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산촌생태관광 도입에 관한 산촌주민의 인식 및 요구에 대한 연구 = A Research on Recognition and Needs of Mountain Village Residents about the Introduction of Mountain Eco-Tour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836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산촌주민의 산촌생태관광에 관한 인식 및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산촌생태관광 도입의견, 주민 참여의향, 정책추진 유형, 산림청에 ...

      본 연구에서는 산촌주민의 산촌생태관광에 관한 인식 및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산촌생태관광 도입의견, 주민 참여의향, 정책추진 유형, 산림청에 대한 요구사항, 기대효과 등에 관한 사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대상 및 방법은 산림청에서 조성한 33개 산촌생태마을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조성한 산촌진흥지역 내 농촌체험휴양마을 24개 마을의 마을주민 346명을 대상으로 2015년 6월 17일부터 9월 17일까지 개별면접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로 산촌생태관광 도입 의견에 대한 설문에 86.7%가 찬성한다고 응답하였고, 산촌생태관광 도입 시 78.3%가 참여의향을 나타냈다. 또한 산촌생태관광 정책 수립 시 응답자의 42.2%가 산림청 연관부처 지자체가 협력하여 추진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산촌생태관광 도입 시 지원해야할 요구사항은 환경 및 시설과 관련하여 휴양시설 설치가 60.4%, 프로그램 및 서비스 관련하여 산촌생태관광 프로그램 개발에 67.6%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산촌생태관광 도입을 통한 기대효과에 86.1%가 산촌방문객 증가로 산촌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이라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산촌생태관광 정책수립 시 주민들의 인식 및 요구를 수렴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study the mountain village residents' needs and awareness of eco-tourism. The survey included opinions about introducing Eco-tourism, Residents' willingness to join, types of policies to push forward, requirements to Korea...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study the mountain village residents' needs and awareness of eco-tourism. The survey included opinions about introducing Eco-tourism, Residents' willingness to join, types of policies to push forward, requirements to Korea Forest Service and expected outcomes. 346 residents were selected for this survey from 33 mountain eco-villages established by Korea Forest Service and 24 rural experience villages established by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they respectively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rough interview from June $17^{th}$ 2015 to September $17^{th}$ 2015. As a result of major analysis, the survey showed that 86.7% of residents were in favor of the introduction of mountain village eco-tourism and 78.3% of those questioned showed the willingness of their participation of the program. Also 42.2% of respondents reacted positively that Korea Forest Service, associated administration agency and local government should be cooperated when the policies are established. 60.4% of respondents said they expect installment of recreational facilities and 67.6% said they expect development of eco-tourism program, which were respectively the highest rate as the requirements to be supported when the eco-tourism program are introduced. 86.1% said that increasing visitors will help mountain villages more revitalized as eco-tourism is introduce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when making the mountain eco-tourism policy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형, "힐링열풍과 관광개발 -개념, 사회문화적 배경과 사례-" 동북아관광학회 10 (10): 1-17, 2014

      2 김영수, "한국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성공요소에 관한 사례연구 -농촌체험 관광마을을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19 (19): 167-206, 2009

      3 이진의, "치유프로그램의 웰니스적 가치가 치유프로그램 만족, 충성도, 주관적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숲 치유프로그램 경험자를 대상으로 -" 한국관광학회 40 (40): 167-183, 2016

      4 엄붕훈, "조건불리 산촌지역 생태관광에 대한 주민의식 조사 분석-경북 봉화군을 대상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10 (10): 9-18, 2004

      5 주현식, "제주특별자치도 방문관광객의 저탄소 관광동기 분석을 통한 녹색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법과정책연구원 20 (20): 455-483, 2014

      6 김예지, "생태학적 정책 네트워크에 근거한 일본의 생태관광 정책 분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 (20): 103-113, 2016

      7 윤화영, "산촌지역 생태관광 개발에 대한 주민의식과 참여에 관한 연구 - 경기도 남양주시 운길산 지역과 강원도 원주시 황둔리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22 (22): 280-288, 2008

      8 김성학, "산촌생태마을 유형별 주민 보완 요구 및 기대 효과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 19 (19): 71-80, 2013

      9 이상홍, "산촌개발사업 조성이후의 마을시설현황에 따른 주민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7 (17): 71-78, 2006

