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국대학교 동국역경원, "한글대장경 입능가경 외" 1-681, 1985
2 신재홍, "한국몽유소설연구" 계명문화사 1-436, 1994
3 툴쿠 퇸둡 림포체, "평화로운 죽음 기쁜 환생" 도서출판 청년사 1-483, 2007
4 유광수, "일반논문: <구운몽>: ‘자기 망각’과 ‘자기 기억’의 서사-성진이 양소유 되기-" 한국고전문학회 (29) : 377-409, 2006
5 김현준, "원효의 참회사상-대승육정참회를 중심으로-" 한국불교연구원 2 : 53-78, 1986
6 원영, "원효의 『대승육정참회』에서 참회사상의 특성" 한국사상사학회 15 : 27-58, 2000
7 김월운, "원각경 주해" 동국역경원 1-168, 2003
8 일귀, "역주 수능엄경" 샘이깊은물 1-820, 2007
9 장 보드리야르, "시뮬라시옹" 민음사 1-272, 2008
10 최기숙, "소설의 기능과 고전의 가치 1-깨달음을 통한 자기완성의 서사: 「구운몽」 읽기" 동방고전문학회 113-143, 1999
1 동국대학교 동국역경원, "한글대장경 입능가경 외" 1-681, 1985
2 신재홍, "한국몽유소설연구" 계명문화사 1-436, 1994
3 툴쿠 퇸둡 림포체, "평화로운 죽음 기쁜 환생" 도서출판 청년사 1-483, 2007
4 유광수, "일반논문: <구운몽>: ‘자기 망각’과 ‘자기 기억’의 서사-성진이 양소유 되기-" 한국고전문학회 (29) : 377-409, 2006
5 김현준, "원효의 참회사상-대승육정참회를 중심으로-" 한국불교연구원 2 : 53-78, 1986
6 원영, "원효의 『대승육정참회』에서 참회사상의 특성" 한국사상사학회 15 : 27-58, 2000
7 김월운, "원각경 주해" 동국역경원 1-168, 2003
8 일귀, "역주 수능엄경" 샘이깊은물 1-820, 2007
9 장 보드리야르, "시뮬라시옹" 민음사 1-272, 2008
10 최기숙, "소설의 기능과 고전의 가치 1-깨달음을 통한 자기완성의 서사: 「구운몽」 읽기" 동방고전문학회 113-143, 1999
11 김만중, "서포집" 민족문화추진회 1-99, 1996
12 김만중, "서포만필" 일지사 1-420, 1987
13 김병국, "서포년보" 서울대 출판부 1-352, 1992
14 성철, "백일법문 상" 장경각 1-338, 1992
15 이강옥, "문학 치료 텍스트로서의 <구운몽>의 가치와 가능성 -우울증과 관련하여-" 한국고소설학회 (24) : 149-189, 2007
16 스티븐 라버지, "루시드 드림" 북센스 1-180, 2008
17 소메야토모유키, "동아시아 고소설과 불교 -<구운몽>과 <好色一代男>의 비교-" 한국고소설학회 (18) : 247-272, 2004
18 이홍우, "대승기신론통석" 김영사 1-548, 2006
19 "능엄경, 김탄허 현토역해" 교림 1-217, 2008
20 단정쟈춰, "꿈-삶과 죽음을 바라보는 티베트 사람들의 지혜" 호미 1-160, 2003
21 무비, "금강경오가해" 불광 1-600, 1992
22 설성경, "구운몽의 통시적 연구" 새문사 1-399, 2008
23 유병환, "구운몽의 사상적 실상" 다래헌 1-375, 2007
24 정규복, "구운몽 원전의 연구" 일지사 1-616, 1981
25 정규복, "구운몽"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541, 1996
2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楞伽經會譯 상" 1-472, 1980
27 "http://www.songchol.net"
28 "http://cafe.daum.net/yumhwasil"
29 정길수, "<구운몽>의 독자는 누구인가" 한국고소설학회 13 : 3-82, 2002
30 이강옥, "<구운몽>에서 구름의 의미와 주제" 국어국문학회 (151) : 209-236,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