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교육정상화정책의 입법정책적 요인분석: “공교육 정상화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Legislative Policy Factor in the “The Special Law of Public Education Normalization and Regulation of Precedent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753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ing the factor of the legislative policy in the “The Public Education Normalization Law” and suggesting the method of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focusing on policy goals and means. The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spite its policy goals of the normalization in public education, substantively it includes limited focus on the normalization in school educ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adequacy of the policy goals is somewhat limited in that the regulation is uniform ignoring the particularity of individual schools. Third, with regard to the effectiveness of policy means, the regulation of precedent education is more useful in the psychological aspect than the social-cultural aspect. Finally, a deliberate review on the legal-feasibility of regulation of precedent education is required due to its possibility of unconstitutional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ing the factor of the legislative policy in the “The Public Education Normalization Law” and suggesting the method of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focusing on policy goals and means. The research findings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ing the factor of the legislative policy in the “The Public Education Normalization Law” and suggesting the method of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focusing on policy goals and means. The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spite its policy goals of the normalization in public education, substantively it includes limited focus on the normalization in school educ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adequacy of the policy goals is somewhat limited in that the regulation is uniform ignoring the particularity of individual schools. Third, with regard to the effectiveness of policy means, the regulation of precedent education is more useful in the psychological aspect than the social-cultural aspect. Finally, a deliberate review on the legal-feasibility of regulation of precedent education is required due to its possibility of unconstitutiona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4년 3월에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으나 법의 제정부터 개정의 논란이 되고 있는 ‘공교육 정상화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약칭: 공교육정상화법)이 입법정책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분석이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이 법이 지향하는 정책목표의 명확성과 적절성, 그리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수단의 효과성과 법적 실현가능성을 분석하여 결과적으로 이들이 이 법의 목표달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를 검토하였다. 분석의 결과 공교육정상화법이 공교육의 정상화라는 정책목표를 지향하고 있다고 하지만 실질적 내용상으로는 공교육의 한 부문인 학교교육과정의 정상화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하나의 법률・제도만으로는 부족하며, 각급 단위학교의 특수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획일적인 규제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법만으로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한편, 공교육정상화법의 정책수단인 선행교육 규제의 효과는 선행교육의 교육적・사회문화적 측면보다는 심리적인 측면에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선행교육 규제가 가지고 있는 기본권 침해와 직업선택의 자유 제한과 같은 문제는 다른 법률체계와의 충돌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재검토의 필요성이 보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14년 3월에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으나 법의 제정부터 개정의 논란이 되고 있는 ‘공교육 정상화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약칭: 공교육정상화법)이 입법정책에 미치는 ...

      본 연구는 2014년 3월에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으나 법의 제정부터 개정의 논란이 되고 있는 ‘공교육 정상화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약칭: 공교육정상화법)이 입법정책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분석이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이 법이 지향하는 정책목표의 명확성과 적절성, 그리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수단의 효과성과 법적 실현가능성을 분석하여 결과적으로 이들이 이 법의 목표달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를 검토하였다. 분석의 결과 공교육정상화법이 공교육의 정상화라는 정책목표를 지향하고 있다고 하지만 실질적 내용상으로는 공교육의 한 부문인 학교교육과정의 정상화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하나의 법률・제도만으로는 부족하며, 각급 단위학교의 특수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획일적인 규제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법만으로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한편, 공교육정상화법의 정책수단인 선행교육 규제의 효과는 선행교육의 교육적・사회문화적 측면보다는 심리적인 측면에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선행교육 규제가 가지고 있는 기본권 침해와 직업선택의 자유 제한과 같은 문제는 다른 법률체계와의 충돌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재검토의 필요성이 보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용창, "해양쓰레기 정책결정의 합리성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3

      2 조성윤, "한국의 교육실태와 공교육 활성화 방안 : 학교 수준의 개선책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윤정일, "한국 교육정책의 쟁점" 교육과학사 2002

      4 김수민, "학생과 학부모의 사교육행태와 사교육결정요인 및 그 효과성 인식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5

