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Correlation between equipment analysis values and reexamination of smear samples in complete blood cell = 혈구산정검사에서 장비분석 값과 도말표본의 재검사의 상관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117055

      • 저자
      • 발행사항

        Cheonan : Namseoul University,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영어

      • KDC

        511.8 판사항(6)

      • DDC

        616.07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형태사항

        v, 34 leaves : illustration ; 26 cm

      • 일반주기명

        Adviser: 박창은
        Bibliography: leaves 27-29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남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clinical laboratory, if abnormal white blood cells are suspected in the automatic blood cell analyzer, the flag is displayed and the technique is performed. Therefore, the technique for all specimens is difficult in reality to detect Immature cells or Abnormal cells. However, in the automatic blood analyzer, the sensitivity control of the flag is error in false negative and false positive samples, and the samples of specific diseases including the normal samples are also found to efficiently select and classify white blood cells. In this study, there is no collection of human origin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test rate and the total blood counting test result is analyzed as the result of the general blood test commissioned to the eone test center from 2017 to 2018 with 102 sampl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verage number of white blood cells was 13,300/μ_L, higher than normal. Cells corresponding to Neutrophil or Lymphocyte were reported as Immature cells or band neutrophils.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st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blood analysis equipment and the results of the white blood cell differential calculation obtained through the manual. In the group analysis between these two groups, Neutrophil (P<0.001) and Lymphocyte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addition, the correlations between automation equipment and each white blood cell derived by handwriting show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Neutrophil (r=0.904), Eosinophil (r=0.994), and Lymphocyte (r=0.925). The results of the techniqu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groups with differences in Leukocyte numbers: Neutrophil (P<0.001) and Lymphocyte (P<0.001) and Monocyte (P<0.05). After the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mmature cell result value and the automation analysis result showed that Neutrophi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and, Metamyelocyte and positive correlation, blast and Atypical lymphocyte. Lymphocyt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and neutrophil, Metamyelocyte and negative correlation, and Atypical lymphocyte. Monocyt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last. Basophil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Myelocyte and Atypical lymphocyte. This is presumed to be a result of the reports in the automation equipment, which may lead to errors in correlated cell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point by performing some samples without any distinction between the retrospective part and the normal/abnormal sample. In conclusion, using flagging systems or scatters used in each laboratory to help quantitative reduction of the techniqu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best results that can be trusted by using abnormal samples as a hand technique by refer to the Leukocyte discrimination pattern of the results of the complete blood counts.

      Keyword
      Automated hematology analysers, Complete blood count, Correlation, Leukocyte differential count.
      번역하기

      In the clinical laboratory, if abnormal white blood cells are suspected in the automatic blood cell analyzer, the flag is displayed and the technique is performed. Therefore, the technique for all specimens is difficult in reality to detect Immature c...

      In the clinical laboratory, if abnormal white blood cells are suspected in the automatic blood cell analyzer, the flag is displayed and the technique is performed. Therefore, the technique for all specimens is difficult in reality to detect Immature cells or Abnormal cells. However, in the automatic blood analyzer, the sensitivity control of the flag is error in false negative and false positive samples, and the samples of specific diseases including the normal samples are also found to efficiently select and classify white blood cells. In this study, there is no collection of human origin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test rate and the total blood counting test result is analyzed as the result of the general blood test commissioned to the eone test center from 2017 to 2018 with 102 sampl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verage number of white blood cells was 13,300/μ_L, higher than normal. Cells corresponding to Neutrophil or Lymphocyte were reported as Immature cells or band neutrophils.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st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blood analysis equipment and the results of the white blood cell differential calculation obtained through the manual. In the group analysis between these two groups, Neutrophil (P<0.001) and Lymphocyte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addition, the correlations between automation equipment and each white blood cell derived by handwriting show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Neutrophil (r=0.904), Eosinophil (r=0.994), and Lymphocyte (r=0.925). The results of the techniqu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groups with differences in Leukocyte numbers: Neutrophil (P<0.001) and Lymphocyte (P<0.001) and Monocyte (P<0.05). After the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mmature cell result value and the automation analysis result showed that Neutrophi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and, Metamyelocyte and positive correlation, blast and Atypical lymphocyte. Lymphocyt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and neutrophil, Metamyelocyte and negative correlation, and Atypical lymphocyte. Monocyt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last. Basophil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Myelocyte and Atypical lymphocyte. This is presumed to be a result of the reports in the automation equipment, which may lead to errors in correlated cell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point by performing some samples without any distinction between the retrospective part and the normal/abnormal sample. In conclusion, using flagging systems or scatters used in each laboratory to help quantitative reduction of the techniqu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best results that can be trusted by using abnormal samples as a hand technique by refer to the Leukocyte discrimination pattern of the results of the complete blood counts.

