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기도 거주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North Korean Refugees -Focusing on the Gyeonggi Resi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056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mental health level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residing in Gyeonggi-do and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on this mental health and to propose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nhance of mental health in the future. For this, the survey targeting 212 residents of more than 20 years old escaping from North Korea residing in Geyonggi-do has been conducted with the cooperation of Hana Center located in 6 zones of Gyeonggi-do. The meaningful difference appeared in the mental health in the education level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and the local residence institution as a result of study. Also, the levels of education, the self-esteem, the course of escaping from North Korea and the experience of external injury have been presented as factors affecting on the mental health.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to be promoted in the future is necessary to access the direction capable of securing the accessibility, the comprehensiveness, the professionalism within the range of transmission system of basic mental health service through the adjustment and the connection of adjacent resources.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mental health level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residing in Gyeonggi-do and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on this mental health and to propose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nhance of ment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mental health level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residing in Gyeonggi-do and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on this mental health and to propose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nhance of mental health in the future. For this, the survey targeting 212 residents of more than 20 years old escaping from North Korea residing in Geyonggi-do has been conducted with the cooperation of Hana Center located in 6 zones of Gyeonggi-do. The meaningful difference appeared in the mental health in the education level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and the local residence institution as a result of study. Also, the levels of education, the self-esteem, the course of escaping from North Korea and the experience of external injury have been presented as factors affecting on the mental health.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to be promoted in the future is necessary to access the direction capable of securing the accessibility, the comprehensiveness, the professionalism within the range of transmission system of basic mental health service through the adjustment and the connection of adjacent resour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수준을 파악하고 이러한 정신건강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향후 이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6개 권역소재 하나센터의 협조를 받아 경기도 거주 20세 이상 북한이탈주민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의 교육수준과 국내거주기간에서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교육수준과 자아존중감, 탈북과정 외상경험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하여 향후 추진되어야할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증진은 기존 정신보건서비스 전달체계 범위 내에서 인접 자원의 조정과 연계를 통해 접근성과 포괄성, 전문성이 확보되는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수준을 파악하고 이러한 정신건강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향후 이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수준을 파악하고 이러한 정신건강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향후 이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6개 권역소재 하나센터의 협조를 받아 경기도 거주 20세 이상 북한이탈주민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의 교육수준과 국내거주기간에서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교육수준과 자아존중감, 탈북과정 외상경험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하여 향후 추진되어야할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증진은 기존 정신보건서비스 전달체계 범위 내에서 인접 자원의 조정과 연계를 통해 접근성과 포괄성, 전문성이 확보되는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진, "탈북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이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2 김미령, "탈북자의 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193-217, 2005

      3 강성록, "탈북자의 외상 척도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4 김성민, "탈북자는 무엇을 말할 수 있을까" 16 : 274-286, 2001

      5 박미석, "탈북가족의 남한사회적응시 겪는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30 (30): 595-713, 1999

      6 최빛내, "탈북 여성의 외상 경험과 성격병리가 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23 (23): 195-212, 2011

      7 김희경, "탈북 여성의 MMPI-2 프로파일" 한국심리학회 29 (29): 1-20, 2010

      8 이지영, "크로싱-탈북자 및 새터민에 대한 심리적 이해와 상담개입; 영화 ‘크로싱’을 통해 살펴본 탈북자들에 대한 심리적 이해" 300-301, 2008

      9 유정자, "재중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 : 보호기관 대상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10 김안식, "수형자의 종교 활동 및 성향이 정신건강과 수용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1 김현진, "탈북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이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2 김미령, "탈북자의 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193-217, 2005

      3 강성록, "탈북자의 외상 척도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4 김성민, "탈북자는 무엇을 말할 수 있을까" 16 : 274-286, 2001

      5 박미석, "탈북가족의 남한사회적응시 겪는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30 (30): 595-713, 1999

      6 최빛내, "탈북 여성의 외상 경험과 성격병리가 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23 (23): 195-212, 2011

