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라는 거대한 변화 속에서, 국내 제조기업은 중국 기업의 급속한 성장과 조직 구성원의 세대 교체라는 대내외적인 불안요인으로 인해 VUCA...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92956
구미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25
학위논문(석사)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컨설팅대학원 , 컨설팅학과 , 2025. 2
2025
한국어
경상북도
98 ; 26 cm
지도교수: 김태성
I804:47006-00000001727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라는 거대한 변화 속에서, 국내 제조기업은 중국 기업의 급속한 성장과 조직 구성원의 세대 교체라는 대내외적인 불안요인으로 인해 VUCA...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라는 거대한 변화 속에서, 국내 제조기업은 중국 기업의 급속한 성장과 조직 구성원의 세대 교체라는
대내외적인 불안요인으로 인해 VUCA(변동성, 불확실성, 복잡성, 모호성)라는 불확실한 경영환경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변동성에 대응 하기 위해 많은 기업들은 내부구성원의 혁신활동을 가속화 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성공적인 기업들은 조직문화라는 고유의 DNA를 활용하여 구성원들의 자율적 혁신행동을 촉진 시키고자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조직문화 유형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일부 밝혀 냈지만, 조직문화는 MZ세대와 같은 새로운 세대의 특성에 맞춰
동태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반영하여 본 연구는 Quinn& McGrath의 조직 문화 경쟁가치모형과 Allen&Meyer의 조직몰입 이론을 바탕으로, 조직 문화와 조직몰입이
집단 및 개인수준의 자발적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모든 잠재변인의 오차를 고려하여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 하였으며, 이를 위해 조직문화의 네 가지 유형(위계, 개발, 합리, 합의문화)과
조직몰입의 하위 유형 중 하나인 정서적 몰입을 독립변수로 설정 하였고, 개별 구성원들의 자발적 혁신행동을 개인수준과 집단수준으로 구분 하여
종속변수로 설정한 후 모델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든 변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확인 되었고, 구조방정식 모델의 적합도 역시 만족 수준임을 확인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발적 혁신행동은 조직문화 와 조직몰입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개발,합리,합의문화 와 더불어 조직몰입은 자발적 혁신행동의
집단수준과 개인수준 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반대로 위계문화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이 구성원의 주도적인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국내 제조기업들의 현장혁신 전략수립에 있어,
유연하고 균형감 있는 조직문화 설계와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강화하는 정책들이 혁신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