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의 목적은 강원지역 기독교 여성의 교육사업과 3.1운동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3.1운동에 참여한 여성 중 피검자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여성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838723
2009
Korean
강원도 ; 기독교여성 ; 교육사업 ; 3.1운동 ; 선교사 ; Gangwon-do ; Christian women ; education projects ; 3.1 Independence Movement ; Christian missionary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71-92(22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강원지역 기독교 여성의 교육사업과 3.1운동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3.1운동에 참여한 여성 중 피검자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여성들...
본고의 목적은 강원지역 기독교 여성의 교육사업과 3.1운동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3.1운동에 참여한 여성 중 피검자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여성들의 역할이 크게 드러나지 않았다. 그러나 선교사들의 증언에 의하면 교회를 다니던 많은 여성들이 참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이 피검되지 않았기 때문에 자료상으로는 찾아볼 수가 없었다. 대표적으로 드러난 여성들은 대부분 기독교인들이었다. 다른 지역의 기독교인들과 비교했을 때는 약간 저조한 편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미감리회 선교사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1919년 3월 13일 독립운동을 추진하기 위하여 서울에서 몇 명의 연락자가 왔는데 선교사가 일본 관헌에 고발하여 체포하게 만들었다. 선교사들은 3.1운동이 일어나자 전도사 회의를 중지하고 예배 때는 헌병을 임석시켰다. 이러한 선교사의 태도로 인해 강원 지역 기독교인들의 3.1운동은 자발적·산발적으로 일어났다. 기독교인들의 3.1운동은 전국조직망을 통해 연결되었는데, 강원 지역에서는 그러한 조직망을 끊어 놓았기 때문에 고종의 장례식에 참가한 후 귀향하여 만세운동을 벌이거나 지역의 한국인 목사 중심으로 운동이 전개되었다. 강원 지역 여성들을 위해 여성 선교사들이 많은 근대적인 교육을 실시했으나 크게 대중화되지는 못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강원 지역의 역사적·지리적 조건 등으로 타 지역에 비해 여러 가지로 제약이 따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몇 지역에서는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더 적극적으로 만세운동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일제시대 강원지역 여성들의 3.1운동을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3.1운동 이후 어떠한 활동의 모습을 보이는가라는 부분까지 모두 살펴보아야 한다. 이와 더불어 강원지역의 여성사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서는 신문화운동을 받아들이는데 가장 앞장섰던 기독교 여성들의 활동도 더 구체적으로 발굴하고 분석한다면 강원 지역 여성사의 지평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 women`s educational projects in Gangwon-do area and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hen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3.1 Independ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 women`s educational projects in Gangwon-do area and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hen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and were arrested were examined, their roles were not conspicuous. According to missionaries` testimonies, however, many church-going women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Nevertheless, because they were not arrested their activities were not recorded. Most of notable women were Christians. Compared to Christians in other areas, those in Gangwon-do participated less in the movement. One of the reasons was the presence of missionaries from the Methodist Church in the U.S. On March 13, 1919, a number of liaisons came from Seoul for promoting independence movements, but they were reported by the missionaries and arrested by Japanese police. As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broke out, the missionaries suspended the evangelist meetings and held the worship service in the presence of Japanese military police. Because of the missionaries` attitude as such, Christians in the Gangwon-do area had to participate in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only individually and sporadically.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by Christians was executed through a nationwide network, but the Gangwon-do area was isolated from the network. For this reason, in Gangwon-do, the movement was led by those who had attended King Gojong`s funeral and returned home or local Korean pastors. Women missionaries performed a lot of modern education for women in the Gangwon-do area, but their education seems not to have been popularized sufficiently. Compared to other areas, the Gangwon-do area was under many restrictions due to its historic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In some areas, nevertheless, women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more actively than men. In order to evaluate women`s role in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Gangwon-do area, we need to investigate all aspects including women`s activities after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In order to expand the horizon of the history of women in Gangwon-do, moreover, there should be more specific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activities by Christian women who led new cultural movem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1900
2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기독교의 역사 Ⅱ" 기독교문사 1990
3 조이제, "한국 감리교 청년회 100년사" 감리교청년회 10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1997
4 이덕주, "한국 감리교 여선교회의 역사" 기독교 대한감리회 여선교회전국연합회 1991
5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여성사연구회, "전도부인자료집"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9
6 오영교, "원주독립운동사" 원주시 2005
7 황기수, "속초교회 70년사" 속초교회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1997
8 강릉 김씨, "서유록"
9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삼일운동 재판기록 5"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영위원회 1974
10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제2권(상)"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영위원회 1970
1 1900
2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기독교의 역사 Ⅱ" 기독교문사 1990
3 조이제, "한국 감리교 청년회 100년사" 감리교청년회 10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1997
4 이덕주, "한국 감리교 여선교회의 역사" 기독교 대한감리회 여선교회전국연합회 1991
5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여성사연구회, "전도부인자료집"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9
6 오영교, "원주독립운동사" 원주시 2005
7 황기수, "속초교회 70년사" 속초교회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1997
8 강릉 김씨, "서유록"
9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삼일운동 재판기록 5"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영위원회 1974
10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제2권(상)"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영위원회 1970
11 "독립신문, 1919년 10월 14일자"
12 강원도사편찬위원회, "강원도사" 강원도 1995
13 윤춘병, "강릉중앙교회 100년사" 기독교대한감리회 강릉중앙교회 2002
14 조동걸, "3·1운동의 지방사적 성격 - 강원도 지방을 중심으로-" 역사학회 47 : 1970
15 서인석, "1910년대 강릉 여자의 서울구경 - <서유록>의 경우" 우리말글학회 2001
16 제이콤 로버트 무스, "1900, 조선에 살다" 푸른역사 2008
살옥(殺獄) 판결을 통해 본 조선후기 지배층의 부처(夫妻)관계상 - 『추관지(秋官志)』 분석을 중심으로 -
1920~30년대 서비스직 여성의 노동실태와 사회적 위상
근대적인 `직업여성`의 여성정체성과 직업의식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1세대 미용사 임형선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6 | 1.52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