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Z세대 이용자의 휘발성 소셜미디어 정보 공유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인스타그램 스토리’를 중심으로 = Information Sharing on Ephemeral Social Media: An Exploratory Study of Generation Z Instagram Sto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889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atively analyze the information sharing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on ephemeral social media, specifically Instagram Stories. Thirteen participants born between 1996 and 2004, representing Generation Z, were interviewed in-depth,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The results revealed that Generation Z tends to share information in a temporary and implicit manner to avoid the pressure associated with permanent posts, utilizing this as a means of personal branding and social interaction. They primarily emphasized everyday and positive images, minimizing explicit and precise emotional expression. Notably, younger individuals within Generation Z employed layered information sharing management through features like “close friends” lists and private accounts. This study, as an initial exploration of information sharing characteristics on ephemeral social media, contributes to a deeper academic understanding of Generation Z’s social media information sharing behaviors and digital self-management strategies. The findings can also inform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strategies for social media services that consider the unique information sharing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ploratively analyze the information sharing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on ephemeral social media, specifically Instagram Stories. Thirteen participants born between 1996 and 2004, representing Generation Z, were...

      This study aims to exploratively analyze the information sharing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on ephemeral social media, specifically Instagram Stories. Thirteen participants born between 1996 and 2004, representing Generation Z, were interviewed in-depth,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The results revealed that Generation Z tends to share information in a temporary and implicit manner to avoid the pressure associated with permanent posts, utilizing this as a means of personal branding and social interaction. They primarily emphasized everyday and positive images, minimizing explicit and precise emotional expression. Notably, younger individuals within Generation Z employed layered information sharing management through features like “close friends” lists and private accounts. This study, as an initial exploration of information sharing characteristics on ephemeral social media, contributes to a deeper academic understanding of Generation Z’s social media information sharing behaviors and digital self-management strategies. The findings can also inform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strategies for social media services that consider the unique information sharing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휘발성 소셜미디어인 인스타그램 스토리에서 나타나는 Z세대의 정보 공유 행태와 그 특성을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Z세대에 속하는 1996년부터 2004년생 13명을 대상으로 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근거이론을 통해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Z세대는 영구적 게시물에 대한 부담감을 피하기 위해 일시적이고 암시적인 방식으로 정보를 공유하며 이를 곧 퍼스널 브랜딩 및 타인과의 소통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은 주로 일상적이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강조하며 구체적이고 적확한 감정 표현을 최소화하였고, 특히 Z세대 내에서도 비교적 어린 연령대는 ‘친한 친구’ 공개 기능과 비공개 계정을 통해 정보 공유를 다층적으로 관리하였다. 이 연구는 휘발성 소셜미디어에서의 정보 공유 특성에 대한 초기 연구로서, Z세대의 소셜미디어 정보 공유 행태 및 디지털 자아 관리 방식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증진하며, 연구 결과는 Z세대의 정보 공유 특성을 고려한 소셜미디어 서비스의 차별화된 전략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휘발성 소셜미디어인 인스타그램 스토리에서 나타나는 Z세대의 정보 공유 행태와 그 특성을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Z세대에 속하는 1996년부터 2004년생 13...

      본 연구는 휘발성 소셜미디어인 인스타그램 스토리에서 나타나는 Z세대의 정보 공유 행태와 그 특성을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Z세대에 속하는 1996년부터 2004년생 13명을 대상으로 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근거이론을 통해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Z세대는 영구적 게시물에 대한 부담감을 피하기 위해 일시적이고 암시적인 방식으로 정보를 공유하며 이를 곧 퍼스널 브랜딩 및 타인과의 소통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은 주로 일상적이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강조하며 구체적이고 적확한 감정 표현을 최소화하였고, 특히 Z세대 내에서도 비교적 어린 연령대는 ‘친한 친구’ 공개 기능과 비공개 계정을 통해 정보 공유를 다층적으로 관리하였다. 이 연구는 휘발성 소셜미디어에서의 정보 공유 특성에 대한 초기 연구로서, Z세대의 소셜미디어 정보 공유 행태 및 디지털 자아 관리 방식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증진하며, 연구 결과는 Z세대의 정보 공유 특성을 고려한 소셜미디어 서비스의 차별화된 전략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