      10 연광호, "산림생태관광객의 환경의식과 관광동기가 관광지 매력성, 만족 및 관광 후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략마케팅학회 19 (19): 135-150, 2011

      1 이진형, "힐링열풍과 관광개발 -개념, 사회문화적 배경과 사례-" 동북아관광학회 10 (10): 1-17, 2014

      2 김영수, "한국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성공요소에 관한 사례연구 -농촌체험 관광마을을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19 (19): 167-206, 2009

      3 이진의, "치유프로그램의 웰니스적 가치가 치유프로그램 만족, 충성도, 주관적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숲 치유프로그램 경험자를 대상으로 -" 한국관광학회 40 (40): 167-183, 2016

      4 엄붕훈, "조건불리 산촌지역 생태관광에 대한 주민의식 조사 분석-경북 봉화군을 대상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10 (10): 9-18, 2004

      5 주현식, "제주특별자치도 방문관광객의 저탄소 관광동기 분석을 통한 녹색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법과정책연구원 20 (20): 455-483, 2014

      6 김예지, "생태학적 정책 네트워크에 근거한 일본의 생태관광 정책 분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 (20): 103-113, 2016

      7 윤화영, "산촌지역 생태관광 개발에 대한 주민의식과 참여에 관한 연구 - 경기도 남양주시 운길산 지역과 강원도 원주시 황둔리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22 (22): 280-288, 2008

      8 김성학, "산촌생태마을 유형별 주민 보완 요구 및 기대 효과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 19 (19): 71-80, 2013

      9 이상홍, "산촌개발사업 조성이후의 마을시설현황에 따른 주민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7 (17): 71-78, 2006

      10 연광호, "산림생태관광객의 환경의식과 관광동기가 관광지 매력성, 만족 및 관광 후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략마케팅학회 19 (19): 135-150, 2011

      11 김정민, "산림기반형 한방치유 관광상품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26 (26): 463-471, 2012

      12 오형은, "농촌체험마을의 어메니티 평가 경향 연구" 한국농촌사회학회 21 (21): 7-46, 2011

      13 심상오, "농촌 체험마을 성공사례 비교 분석을 통한 친환경 관광 창업 현황과 성공요인 분석" 글로벌경영학회 13 (13): 377-405, 2016

      14 이덕재, "농산촌체험마을 지역주민의 체험프로그램 참여의향- 산촌생태마을사업을 위한 정책적 제언 -" 한국조경학회 36 (36): 1-11, 2008

      15 김종호, "농산촌 개발마을 사례별 마을개발사업에 대한 지역주민 의식" 한국산림과학회 96 (96): 714-723, 2007

      16 전준헌, "국내외 농촌체험관광 포탈사이트 비교 분석을 통한 산촌체험마을 포탈사이트 개선방안" 한국농촌계획학회 13 (13): 31-42, 2007

      17 강성진, "공정여행으로서 농촌관광 태도 및 만족과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농촌체험마을 방문객을 대상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30 (30): 313-333, 2015

      18 Mun, S. M, "The study on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mountain village tourism planning process : focused on the role relations among stakeholders" 16 : 179-195, 2004

      19 Yun, H. Y., "The development of tour-guide training program for forest-ecotourism in Korea" 8 (8): 41-51, 2004

      20 Kim, Y. L., "The Survey on rural tourism"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2

      21 Hwang, Y. H., "The Survey on Eco-tourism"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0

      22 Lee, J. K., "Promoting Ecotourism by Utilizing Natural Resources in Seoul" The Seoul Institute 2004

      23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Ecotourism Census(in Korea, 2010. 12. 27.)"

      24 Kim, J. H., "Division of Mountain Areas in South Korea and its Characteristics" 3 (3): 91-100, 1999

      25 Park, J. A., "Case study on success model of sustainable community business-focusing on the rural experience tourism village-" Soonsil University 2011

      26 Kim, J. H., "Analysis on Visitor Behaviour and Satisfaction about Green Tourism in Rural and Mountain Villages" 11 (11): 7-14, 2007

      27 Lee, S. H, "A study on promoting rural tourism in the Gyeongbuk province" 2 (2): 35-53, 2006

      28 Kim, J.H., "A study on plan for mountain village promotion by introduction of mountain eco-tourism" Research Project Report of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임학회 -> 한국산림과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임학회지 -> 한국산림과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임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2 0.87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