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예술동아리 참여 대학생의 재미요인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매개효과 검증 = The effect of fun factors on subjectiv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arts and culture clubs: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n ego resil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125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동아리 참여 대학생의 재미요인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자아탄력성이 재미요인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문화예술관련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재학생이며,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총 300명을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통계프로그램인 SPSS 28.0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동아리 참여 대학생의 재미요인이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예술동아리 참여 대학생의 재미요인이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예술동아리 참여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예술동아리 참여 대학생의 재미요인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동아리 참여 대학생의 재미요인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자아탄력성이 재미요인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동아리 참여 대학생의 재미요인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자아탄력성이 재미요인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문화예술관련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재학생이며,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총 300명을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통계프로그램인 SPSS 28.0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동아리 참여 대학생의 재미요인이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예술동아리 참여 대학생의 재미요인이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예술동아리 참여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예술동아리 참여 대학생의 재미요인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fun factor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arts and culture clubs and verify whether ego resilienc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 factor and subjective happiness. The study subjects were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cultural and arts-related club activities, and the data of 300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8.0, a statistical program,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First, the fun factor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arts and culture club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ir subjective happiness. Second, the fun factor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arts and culture clubs was found to affect ego resilience. Third, the ego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arts and culture club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Fourth, ego resilience worked as the complete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un factors and subjectiv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cultural and art club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fun factor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arts and culture clubs and verify whether ego resilienc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 factor and su...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fun factor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arts and culture clubs and verify whether ego resilienc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 factor and subjective happiness. The study subjects were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cultural and arts-related club activities, and the data of 300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8.0, a statistical program,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First, the fun factor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arts and culture club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ir subjective happiness. Second, the fun factor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arts and culture clubs was found to affect ego resilience. Third, the ego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arts and culture club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Fourth, ego resilience worked as the complete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un factors and subjectiv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cultural and art club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필우, "헬스클럽 이용자의 몰입경험이 스포츠재미요인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6

      2 김혜인, "한국인의 행복지수, OECD 국가 중 뒤에서 네 번째"

      3 성낙숙, "파티이벤트 재미가 몰입경험, 여가 및 생활만족, 지속적 참가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

      4 장선미 ; 정영주, "태권도 수련생의 참여동기와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20 (20): 403-413, 2018

      5 최성애, "컨트리댄스 동호인들의 댄스재미가 스트레스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무용연구학회 32 (32): 259-286, 2014

      6 이혜곤, "초등학교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자의 재미요인이 체육수업인지도와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7 송강영 ; 이태용 ; 박문수, "초등학교 동아리 축구대회 참여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운동몰입경험, 참여만족 및 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4 (14): 101-109, 2009

      8 김보경 ; 한상일, "청소년의 여가생활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6 (36): 125-144, 2012

      9 심혜인, "청소년의 여가만족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0

      10 김병준,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재미 및 스트레스 요인" 10 (10): 193-210, 1999

      1 이필우, "헬스클럽 이용자의 몰입경험이 스포츠재미요인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6

      2 김혜인, "한국인의 행복지수, OECD 국가 중 뒤에서 네 번째"

      3 성낙숙, "파티이벤트 재미가 몰입경험, 여가 및 생활만족, 지속적 참가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

      4 장선미 ; 정영주, "태권도 수련생의 참여동기와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20 (20): 403-413, 2018

      5 최성애, "컨트리댄스 동호인들의 댄스재미가 스트레스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무용연구학회 32 (32): 259-286, 2014

      6 이혜곤, "초등학교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자의 재미요인이 체육수업인지도와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7 송강영 ; 이태용 ; 박문수, "초등학교 동아리 축구대회 참여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운동몰입경험, 참여만족 및 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4 (14): 101-109, 2009

      8 김보경 ; 한상일, "청소년의 여가생활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6 (36): 125-144, 2012

      9 심혜인, "청소년의 여가만족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0

      10 김병준,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재미 및 스트레스 요인" 10 (10): 193-210, 1999

      11 이영근, "차별경험과 자아탄력성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 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6

      12 오현애 ; 김현숙, "직업무용수의 긍정심리자본이 자아탄력성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31 (31): 103-120, 2014

      13 김재형, "중학생의 스포츠활동 참여재미와 자아존중감 및 회복탄력성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32 (32): 285-295, 2023

      14 공햬준, "중학교 스포츠클럽 참여 재미요인이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9 (9): 22-33, 2018

      15 유비, "중국대학 체육수업의 지도유형과 재미요인이 자아탄력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5

      16 HAN BING, "중국 태권도 수련생이 지각한 재미와 수련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0

      17 이선영,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적응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8 손희나 ; 최항준, "영아반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3 (13): 167-180, 2022

      19 홍성진, "연예인 야구 동호인들의 재미요인이 여가몰입 및 행복감에 마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2

      20 김도형, "여가활동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및 우울과의 상관성 연구 : 댄스문화를 즐기는 액티브시니어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9

      21 김민주, "아마추어 밴드 활동이 주관적 행복감과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22 강수택 ; 정철규, "아마추어 골퍼들의 재미요인과 심리적 행복감 및 운동지속의도의 관계" 한국골프학회 9 (9): 33-46, 2015

      23 이제행 ; 조건상, "시니어 골프 참여자의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 8 (8): 407-416, 2017

      24 김현우, "스포츠센터 고객의 재등록 결정요인 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8

      25 이정우 ; 이지항 ; 오성민, "스트릿 댄스 동호인의 재미와 몰입 및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 15 (15): 551-563, 2020

      26 강영경, "볼링 동호회 참여자들의 재미요인이 인지된 자유감 및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남부대학교 대학원 2020

      27 남혜련, "문화예술활동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영남대 행정대학원 2015

      28 이학준, "문화예술 관람이 개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 소득수준과 가구유형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대학원 2019

      29 진현주 ; 김대동 ; 박주영, "댄스스포츠 동호인의 기본적 심리욕구와 자아탄력성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2 (22): 537-548, 2013

      30 최빛나, "대학생 스트레스 원인 1위 ‘취업’… 절반 이상 “행복하지 않아”"

      31 강신범 ; 장재용 ; 김창숙 ; 정상훈, "대학교양 댄스스포츠 참가자의 여가태도와 재미요인이 심리적행복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7 (27): 439-452, 2018

      32 김근국 ; 김만수 ; 김범준, "대학 동아리 여가활동의 참여정도에 따른 재미와 몰입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32 (32): 33-46, 2015

      33 서은국 ; 구재선, "단축형 행복 척도(COMOSWB)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5 (25): 95-113, 2011

      34 이정은, "노인의 상실감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4

      35 임성숙 ; 김진숙, "노인 적응유연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1805-1822, 2009

      36 유은혜, "국악기를 활용한 문화예술활동이 어린이-청소년의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37 송홍락 ; 유원용, "교양체육 수업의 재미요인이 행복감과 사회적 체형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645-653, 2014

      38 이해원, "교양무용 참여대학생의 긍정적 착각, 자아탄력성,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4 (24): 915-929, 2015

      39 Diener, 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49 (49): 71-75, 1985

      40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55 (55): 34-43, 2000

      41 Scanlan, T. K., "Motivation in Sport and Exercise" Human Kinetics 199-215, 1992

      42 Block, J., "Assimilation, accommodation, and the dynamics of personality development" 53 (53): 281-295,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