      7 김희경, "탈북 여성의 MMPI-2 프로파일" 한국심리학회 29 (29): 1-20, 2010

      8 이지영, "크로싱-탈북자 및 새터민에 대한 심리적 이해와 상담개입; 영화 ‘크로싱’을 통해 살펴본 탈북자들에 대한 심리적 이해" 300-301, 2008

      9 유정자, "재중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 : 보호기관 대상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10 김안식, "수형자의 종교 활동 및 성향이 정신건강과 수용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11 노인숙, "새터민의 우울, 불안, 외상 후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응 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 18 (18): 69-77, 2009

      12 오유진, "새터민의 외상경험과 수치심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13 장경영, "새터민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2009

      14 박철옥, "새터민의 대인관계적 외상경험, 용서, 경험회피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5 조영아, "새터민 정신건강 전문가의 역할과 개입전략" 통일연구원 15 (15): 53-78, 2006

      16 조영아,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예측 요인: 3년 추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467-484, 2005

      17 한인영,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성향에 관한 연구" 11 : 78-94, 2001

      18 홍창형, "북한이탈주민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대한 3년 추적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19 엄태완,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대처 향상 전략: 난민과 이주민 모델의 적용을 통하여" 통일연구원 16 (16): 173-197, 2007

      20 박종철,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민족통일연구원 1996

      21 엄태완, "북한이탈주민의 무망감에 의한 우울증 완충효과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22 이경희,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정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통일연구원 15 (15): 1-28, 2006

      23 강창구, "북한이탈주민(새터민)의 정착장애요인 분석을 통한 정착지원 방안" 평화문제연구소 22 (22): 261-290, 2010

      24 김연희, "북한이탈주민 정신건강 문제 유병율과 영향요인: 2007년 입국자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19 (19): 141-174, 2010

      25 김나연, "북한 이탈주민의 지각된 스트레스 및 자존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차별감과 억제형 대처양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26 이소래, "남한이주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27 전우택,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의 신체 및 정신건강이 경제적 자생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통일부 2004

      28 조영아, "남한 내 7년 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예측요인"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329-348, 2009

      29 김현경, "난민으로서의 새터민의 외상(trauma) 회복 경험에 대한 현상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0 전우택, "난민들의 정신건강과 생활 적응에 관한 고찰 및 한반도 통일과정에서의 전망과 대책" 36 (36): 1-15, 1997

      31 권구영,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라남도 거주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조사연구소 8 (8): 187-219, 2007

      32 박성숙, "광주·전남 지역 새터민의 생활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33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경기도북한이탈주민 성별현황" 12-15, 2012

      34 김광일,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출판사 1984

      35 Brough, M., "Young refugees talk about well-being : A qualitative analysis of refugee youth mental health from three states" 38 (38): 193-208, 2003

      36 Beiser, M., "Southeast Asian refugees in Canada, In Ethnicity, immigration, and psychopathology" Plenum Press 35-56, 1997

      37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Wesleyan University Press 1989

      38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9 Derogatis, L. R., "SCL-90 (revised) Manual I. Clinical psychometrics research unit"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977

      40 Alcock, M., "Refugee trauma–the assault on meaning" 9 (9): 291-306, 2003

      41 김현아, "MMPI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개인차 특성" 7 (7): 129-160, 2003

      42 Thoits, P. A., "Conceptual,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problems in studying social support as a buffer against life stress" 23 : 145-159, 1982

      43 Keyes, E. F., "Belonging and adapting: Mental health of Bosnian refugee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25 (25): 809-831, 2004

      44 Malony, H. N., "Assessing Religious Maturity, In Psychotherapy and Religiously Committed Patient" Haworth 25-33, 1985

      45 통일부, "2012년 북한이탈주민 현황" 통일부 2012

      46 김연희, "(A)Study on North Korean defector's mental health : an application of a stress process model"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4 1.74 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1 1.84 1.857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