      Keyword
      Automated hematology analysers, Complete blood count, Correlation, Leukocyte differential cou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임상검사실에서는 자동 혈구분석기에서 비정상 백혈구가 의심되면 flag가 표시되어 수기법을 수행한다. 이에 미성숙 세포나 비정상 세포를 검출하기 위해 모든 검체에 대해 수기법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면이 있다. 그러나 자동혈액 분석기에서 flag의 감도 조절이 위음성과 위양성의 검체에서 오류를 보여 정상 검체를 포함한 특정 질환의 검체에서도 효율적으로 백혈구를 선별하고 분류하는 검사법을 찾고 자동혈액 분석기가 갖는 백혈구 감별 계산의 오류 패턴과 정확도를 위해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유래물의 수집은 없고 최근 2017년부터 2018년까지 통상적으로 이원검사센터에 의뢰된 일반 혈액검사들 중에서 재검 수치에 해당하는 102개의 샘플 결괏값으로 재검률과 전 혈구산정검사 결괏값들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총 102개의 분석한 결과는 평균 백혈구의 수는 13,300/103 μL로 정상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호중구나 림프구에 해당하는 세포가 미성숙한 세포나 band 호중구로 보고되었다. 혈액분석 장비를 통해 얻은 검사결과와 수기법을 통해 얻은 백혈구 감별 계산 결괏값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이 두 그룹 간의 집단 분석에서 호중구 (P<0.001)과 림프구 (P<0.01), 호염구 (P<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자동화 장비와 수기법으로 도출된 각 백혈구 세포에 대한 상관계수를 조사한 결과, 호중구 (r=0.904), 호염구 (r=0.994), 림프구 (r=0.925)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수기법을 통해 수행한 결과에서는 호중구 (P<0.001)와 림프구 (P<0.001), 단구 (P<0.05)이 백혈구 수의 차이를 보이는 집단 간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검사 후 미성숙 세포 결괏값과 자동화 분석 결괏값의 상관성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호중구는 band 호중구, 후골수구와 양의 상관성, blast와 비정형 림프구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림프구는 band 호중구, 후골수구와 음의 상관성, 비정형 림프구는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단구는 blast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호염구는 골수구와 비정형 림프구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이는 자동화 장비에서 보고된 결과 때문에 상관성이 있는 세포로 오류가 유발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는 일부의 검체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한 부분과 정상/비정상 검체의 구분 없이 수행하여 제한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이에 각 검사실마다 활용하는 flagging system이나 scatter를 활용해 수기법의 양적 감소를 돕지만 혈구산정검사의 결과의 백혈구 감별 패턴을 참고하여 비정상적인 검체를 수기법으로 활용한다면 신뢰할 수 있는 최적의 결과를 산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백혈구 감별 계산, 상관성, 자동 혈구분석기, 전 혈구산정검사
      번역하기

      임상검사실에서는 자동 혈구분석기에서 비정상 백혈구가 의심되면 flag가 표시되어 수기법을 수행한다. 이에 미성숙 세포나 비정상 세포를 검출하기 위해 모든 검체에 대해 수기법은 현실적...

