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인권 보호 강화정책은 오랜 학교의 학생지도 관행을 수정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매우 신중하게 다루어져야 할 과제이다. 학교에서 일정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소 과도하게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00751
2013
-
학생인권 ; 학생지도 ; 법률유보 ; 조례 ; 두발 ; 복장 ; 휴대전화 ; students` human rights ; ordinance ; student discipline ; delegation by laws ; hair style ; dress ; cellular phone
300
KCI등재
학술저널
27-51(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학생인권 보호 강화정책은 오랜 학교의 학생지도 관행을 수정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매우 신중하게 다루어져야 할 과제이다. 학교에서 일정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소 과도하게 ...
학생인권 보호 강화정책은 오랜 학교의 학생지도 관행을 수정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매우 신중하게 다루어져야 할 과제이다. 학교에서 일정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소 과도하게 학생의 자유를 제한하여도 무방하다는 의식이 일반적으로 높은 가운데, 지역별 또는 학교별로 입장이나 목표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적용되는 획일적이고 구체적인 학생지도 방법을 법령으로 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이점에서 구체적인 학생지도 방법을 학칙에 위임하고 그 학칙규정은 학생, 학부모, 교원 등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존중하여 정하도록 법령으로 규정한 것은 적절한 정책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체벌만 금지하고 여타 사항은 교육상 필요한 범위 내에서 학교별 학칙으로 정하도록 포괄적으로 위임하는 것은 헌법상의 기본권 제한 법률유보 정신과 국제인권협약의 규정에 잘 부합되지 아니한 측면이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학칙규정 작업을 위해 각급 학교들에게 불필요한 행정적 부담을 줄 수 있다. 이점에서 교육부가 부령으로 가칭 ‘학생지도에 관한 규정’을 제정하거나, 시·도별로실정에 적합한 ‘학생지도에 관한 조례’를 제정토록 지원함으로써 학교가 공통적으로 준수해야할 학생인권 보호의 내용과 제한의 한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licy on the enhancement of students` human rights is a delicate and complex issue which should be treated with sincere caution. On the one hand, there is concrete arguments that students` rights naturally shall subject to regulations of school a...
The policy on the enhancement of students` human rights is a delicate and complex issue which should be treated with sincere caution. On the one hand, there is concrete arguments that students` rights naturally shall subject to regulations of school authorities for the purpose of school goals. On the other hand, advocates for students` rights allege that students shall not shed their rights in front of school gates, and the supporters take sides in the opinion that educational goals should not be used a rationale for suppressing students` rights. At present, there are considerable variations of opinions on the issue across the regions and schools, and then, it means that the associated policy is not an object for national uniformity through related acts. The alternative and adequate solution to the problem is to delegate the authorities of the regulations of students` rights to individual schools so that they could establish contingent standards by school rules. Of course, the rules need to be based on the informed discussions and forthcoming consensus of relevant interest groups such as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The policy toward autonomous regulations in schools should have a prerequisite that school rules should be guided by and subject to school laws and related international norms, which illustrate the principles and limitations of students` right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an obligation to write namely administrative order for student discipline for the purpose of guiding schools adequately, or to support local governments in making contingent ordinances for student discipline in considerations of their experiences and situations. The enforcement of such measure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building up the educationally and legally justifiable criteria for the protections and constraints of students` rights.
교육복지정책 및 법제화 논의 분석을 통한 교육복지의 발전 방향
소수자우대정책의 최근 동향 및 시사점: 미국과 브라질의 사례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