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활동 수행 중 경험하는 교사정서와 교사-영아 상호작용 관계에서 보육효능감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보육효능감의 매개효과는 교사의 일반적 특성 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24256
서울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 전공 , 2020.2
2020
한국어
서울
Mediating effect of child care efficacy in relation between teacher emotion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vi, 110장 : 삽화 ; 26 cm
지도교수: 김수정
I804:11046-00000052306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활동 수행 중 경험하는 교사정서와 교사-영아 상호작용 관계에서 보육효능감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보육효능감의 매개효과는 교사의 일반적 특성 중...
본 연구는 보육활동 수행 중 경험하는 교사정서와 교사-영아 상호작용 관계에서 보육효능감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보육효능감의 매개효과는 교사의 일반적 특성 중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쳤던 학력과 경력의 영향을 통제한 후 살펴보았으며, 연구대상은 서울·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만 0, 1, 2세 영아반 담임교사 372명이다.
교사정서를 측정하기 위하여 Frenzel, Pekrun, Goetz, Daniels, Durksen, Becker-Kurz과 Klassen (2016)이 개발한 TES(Teacher Emotions Scales) 척도를 본 연구자가 번안하고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김명순, 김온기, 이완정(2014)이 개발한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 지표를 자기평가 척도로 제작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보육효능감의 측정도구는 三木知子(미키토모코)・櫻井茂男(사쿠라이시게오) (1998)가 개발하고 현정환(2003)이 번안한 척도를 본 연구자가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측정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독립표본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ANOVA), Scheffé 사후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보육활동 수행 중 경험하는 교사정서와 보육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마지막으로 보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 (1986)의 3단계 매개효과검증 절차에 따라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고,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변인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보육활동 수행 중 경험하는 ‘즐거움’의 정서는 교사의 경력과 팀티칭 유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분노’는 교사의 경력과 기관유형 및 담당연령, ‘불안’의 정서는 학력, 기관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보육효능감은 교사의 학력, 경력, 기관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사가 보육활동 수행 중 경험하는 긍정정서는 교사-영아 상호작용과 정적 관계에 있으며 부정정서는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효능감은 교사-영아 상호작용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보육활동 수행 중 경험하는 교사정서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서 보육효능감은 ‘즐거움’, ‘분노’, ‘불안’에 대하여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즐거움’의 정서는 보육효능감의 수준을 높이고, 보육효능감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수준을 높이는 정적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분노’와 ‘불안’은 보육효능감을 낮추게 되고, 낮아진 보육효능감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수준도 떨어뜨리게 되어 부적 영향을 미치게 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보육활동 수행 중 경험하는 교사정서는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교사정서와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의 보육효능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 care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motion and the teacher–infant/child interaction that occurs during child care. Such effect was unraveled after controlling for the influence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 care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motion and the teacher–infant/child interaction that occurs during child care. Such effect was unraveled after controlling for the influence of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careers on the aforementioned interaction. The sample comprised 372 teachers who worked in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who handled classes for infants as well as 1- and 2-year-old children.
To measure teacher emotion, the current research adapted the Teacher Emotions Scales (TES) developed by Frenzel, Pekrun, Goetz, Daniels, Durksen, Becker-Kurz, and Klassen (2016). To determine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present research used Kim Myeong-Soon, Kim On-Gi, and Lee Wan-Jeong's (2014) scale as a self-evaluation scale that features the third version of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Ascertaining child care efficacy involved the revision and use of a scale created by Miki and Sakurai (1998) and translated by Hyun Jung-Hwan (2003). The present work also involved calculating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scores and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to illuminate the general tendency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derived from the collected data. In addition,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analysis of variance, Scheffés post-hoc test, and a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measurement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quire into how teacher emotion and child care efficacy influence the engagement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The mediating role of child care efficacy was demonstrated via a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three-step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procedure of Baron and Kenny (1986). Finally, a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o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joyment as an emotion experienced during child care varied depending on the careers of the teachers and whether such educators used team teaching or not. Anger also differentially occurred in accordance with teacher career, institution type, and infant age. Anxiety emerged to varying degrees contingent 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type of institution. The same variance was observed in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child care efficacy, which hinged 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teacher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teacher career, and institution type, respectively.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the positive emotion(enjoyment) that teacher is experiencing during child care has positive relation with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negative emotion(anger, anxiety) influences negative relation to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addition, it found that care efficacy ha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teacher-children correlation. Third, child care efficacy exhibit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joyment, anger, and anxiety as teacher emotion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Specifically, enjoyment positively affected child care efficacy, which increased the degree of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their infant. By contrast, anger and anxiety negatively influenced child care efficacy, thereby reducing the level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emotions teachers experience during child care bears on their interaction with infants. The findings likewise indicated that the child care efficacy of teachers mediates the link between teacher emotion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