매체 양성평등 모니터링 보고서: 예능, 오락" 한국양성평등교육원 10-, 2018

      17 Bourdieu, Pierre, "남성지배" 동문선 21-, 1998

      18 장원순, "구조적 폭력에 대응하는 인권교육 접근법"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4 (54): 33-47, 2015

      19 한겨레, "‘성추행⋅성희롱 논란’하일지 교수, 피해주장 학생고소"

      20 SBS, "[뉴스룸 인터뷰] 김지은 비서 “안희정은 왕 같은 존재…거부할 수없었다.”"

      21 Donnelly, Jack, "Universal Human Rights in Theory and Practice" Cornell University Press 9-11, 1989

      22 Nickel, James W., "Making sense of Human Rights" Blackwell Publishing 7-, 2007

      23 Galtung, John, "Human Rights in Another Key" Polity Press 57-, 1994

      24 Osler, Audrey., "Human Rights and Schooling: An Ethical Framework for Teaching for Social Justice"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2016

      25 Tibbitts, Felisa L., "Human Rights Education: Theory, Research, Praxi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69-95, 2017

      26 Flowers, Nancy, "Human Rights Education Handbook: Effective Practices for Learning, Action, and Change" University of Minnesota 3-, 2000

      27 Nussbaum, Martha C., "Crating Capabilities: Human Development approach"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33-34, 2011

      28 여성가족부, "2017 한국의 성평등보고서" 진한엠엔비 ⅸ-ⅹ,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07 1.505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