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 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카메라 인터페이스의 사용성에 관한 연구 = The Usability of the Smartphone Camera Interface by Using One H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49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 손으로 스마트폰 카메라의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경우, 각 메뉴 별 사용성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실험 방법은 태스크 수행을 통한 정량적 분석과 사용자 설문을 통한 정성적 ...

      본 논문은 한 손으로 스마트폰 카메라의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경우, 각 메뉴 별 사용성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실험 방법은 태스크 수행을 통한 정량적 분석과 사용자 설문을 통한 정성적 방법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스마트폰 카메라 사용에 익숙한 피실험자들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정량적 분석 방법은 단계별 태스크를 부여하고 이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작 오류와 스마트폰을 떨어뜨리는 확률을 측정함으로써 편이성을 조사한 것이다. 조사 결과 확대축소, 환경설정, 포커스 기능들이 각 평균 8.04초, 8.08초, 7.47초로 소요되었고, 다른 기능 조작시간과 비교하여 수행시간이 길었다. 사진별 조작오류는 28.13%, 그리고 폰 드랍(drop) 확률이 3.13%로 측정되었다. 이 후, 정성적 분석을 위해 두 종류의 설문을 1~5점 척도로 수행하였다. 첫째는 한 손 조작으로 얻어진 사진의 품질만족도를 조사한 것으로 평균 2.29/5인 45.8%의 결과 값을 얻었다. 둘째는 카메라의 조작 용이성을 각 인터페이스별로 조사한 것이다. 확대축소가 1점, 환경설정이 1.5점, 포커스가 2점, 바로가기가 2.25점의 수치였으며, 이는 모두 ‘보통’이하의 점수이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카메라 인터페이스의 문제점을 규명하고,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와 더불어 향후 연구 과제로 사람의 요소를 고려한 편이성 측정 모델의 틀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bout the interface usability of the smartphone camera when it used by just one han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0 subjects who are familiar with using smartphone. A experiments were processed two types. one is quantitative analysis ...

      This paper is about the interface usability of the smartphone camera when it used by just one han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0 subjects who are familiar with using smartphone. A experiments were processed two types. one is quantitative analysis by performing tasks, another is qualitative analysis by doing a survey. To be specific, quantitative analysis is measuring how convenience user felt, through checking time to carry out, error rate and dropping rate after giving tasks to subjects. According to the result, it spends more time to use the functions of the zoom, the configuration and the focus than the others, 8.04, 8.08 and 7.47 seconds on average. Plus, error rate was 28.13% and dropping rate is 3.13% in each picture. Then, we carried out two questionnaires which are consisted of 1~5 point scales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First one is the user satisfaction research about the picture’s quality. It was 2.29 point on average (45.8%). Second, it is research of people’s usability, handling each interface of the camera. Zoom is 1 point, configuration is 1.5 point, focus is 2 point and quick menu is 2.25 point. All these points are under the 3 (normal) score. Through this, we bring out the problem of the smartphone camera interface distinctly and suggest necessity of the new interface. Added to this, we propose the model of the measuring convenience considering the human factor as our future wor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실험 방법
      • 3. 평과 결과 분석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실험 방법
      • 3. 평과 결과 분석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