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불교정화운동의 인식과 현재적 의미 = Current Recognition and Implications of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was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event in modern Korean Buddhist history.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was an event in which the problems surrounding the changes in modern Buddhism and the legacy of colonial Buddhism. After President Syngman Rhee's statement in May 1954, bhikku who have survived outside, began fierce activities to seize the power of the Korean Buddhist order. Over the eight years, there have been numerous conflicts between Buddhist monks(bhikku) and married monks to occupy of Jogye order and temples across the country. With the launch of the integrated order 1962,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was completed, which resulted in Buddhist monks taking the initiative in Korean Buddhism. However,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showed a revolutionary tendency to reverse the leadership of the order in a short period of time, leaving many aftereffects and challenges.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is half a century away from now, but it has had a strong impact so far. As the aftereffects of Buddhist purification, there have been left Buddhist self-reliance and monastic order autonomy as tasks of the times. Also, the severance of the perception of the history of modern Buddhism is a matter of reflection. In addition, Buddhist purification has emerged as a slogan for end-to-end reform, which is constantly recalled whenever the Jogye order falls into crisis and chaos. It tells us that Buddhist purification has so far served as an unwavering ideology of Buddhist reform. The Buddhist purification ideology has served as a task for the Jogye Order to realize and as the root of the ever-renewing Buddhist innovation.
      번역하기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was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event in modern Korean Buddhist history.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was an event in which the problems surrounding the changes in modern Buddhism and the legacy of colonial B...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was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event in modern Korean Buddhist history.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was an event in which the problems surrounding the changes in modern Buddhism and the legacy of colonial Buddhism. After President Syngman Rhee's statement in May 1954, bhikku who have survived outside, began fierce activities to seize the power of the Korean Buddhist order. Over the eight years, there have been numerous conflicts between Buddhist monks(bhikku) and married monks to occupy of Jogye order and temples across the country. With the launch of the integrated order 1962,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was completed, which resulted in Buddhist monks taking the initiative in Korean Buddhism. However,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showed a revolutionary tendency to reverse the leadership of the order in a short period of time, leaving many aftereffects and challenges.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is half a century away from now, but it has had a strong impact so far. As the aftereffects of Buddhist purification, there have been left Buddhist self-reliance and monastic order autonomy as tasks of the times. Also, the severance of the perception of the history of modern Buddhism is a matter of reflection. In addition, Buddhist purification has emerged as a slogan for end-to-end reform, which is constantly recalled whenever the Jogye order falls into crisis and chaos. It tells us that Buddhist purification has so far served as an unwavering ideology of Buddhist reform. The Buddhist purification ideology has served as a task for the Jogye Order to realize and as the root of the ever-renewing Buddhist innov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불교정화운동은 현대 한국불교 교단 정체성을 확립시킨 역사적 사건이었다. 불교정화운동은 1950년대 중반 본격화되었지만, 실상은 한국불교의 근대적 변화와 식민지 불교의 모순, 한국불교 전통과 승단 정체성을 둘러싼 갈등이 해방 후 잠복기를 거쳐 일시에 폭발한 사건으로 볼 수 있다. 1954년 5월, 이승만 대통령이 대처승은 사찰에서 물러나라는 담화를 한 후 교단의 외곽에서 생존해온 비구승들은 중앙교단을 장악하기 위한 맹렬한 운동을 시작했다. 이후 8여 년간 비구승과 대처승간의 교단 주도권 획득과 전국 사찰의 점유를 둘러싼 공방이 이어졌다. 1962년 통합종단이 출범하면서 정화운동이 마무리되고 결과적으로 비구승이 한국불교의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 하지만 불교정화운동이 종단의 주도권을 뒤바꾸는 혁명적 전개양상을 보이면서 많은 후유증과 과제를 남겼다.
      불교정화운동은 지금으로부터 66년 전의 일이지만 현재까지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불교정화의 후유증으로서 종단의 정치의존 경향과 극단적 교단 내 분규양태는 불교자주화와 교단자정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부상하게 만들었다. 또한 근대불교 역사인식의 단절도 성찰해야 할 문제이다. 한편, 불교정화는 종단이 위기와 혼란에 빠질 때마다 끊임없이 소환되는 종단 개혁의 구호로 등장해 왔다. 불교정화 이념은 조계종단이 실현시켜야 되는 과제이자 끊임없이 재생되는 불교혁신의 뿌리로서 역할을 해왔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번역하기

      불교정화운동은 현대 한국불교 교단 정체성을 확립시킨 역사적 사건이었다. 불교정화운동은 1950년대 중반 본격화되었지만, 실상은 한국불교의 근대적 변화와 식민지 불교의 모순, 한국불교...