      임상검사실에서는 자동 혈구분석기에서 비정상 백혈구가 의심되면 flag가 표시되어 수기법을 수행한다. 이에 미성숙 세포나 비정상 세포를 검출하기 위해 모든 검체에 대해 수기법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면이 있다. 그러나 자동혈액 분석기에서 flag의 감도 조절이 위음성과 위양성의 검체에서 오류를 보여 정상 검체를 포함한 특정 질환의 검체에서도 효율적으로 백혈구를 선별하고 분류하는 검사법을 찾고 자동혈액 분석기가 갖는 백혈구 감별 계산의 오류 패턴과 정확도를 위해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유래물의 수집은 없고 최근 2017년부터 2018년까지 통상적으로 이원검사센터에 의뢰된 일반 혈액검사들 중에서 재검 수치에 해당하는 102개의 샘플 결괏값으로 재검률과 전 혈구산정검사 결괏값들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총 102개의 분석한 결과는 평균 백혈구의 수는 13,300/103 μL로 정상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호중구나 림프구에 해당하는 세포가 미성숙한 세포나 band 호중구로 보고되었다. 혈액분석 장비를 통해 얻은 검사결과와 수기법을 통해 얻은 백혈구 감별 계산 결괏값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이 두 그룹 간의 집단 분석에서 호중구 (P<0.001)과 림프구 (P<0.01), 호염구 (P<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자동화 장비와 수기법으로 도출된 각 백혈구 세포에 대한 상관계수를 조사한 결과, 호중구 (r=0.904), 호염구 (r=0.994), 림프구 (r=0.925)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수기법을 통해 수행한 결과에서는 호중구 (P<0.001)와 림프구 (P<0.001), 단구 (P<0.05)이 백혈구 수의 차이를 보이는 집단 간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검사 후 미성숙 세포 결괏값과 자동화 분석 결괏값의 상관성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호중구는 band 호중구, 후골수구와 양의 상관성, blast와 비정형 림프구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림프구는 band 호중구, 후골수구와 음의 상관성, 비정형 림프구는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단구는 blast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호염구는 골수구와 비정형 림프구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이는 자동화 장비에서 보고된 결과 때문에 상관성이 있는 세포로 오류가 유발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는 일부의 검체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한 부분과 정상/비정상 검체의 구분 없이 수행하여 제한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이에 각 검사실마다 활용하는 flagging system이나 scatter를 활용해 수기법의 양적 감소를 돕지만 혈구산정검사의 결과의 백혈구 감별 패턴을 참고하여 비정상적인 검체를 수기법으로 활용한다면 신뢰할 수 있는 최적의 결과를 산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백혈구 감별 계산, 상관성, 자동 혈구분석기, 전 혈구산정검사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TABLE OF CONTENTS ⅰ
      • LIST OF FIGURES ⅲ
      • LIST OF TABLES ⅳ
      • ABBREVIATION ⅴ
      • TABLE OF CONTENTS ⅰ
      • LIST OF FIGURES ⅲ
      • LIST OF TABLES ⅳ
      • ABBREVIATION ⅴ
      • Ⅰ. INTRODUCTION 1
      • 1. Background 1
      • 2. Purpose 4
      • Ⅱ. MATERIALS AND METHODS 5
      • 1. Subjects 5
      • 2. Analysis of WBC differential count 6
      • 3. Statistical analysis 7
      • Ⅲ. RESULTS 9
      • 1. Distribution of parameters and reexamination in clinical patients 9
      • 2. Correlation comparison between automated hematology analyzer and manual technique 12
      • 3. Difference of parameters according to thirds grade WBC 15
      • 4. Correlation between immature cell results and automated analysis results after reexamination 17
      • Ⅳ. DISCUSSION 20
      • Ⅴ. CONCLUSION 25
      • Ⅵ. REFERENCES 27
      • 국문초록 30
      • ABSTRACT 3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