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 살피고자 하는 역량 중심 교육은 최근 대학의 주요 관심으로 기존의 교과 중심의 이론 및 내용 중심의 교육에서 나아가 학습자의 필요 역량 향상에 중심을 둔 교육 모형이다. 즉,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03813
2021
Korean
교양 한국어 ; 역량 ; 외국인 학습자 ; 교육과정 ; 문헌 조사 ; 키워드 분석 ; general Korean language ; competency ; foreign student ; curriculum ; literature review ; keyword analysis
KCI등재
학술저널
145-164(2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 살피고자 하는 역량 중심 교육은 최근 대학의 주요 관심으로 기존의 교과 중심의 이론 및 내용 중심의 교육에서 나아가 학습자의 필요 역량 향상에 중심을 둔 교육 모형이다. 즉, ...
본고에서 살피고자 하는 역량 중심 교육은 최근 대학의 주요 관심으로 기존의 교과 중심의 이론 및 내용 중심의 교육에서 나아가 학습자의 필요 역량 향상에 중심을 둔 교육 모형이다. 즉,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교육 내용을 설계하고자 하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이 교양 교과를 통해 얻고자 하는 역량을 설정하여 유학생 대상 교양 교과목을 선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 조사 및 키워드 분석 그리고 전문가 집단의 역량군 평가를 통해 외국인 학습자가 교양 교과 수업에서 얻고자 하는 역량을 도출하고자 한다. 도출한 역량은 외국인 학습자 대상 교양 교과 개발 및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 이용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mpetency based education, a concept used in the universities or companies recently, has the direction to organize the leanrner-centric curriculum beyond the existing theory and content-centric education. It can be considered as the education to desi...
Competency based education, a concept used in the universities or companies recently, has the direction to organize the leanrner-centric curriculum beyond the existing theory and content-centric education. It can be considered as the education to design the contents with required competency for learners. This study is aimed to design the curriculum of ‘the general Korean language class in the universities’ with the competency required for the Korean education of foreign students. To do so, it is intended to summarize the required competency for the general Korean language class by literature review and keyword analysis by expert group. Summarized competency will be used to design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clas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진욱, "학습역량 기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 전공 진입 전 과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2 중앙대학교, "학부 교육 선도대학 육성 사업"
3 상지대학교, "중장기발전계획서"
4 김경진, "역량의 개념과 교육적 함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5 김선영, "역량기반의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개념’의 대안적 설계 방식 고찰" 교육연구소 40 (40): 53-82, 2019
6 김수영,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심성함양의 관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곽은희,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연구" 연세대학교 2017
8 김선영,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교과교육내용구성 방식에 대한국제비교연구" 서울대학교 2018
9 김성현,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위한 ‘성공적인 직업생활’ 교육과정 재구성과 과정중심평가 설계: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2020
10 성균관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2차년도 사업계획서"
1 박진욱, "학습역량 기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 전공 진입 전 과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2 중앙대학교, "학부 교육 선도대학 육성 사업"
3 상지대학교, "중장기발전계획서"
4 김경진, "역량의 개념과 교육적 함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5 김선영, "역량기반의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개념’의 대안적 설계 방식 고찰" 교육연구소 40 (40): 53-82, 2019
6 김수영,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심성함양의 관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곽은희,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연구" 연세대학교 2017
8 김선영,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교과교육내용구성 방식에 대한국제비교연구" 서울대학교 2018
9 김성현,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위한 ‘성공적인 직업생활’ 교육과정 재구성과 과정중심평가 설계: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2020
10 성균관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2차년도 사업계획서"
11 계명대학교,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사업(ACE+)" 계명대학교 2018
12 소경희, "교과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역량 모델의 가능성 탐색-영국, 독일, 캐나다 교육과정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23 (23): 153-175, 2013
13 OECD,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14 윤종혁, "OECD 교육 2030: 미래교육과 역량을 위한 현황분석과 향후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6
15 최수진,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역량 개념틀 타당성 분석 및 역량 개발을위한 교육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7
16 이근호, "OECD Ecuation 2030 교육과정 조사에 따른 역량중심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17 상지대학교, "20학년도 통합교육수요자만족도 조사 분석 결과보고서" 상지대학교 기획평가처 2021
18 교육부, "2015 교육과정 총론"
고전교육 교양필수 교과목 운영 사례 : 단국대학교 <명저읽기>를 중심으로
대학 교양영어 플립러닝 사례연구 : 협업을 바탕으로 한 수업설계를 중심으로
대학 자체교육인증에 따른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효과 : K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과학 교과목과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의 접목 : 숙명여대 <현대사회와 과학기술> 사례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