      불교정화운동은 현대 한국불교 교단 정체성을 확립시킨 역사적 사건이었다. 불교정화운동은 1950년대 중반 본격화되었지만, 실상은 한국불교의 근대적 변화와 식민지 불교의 모순, 한국불교 전통과 승단 정체성을 둘러싼 갈등이 해방 후 잠복기를 거쳐 일시에 폭발한 사건으로 볼 수 있다. 1954년 5월, 이승만 대통령이 대처승은 사찰에서 물러나라는 담화를 한 후 교단의 외곽에서 생존해온 비구승들은 중앙교단을 장악하기 위한 맹렬한 운동을 시작했다. 이후 8여 년간 비구승과 대처승간의 교단 주도권 획득과 전국 사찰의 점유를 둘러싼 공방이 이어졌다. 1962년 통합종단이 출범하면서 정화운동이 마무리되고 결과적으로 비구승이 한국불교의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 하지만 불교정화운동이 종단의 주도권을 뒤바꾸는 혁명적 전개양상을 보이면서 많은 후유증과 과제를 남겼다.
      불교정화운동은 지금으로부터 66년 전의 일이지만 현재까지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불교정화의 후유증으로서 종단의 정치의존 경향과 극단적 교단 내 분규양태는 불교자주화와 교단자정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부상하게 만들었다. 또한 근대불교 역사인식의 단절도 성찰해야 할 문제이다. 한편, 불교정화는 종단이 위기와 혼란에 빠질 때마다 끊임없이 소환되는 종단 개혁의 구호로 등장해 왔다. 불교정화 이념은 조계종단이 실현시켜야 되는 과제이자 끊임없이 재생되는 불교혁신의 뿌리로서 역할을 해왔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인철, "해방 후 불교와 국가;1946∼1960 비구·대처 갈등을 중심으로" (57) : 2000

      2 김광식, "한국 현대불교와 정화운동" 7 : 2004

      3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조계종사-근현대편" 조계종출판사 2001

      4 서중석, "이승만대통령의 반일운동과 한국민족주의"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30 : 2000

      5 이재헌, "이승만 대통령의 유시와 불교정화 운동의 전개" 대각사상연구원 (22) : 279-333, 2014

      6 김광식, "새불교운동의 전개" 도피안사 2002

      7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불교정화운동의 재조명" 조계종출판사 2008

      8 박희승, "불교정화운동 연구-불교정화운동을 보는 한 시각" (3) : 2000

      9 김광식, "불교정화운동 연구, 회고와 전망" 대각사상연구원 (21) : 255-283, 2014

      10 김광식, "근현대불교의 재조명" 민족사 2000

      1 강인철, "해방 후 불교와 국가;1946∼1960 비구·대처 갈등을 중심으로" (57) : 2000

      2 김광식, "한국 현대불교와 정화운동" 7 : 2004

      3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조계종사-근현대편" 조계종출판사 2001

      4 서중석, "이승만대통령의 반일운동과 한국민족주의"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30 : 2000

      5 이재헌, "이승만 대통령의 유시와 불교정화 운동의 전개" 대각사상연구원 (22) : 279-333, 2014

      6 김광식, "새불교운동의 전개" 도피안사 2002

      7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불교정화운동의 재조명" 조계종출판사 2008

      8 박희승, "불교정화운동 연구-불교정화운동을 보는 한 시각" (3) : 2000

      9 김광식, "불교정화운동 연구, 회고와 전망" 대각사상연구원 (21) : 255-283, 2014

      10 김광식, "근현대불교의 재조명" 민족사 2000

      11 선우도량, "교단정화운동과 조계종의 오늘" 선우도량출판부 2001

      12 선우도량, "22인의 증언을 통해 본 근현대 불교사" 선우도량출판부 2002

      13 김진흠, "1950년대 이승만 대통령의 ‘불교 정화’ 유시와 불교계의 정치 개입" 수선사학회 (53) : 305-340,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8 1.03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