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artiniello, Marco,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 한울 2002
2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3 최현, "한국인의 다문화 시티즌십(multicultural citizenship) : 다문화 의식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5 (5): 147-173, 2007
4 황정미,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분석 : 새로운 성원권의 정치학(politics of membership) 관점에서" 아세아문제연구소 53 (53): 152-184, 2010
5 윤인진, "한국인의 국민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 579-591, 2009
6 전영평, "한국의 소수자운동과 인권정책" 집문당 2011
7 김경근, "초중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육개발원 39 (39): 87-117, 2012
8 조윤주,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43-58, 2010
9 박남수, "초등학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213-232, 2007
10 서종남, "청소년의 다문화인식을 통한 다문화교육의 방향 연구 - 초ㆍ중ㆍ고 학생의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18 (18): 83-110, 2012
1 Martiniello, Marco,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 한울 2002
2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3 최현, "한국인의 다문화 시티즌십(multicultural citizenship) : 다문화 의식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5 (5): 147-173, 2007
4 황정미,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분석 : 새로운 성원권의 정치학(politics of membership) 관점에서" 아세아문제연구소 53 (53): 152-184, 2010
5 윤인진, "한국인의 국민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 579-591, 2009
6 전영평, "한국의 소수자운동과 인권정책" 집문당 2011
7 김경근, "초중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육개발원 39 (39): 87-117, 2012
8 조윤주,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43-58, 2010
9 박남수, "초등학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213-232, 2007
10 서종남, "청소년의 다문화인식을 통한 다문화교육의 방향 연구 - 초ㆍ중ㆍ고 학생의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18 (18): 83-110, 2012
11 여성가족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조사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12 이하령, "인종에 대한 사회적 편견 연구 : 고정관념, 감정과 사회적 거리감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3 홍태영, "이주자의 문화적 권리와 정체성" 다문화통합연구소 4 (4): 5-34, 2011
14 김현미, "이주자와 다문화주의" 26 : 57-78, 2008
15 김혜숙,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지는 가치가 소수 집단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1 (21): 91-104, 2007
16 황미애, "외국인에 대한 중등학생의 법적관용성 -다문화 법교육에의 함의"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5 (45): 171-191, 2013
17 전영자,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고정관념과 감정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9 (19): 1-13, 2010
18 김남국, "심의 다문화주의: 문화적 권리와 문화적 생존" 한국정치학회 39 (39): 87-108, 2005
19 박경태, "소수자와 한국사회: 이주노동자, 화교, 혼혈인" 후마니타스 2008
20 김상학, "소수자 집단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7 : 169-206, 2004
21 박수미,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 (2): 5-26, 2006
22 강내희, "문화적 권리의 이해와 신장을 위한 예비적 검토, In 21세기의 인권(1)" 한길사 582-603, 2000
23 이정우, "다양성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태도 -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의 비교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297-320, 2008
24 장원순, "다문화적 시민교육의 성격과 방법"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1 (11): 189-208, 2004
25 최수정, "다문화적 가치지향이 동남아 이주노동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6 이명진, "다문화사회와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 한국조사연구학회 11 (11): 63-85, 2010
27 권순희,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 교육과학사 2010
28 이대성, "다문화사회에서 요구되는 문화적 권리의 개념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8 (18): 35-47, 2011
29 박상준, "다문화 시민성의 육성을 위한 다문화교육의 방안 - 이주민의 인권 측면에서 -"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5 (5): 43-66, 2012
30 이민경, "다문화 시민성 함양을 위한 학교급별 다문화교육 목표와 내용체계 구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14): 157-186, 2011
31 구정화, "다문화 시민성 함양을 위한 다문화교육의 목표 체계 구성"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3 (43): 1-27, 2011
32 김용신, "다문화 소수자로서 외국인 노동자의 이주 정체성: 글로벌 정의는 가능한가?"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0 (50): 17-27, 2011
33 인태정, "다문화 사회 지향을 위한 인종의 사회적 거리감과 문화적 다양성 태도 연구 -부산・울산・경남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3 (13): 339-370, 2009
34 심승우, "다문화 민주주의의 이론적 기초 : 소수자의 주체성과 통치성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35 양계민, "국내 소수집단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3 (23): 59-79, 2009
36 안병환, "고등학교 학생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연구"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6 (16): 43-66, 2012
37 김혜순,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다문화사회 실험: 최근 다문화담론의 사회학" 한국사회학회 42 (42): 36-71, 2008
38 Verkuyten, M., "Understanding multicultural attitudes : The role of group status, identification, friendship, and justifying ideologies" 30 (30): 1-18, 2006
39 Taylor, D. M., "Theories of intergroup relations: International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Praeger 1987
40 Taylor, C., "The politics of recognition, In Multiculturalism: Examining the politics of recogni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41 Dworkin, A. G., "The minority report: An introduction to racial, ethnic, and gender relations"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1999
42 Pratto, F.,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 A personality variable predictions social and political attitudes" 67 (67): 741-763, 1994
43 Brown, R., "Prejudice: Its social psychology" Blackwell 1995
44 Kymlicka. W., "Multicultural citizenship : A Liberal theory of minority 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45 안전행정부, "2013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안전행정부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