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령자 복약 알람 앱 <메디람>의 동영상매뉴얼 제작 연구 = A Study on the Video Manual for Seniors Focused on the Medicine Alarm Application <Medi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36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 will rapidly turn “super-aged”,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elderly living alone and those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Regarding this, although the smart healthcare industry is rapidly emerging, it is not easy to use such services for elderly who are not familiar with how to operate applica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duce an easy and intuitive video manual of <Mediram> so that the elderly can learn how to use the app on their own. This study looked at aging and perceptual abiliti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zed the video manual cases. Based on these, video manuals for the elderly were produced and evaluated through experts and users. As a result of the expert evaluation, it is highly authoritative due to repeating short sentences with ‘ㅂ니다’. It is suggested to use ‘세요’ as sentence end. As it is explained mainly about functions, it is boring because there is no major change in screen layout. If the layout cannot be changed significantly, it is suggested to eliminate the boredom with the complementary method of using various colors and adding objects. It is also suggested to create composite cognitive factors by emphasizing the visual effects greatly or by adding the effects sound. As a result of user evaluation, seniors generally followed video manuals without any problems, but had difficulty in ‘Taking QR Codes’ on their smartphones. The overall scenario is a sequential descriptive structure that explains one by one, assuming that the user is following well. However, it seems necessary to provide examples and guidance on what to do if there is difficulty in operating. Despite the complex use of visual elements, elderly did not seem to understand the visual descriptions other than intuitive images. Elderly tried to use the app only after listening to narration, but missed the screen and replayed it several times. Therefore, guide elements such as learning programs for children are required to perform on-screen viewing and device execu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descriptor.
      번역하기

      korea will rapidly turn “super-aged”,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elderly living alone and those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Regarding this, although the smart healthcare industry is rapidly emerging, it is not easy to use suc...

      korea will rapidly turn “super-aged”,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elderly living alone and those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Regarding this, although the smart healthcare industry is rapidly emerging, it is not easy to use such services for elderly who are not familiar with how to operate applica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duce an easy and intuitive video manual of <Mediram> so that the elderly can learn how to use the app on their own. This study looked at aging and perceptual abiliti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zed the video manual cases. Based on these, video manuals for the elderly were produced and evaluated through experts and users. As a result of the expert evaluation, it is highly authoritative due to repeating short sentences with ‘ㅂ니다’. It is suggested to use ‘세요’ as sentence end. As it is explained mainly about functions, it is boring because there is no major change in screen layout. If the layout cannot be changed significantly, it is suggested to eliminate the boredom with the complementary method of using various colors and adding objects. It is also suggested to create composite cognitive factors by emphasizing the visual effects greatly or by adding the effects sound. As a result of user evaluation, seniors generally followed video manuals without any problems, but had difficulty in ‘Taking QR Codes’ on their smartphones. The overall scenario is a sequential descriptive structure that explains one by one, assuming that the user is following well. However, it seems necessary to provide examples and guidance on what to do if there is difficulty in operating. Despite the complex use of visual elements, elderly did not seem to understand the visual descriptions other than intuitive images. Elderly tried to use the app only after listening to narration, but missed the screen and replayed it several times. Therefore, guide elements such as learning programs for children are required to perform on-screen viewing and device execu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descript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스마트헬스케어 산업이 급부상하며 스마트폰용 헬스케어 앱이 서비스되고 있다. 그러나 주 이용층인 노인들은 노화로 인지 이해력이 떨어져 서비스 사용에 익숙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들이 스스로 앱의 사용법을 익힐 수 있도록 쉽고 직관적인 동영상 매뉴얼을 제작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작할 동영상 매뉴얼은고령자를 위한 복약알림 서비스 앱 <메디람>이다. 이를 위해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노화와 지각능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동영상 매뉴얼을 사례분석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노인용 동영상 매뉴얼을 제작하였으며전문가, 사용자를 통해 평가하였다. 전문가 평가 결과, 단문의 ‘ㅂ니다’ 어미가 반복되니 권위적 어감이 강해 ‘세요’ 체를 병행 사용할 것이 제안되었다. 또한 화면 레이아웃상 큰 변화가 없어 지루한 느낌이 든다고 평가되었다. 전문가들은 다양한 컬러 사용, 오브제 추가의 보완방법으로 레이아웃에서 오는 지루함을 상쇄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주얼 효과를 크게 강조하거나 효과음을 첨가해 복합적 인지요소를 만들 것을 제안하였다. 사용자 평가결과, 노인들은 전반적으로 동영상 매뉴얼을 문제없이 따라 했으나 처방전에 있는 QR코드를 사용한 복용약 자동인식 수행과제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본 연구의 전반적인 시나리오가 동영상 매뉴얼에 따라 하면 이러한 작동이 가능하다는 설명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조작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의 예시와 안내 방법도 필요한 것으로보인다. 시각요소를 복합적으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노인들은 직관적 이미지를 제외한 다른 시각적 설명은 잘이해하지 못한 것으로 보였다. 노인들은 내레이션만 듣고 앱을 사용하려다가 화면을 놓쳐 여러 번 다시 보았다. 따라서 어린이 학습 프로그램과 같이 설명자의 안내에 따라 시청, 실행 등을 할 수 있는 가이드 요소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최근 스마트헬스케어 산업이 급부상하며 스마트폰용 헬스케어 앱이 서비스되고 있다. 그러나 주 이용층인 노인들은 노화로 인지 이해력이 떨어져 서비스 사용에 익숙하지 않다. 따라서 본 ...