      5 남혜선, "중학생의 과외경험과 과외태도 및 학습동기간의 관계" 昌原大學校 大學院 1998

      6 정정길, "정책학원론" 대명문화사 2008

      7 노화준, "정책학원론" 박영사 2003

      8 최병선, "정부규제론" 법문사 2010

      9 김미숙, "일반고의 교수학습 질 분석:계층이 다른 평준화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1-30, 2008

      10 김성천, "인문계 고등학생의 선행학습 효과 분석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9 (19): 87-108, 2011

      1 장용창, "해양쓰레기 정책결정의 합리성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3

      2 조성윤, "한국의 교육실태와 공교육 활성화 방안 : 학교 수준의 개선책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윤정일, "한국 교육정책의 쟁점" 교육과학사 2002

      4 김수민, "학생과 학부모의 사교육행태와 사교육결정요인 및 그 효과성 인식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5

      5 남혜선, "중학생의 과외경험과 과외태도 및 학습동기간의 관계" 昌原大學校 大學院 1998

      6 정정길, "정책학원론" 대명문화사 2008

      7 노화준, "정책학원론" 박영사 2003

      8 최병선, "정부규제론" 법문사 2010

      9 김미숙, "일반고의 교수학습 질 분석:계층이 다른 평준화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1-30, 2008

      10 김성천, "인문계 고등학생의 선행학습 효과 분석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9 (19): 87-108, 2011

      11 고형순, "수학 선행학습과외와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교 수학학습태도와의 관계"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2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선행학습실태 전국조사결과 발표와 유발 원인 해소를 위한 제도적 대책"

      13 이종태, "선행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2

      14 김정민, "선행학습 유발요인 분석을 통한 학교교육 개선 방향 탐색" 안암교육학회 20 (20): 135-166, 2014

      15 김현철, "선행학습 실태 및 학습 부담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사교육정책중점연구소 2012

      16 김태호, "선행학습 금지법의 시행과 공교육 정상화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7 서남수, "선행교육금지법에 대한 인터뷰"

      18 이승호, "선행교육금지법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55-83, 2015

      19 김태종, "사교육의 효과 수요 및 그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07

      20 강창희, "사교육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및 정책 제언" 한국교육개발원 2010

      21 김영철, "사교육비 해소 방안: 과열 과외를 중심으로" 19 (19): 149-180, 2001

      22 안선회, "사교육비 경감정책 평가연구 : 참여정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23 서춘래, "사교육문제해결을 위한 공교육의 역할" 1 (1): 47-65, 2003

      24 이종재, "사교육 현상에 대한 세계적 동향 분석 - 사교육을 유발하는 수요기제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9 (9): 203-228, 2008

      25 이종재, "사교육 대책의 유형에 관한 분석적 연구" 교육연구소 9 (9): 173-200, 2008

      26 김영철, "과외와 사교육비" 6 (6): 1-36, 1997

      27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공교육정상화촉진특별법 관련, 국민 여론 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

      28 정효진, "공교육 정상화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15

      29 신현석, "공교육 위기현상의 분석과 정상화를 위한 전략적 구상" 한국교육개발원 30 (30): 419-445, 2003

      30 최성욱, "‘학교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인식의 재구성과 그 적용" 교육연구원 26 (26): 127-142, 2010

      31 Nakamura, R. T., "The politics of policy implementation" St. Martin’s Press 1980

      32 Wildavsky, A. B., "Speaking truth to power: The art and craft of policy analysis" Transaction Publishers 1987

      33 Anderson, J. E., "Public policy-making" Holt, Rinehart and Winston 1984

      34 Dunn, W. N., "Public policy analysis: An introduction" Prentice Hall 2003

      35 MacRae, D., "Policy analysis for public decision" Duxbury Press 1979

      36 Pressman, J. L., "Implemen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37 Okun, A. M., "Equality and efficiency: The big trade-off"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975

      38 Mazmanian, D. A.,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D. D. Heath and Company 3-35, 1981

      39 Kerr, D. H., "Educational policy: Analysis, structure, and justification" David McKay 1976

      40 Franklin, G. A., "Bureaucracy and policy implementation" Dorsey Press 1982

      41 Simon, H. A., "Administrative behavior: A study of decision-making processes i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e Free Press & Collier Macmillan Publishers 1976

      42 통계청, "2014년 사교육비조사 결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2 0.589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