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급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효과적인 듣기 · 읽기 통합 교수를 위하여 언어의 네 기능 중, 이해의 영역으로 분류되는 듣기와 읽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그 전이 양상을 알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338223
경산 :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학위논문(석사) -- 영남대학교 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학 , 2011. 2
2011
한국어
경상북도
; 26 cm
지도교수: 서종학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급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효과적인 듣기 · 읽기 통합 교수를 위하여 언어의 네 기능 중, 이해의 영역으로 분류되는 듣기와 읽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그 전이 양상을 알아...
본 연구는 초급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효과적인 듣기 · 읽기 통합 교수를 위하여 언어의 네 기능 중, 이해의 영역으로 분류되는 듣기와 읽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그 전이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급 여성 결혼이민자의 듣기와 읽기 능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 r=0.669의 비교적 높은 수준의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이는 초급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듣기 능력과 읽기 능력이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는 뜻으로 그 입력 신호가 다를지라도 듣기에서 일정 수준의 능력을 가진 학습자라면 읽기의 경우도 그와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읽기에서 일정한 수준의 능력을 갖춘 학습자라면 듣기의 경우에도 그러한 능력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둘째, 초급 여성 결혼이민자의 듣기 능력과 읽기 능력은 그 하위 기능 간에도 상관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듣기와 읽기의 각 사실적 이해와 추리 상상적 이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 r=0.605와 0.544의 비교적 높은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셋째, 두 능력의 전이 양상에 대해서 살펴 본 결과 듣기 중심 학습 집단의 듣기 능력과 읽기 능력이 읽기 중심 집단의 결과보다 더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듣기 중심 학습 집단의 읽기 능력이 읽기 중심 집단의 읽기 능력의 향상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발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초급 여성 결혼이민자의 경우 듣기에서 읽기로 그 능력이 전이되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 그러나 듣기와 읽기의 공통 하위 기능인 사실적 이해 능력에서는 양방향의 전이가 확인되었다. 이는 사실적 이해라는 비교적 낮은 수준의 이해를 점검하는 영역에서는 듣기와 읽기의 양방향 전이가 확인됨에 따라 적절한 교수와 학습에 의해서 다른 하위 기능들에서도 양방향 전이가 가능함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듣기와 읽기의 높은 상관관계와 전이 가능성이 한국어 학습 상황에서도 검증됨에 따라 다음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듣기와 읽기는 근본적으로 같다는 일원가설을 지지해 주고 있다. 또한 듣기와 읽기의 높은 상관관계는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듣기 연습뿐만 아니라 읽기 연습도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와 마찬가지로 읽기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듣기 연습도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둘째, 듣기와 읽기 능력 사이의 높은 상관성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두 기능을 통합하여 교수하는 것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서론에서도 밝혔듯이 언어 기능 간 통합에 앞서 그 기능들 간의 상관성 연구가 선행되어야 올바른 방법적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공통 기능을 중심으로 한 듣기와 읽기 기능 지도, 기능의 전이를 고려한 듣기와 읽기 지도 등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사실적 이해 능력에서의 듣기와 읽기의 양방향 전이가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됨에 따라 앞으로 추리 상상적 이해와 같은 다른 하위 기능 요소들의 양방향 전이 또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이며 실제적인 초급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듣기와 읽기의 통합 교수 방안에 대해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