      최근 스마트헬스케어 산업이 급부상하며 스마트폰용 헬스케어 앱이 서비스되고 있다. 그러나 주 이용층인 노인들은 노화로 인지 이해력이 떨어져 서비스 사용에 익숙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들이 스스로 앱의 사용법을 익힐 수 있도록 쉽고 직관적인 동영상 매뉴얼을 제작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작할 동영상 매뉴얼은고령자를 위한 복약알림 서비스 앱 <메디람>이다. 이를 위해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노화와 지각능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동영상 매뉴얼을 사례분석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노인용 동영상 매뉴얼을 제작하였으며전문가, 사용자를 통해 평가하였다. 전문가 평가 결과, 단문의 ‘ㅂ니다’ 어미가 반복되니 권위적 어감이 강해 ‘세요’ 체를 병행 사용할 것이 제안되었다. 또한 화면 레이아웃상 큰 변화가 없어 지루한 느낌이 든다고 평가되었다. 전문가들은 다양한 컬러 사용, 오브제 추가의 보완방법으로 레이아웃에서 오는 지루함을 상쇄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주얼 효과를 크게 강조하거나 효과음을 첨가해 복합적 인지요소를 만들 것을 제안하였다. 사용자 평가결과, 노인들은 전반적으로 동영상 매뉴얼을 문제없이 따라 했으나 처방전에 있는 QR코드를 사용한 복용약 자동인식 수행과제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본 연구의 전반적인 시나리오가 동영상 매뉴얼에 따라 하면 이러한 작동이 가능하다는 설명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조작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의 예시와 안내 방법도 필요한 것으로보인다. 시각요소를 복합적으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노인들은 직관적 이미지를 제외한 다른 시각적 설명은 잘이해하지 못한 것으로 보였다. 노인들은 내레이션만 듣고 앱을 사용하려다가 화면을 놓쳐 여러 번 다시 보았다. 따라서 어린이 학습 프로그램과 같이 설명자의 안내에 따라 시청, 실행 등을 할 수 있는 가이드 요소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선호균, "의료산업 X ICT산업 스마트 헬스케어 부상"

      2 최태선,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문화사 수업의 교육적 효과" 4 (4): 115-143, 2011

      3 권충훈, "멀티미디어 교수-학습콘텐츠의 인지심리학적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5 (5): 273-280, 2005

      4 정혜선, "노화가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16 (16): 435-450, 2004

      5 박태진, "노인의 인지신경기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16 (16): 317-336, 2004

      6 정현선, "고령화에 따른 노인의 색지각 변화 특성"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607-616, 2015

      7 한해진, "고령화 진료비 쓰나미, 스마트 헬스케어로 대비"

      8 김기웅, "고령화 사회의 도전과 노인의료복지시설의 계획: 노화와 주거환경" 47 (47): 21-24, 2003

      9 Graf, P., "Life-span changes in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28 (28): 353-358, 1990

      10 이성규, "IT에 약한 노인 IT로 돌본다"

      1 선호균, "의료산업 X ICT산업 스마트 헬스케어 부상"

      2 최태선,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문화사 수업의 교육적 효과" 4 (4): 115-143, 2011

      3 권충훈, "멀티미디어 교수-학습콘텐츠의 인지심리학적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5 (5): 273-280, 2005

      4 정혜선, "노화가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16 (16): 435-450, 2004

      5 박태진, "노인의 인지신경기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16 (16): 317-336, 2004

      6 정현선, "고령화에 따른 노인의 색지각 변화 특성"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607-616, 2015

      7 한해진, "고령화 진료비 쓰나미, 스마트 헬스케어로 대비"

      8 김기웅, "고령화 사회의 도전과 노인의료복지시설의 계획: 노화와 주거환경" 47 (47): 21-24, 2003

      9 Graf, P., "Life-span changes in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28 (28): 353-358, 1990

      10 이성규, "IT에 약한 노인 IT로 돌본다"

      11 Bächman, L.,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Academic press 349-377, 2001

      12 Shih, Y. F., "Effects of text versus voice of learning in multimedia courseware" 5 (5): 203-218, 1996

      13 Mayer, R. E., "Animations need narrations : An experimental test of a dual-coding hypothesis" 83 : 484-490, 1982

      14 Bosco, J., "An analysis of evaluation of interactive video" 25 : 7-16, 19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69 1.33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