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817년 효명세자 入學禮의 진행과 그 의미 = The Progression and Its Meaning of School Entrance Ceremony of Crown Prince Hyomyung in 1817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763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817년(순조 17)에 진행된 孝明世子의 王世子入學禮절차와 의례가 갖는 의미를 분석한 글이다. 입학례는 다른 통과의례와 달리 궁이 아닌 成均館에서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왕세자...

      본 논문은 1817년(순조 17)에 진행된 孝明世子의 王世子入學禮절차와 의례가 갖는 의미를 분석한 글이다. 입학례는 다른 통과의례와 달리 궁이 아닌 成均館에서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왕세자의 성균관 행차는 그 위상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였다. 효명세자도 입학례를 통해 학문적으로 성장한 모습을 신료들에게 보여주었고, 행차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드러냈다. 효명세자의 입학례는 조선 후기 정리된 왕세자의 입학례를 준용하며 『國朝五禮儀』에 규정된 왕세자 입학례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여 거행하였다. 이는 조선 후기 왕세자 입학례의 정비과정을 그대로 수행하며 전통을 이어나간 점이다. 純祖는 효명세자의 입학례의 전거를 1761년(영조 37) 진행된 당시 왕세손이었던 正祖의 입학례로 삼도록 하였고, 효명세자를 가르칠 박사로 南公轍을 임명하여 그의 아버지 南有容이 정조의 입학례에서 박사를 맡아 정조를 가르쳤던 것처럼 그 인연을 계승 하였다. 또한 순조는 영·정조와 함께 『小學』의 정리와 편찬사업을 진행한 측근 신하들을 효명세자 교육에 참여시킴으로써 이들을 통해 정조부터 효명세자 까지 『소학』의 실천과 그 중요성이 전승되도록 하였다. 이처럼 효명세자의 입학례를 통해 18세기의 제왕학이 19세기 효명세자의 교육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imed to analyze the meaning of Crown Prince Iphakryeo procedure and rite for crown prince Hyomyeong held in 1817 (Sunjo 17). Unlike other rites of passage, Iphakryeo was performed not in the palace but in Seonggyungwan, and with his wa...

      This thesis is aimed to analyze the meaning of Crown Prince Iphakryeo procedure and rite for crown prince Hyomyeong held in 1817 (Sunjo 17). Unlike other rites of passage, Iphakryeo was performed not in the palace but in Seonggyungwan, and with his walk from the palace to Seonggyungwan, they could show the status of a crown prince externally. Crown prince Hyomyeong, too, showed how he had grown academically to all of his subjects through Iphakryeo and revealed his presence through the walk.
      Iphakryeo for crown prince Hyomyeong is characterized with the fact that it was conducted by observing the rules of Crown Prince Iphakryeo arranged in late Chosun and also by complementing insufficient parts in Crown Prince Iphakryeo established in 『Gukjooryeoui (國朝五禮儀)』. This is the point to follow the process of maintaining Crown Prince Iphakryeo in late Chosun just as it was and hand down the tradition. For crown prince Hyomyeong’s Iphakryeo, Sunjo (純祖) ordered them to take as a model the Iphakryeo for crown prince Jeongjo (正祖) who was the eldest son of the crown prince at the time of 1761 (Yeongjo 37) that it was held. Appointing Nam Gong-cheol as Baksa to teach crown prince Hyomyeong, he asked him to keep the tie as his father, Nam Yu-yong, did as taking Baksa’s position in Jeongjo’s Iphakryeo to teach him. In addition, making his close subjects engaged in the project to arrange and compile 『Sohak (小學)』 with Yeongjo and Jeongjo join in education for crown prince Hyomyeong, Sunjo allowed the practice and importance of 『Sohak』 to be handed down from Jeongjo to crown prince Hyomyeong. Accordingly, with the example of Iphakryeo for crown prince Hyomyeong, we can see that Jewanghak in the 18th century was led to education for crown prince Hyomyeong in the 19th centur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