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Teachers"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in Science Instruc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657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과 실행 의지, 교사의 배경 변인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과학 수업에서 ...

        이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과 실행 의지, 교사의 배경 변인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과학 수업에서 협동학습을 실행해 본 경험이 있는 44명의 초ㆍ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의 절반 이상이 한 학급당 한 달에 한두 번 정도 협동학습을 실시하고 있었다. 이 교사들은 주로 성적과 성별이 다른 4명을 한 조로 구성하였다. 또한 학생들에게 조별 및 개별 점수를 모두 고려하여 보상하거나 협동학습에 임하는 태도를 고려한 평가를 많이 하였다. 이 교사들은 협동학습에 적합한 주제로 STS 주제들을 선호하였다. 협동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는 높은 편이었으나 무임승차 효과, 협동학습 모형, 실시 가능한 학급 규모에 대한 이해도는 낮은 편이었다. 이 교사들의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은 일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협동학습 실행을 장려하는 외부요인들은 별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협동학습을 실행하려는 의지가 강하고 교직 경력이 긴 교사들은 그러한 외부의 지원을 얻기 쉽다고 인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investigated teachers"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in science instruction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their willingness to implement cooperative lear...

        We investigated teachers"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in science instruction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their willingness to implement cooperative learning.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44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in implementing cooperative learning in their science instructions. More than half of them implemented cooperative learning once or twice a month. The teachers mainly organized 4 students into one group, who were heterogeneous in the achievement level and the gender. In many cases, the teachers rewarded students on the basis of both group and individual scores, and evaluated them on the basis of their attitudes during cooperative learning. The teachers preferred STS issues to the others as the topics for cooperative learning. The test scores for the understanding of cooperative learning were generally high, but low for the issues of ‘free rider’, ‘cooperative learning model’ and ‘class size suitable for the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The teachers, in general, perceived that cooperative learning was useful but there were not enough outside aids to implement it. However, the teachers with willingness to implement cooperative learning and with long career years perceived that they can easily obtain outside aids to implement cooperative learn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현옥, "협동학습에 대한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시 중고등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2002

      2 정홍선,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 및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초등사회과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2000

      3 노태희,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 중심 활동을 강조한 협동학습과 개별학습 전략의 효과" 25 (25): 56-64, 1998

      4 박종윤, "중학교 과학수업에 적용한 Jigsaw 협동학습의 효과" 21 (21): 635-647, 2001

      5 한재영,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TGT Teams-Games-Tournaments 협동학습의 교수 효과" 12 (12): 275-290, 2004

      6 이기영, "중등학교 과학 수행평가의 평가 유형과 채점 방식 및 신뢰도 분석" 25 (25): 173-183, 2005

      7 최영재, "전문가 집단을 활용한 Jigsaw II 협동학습이 과학지식 탐구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20 (20): 177-186, 2001

      8 정문성, "열린교육을 위한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형설출판사 1998

      9 조희형, "구성주의와 과학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820-836, 2002

      10 곽영순, "과학 교사들이 진단한 과학과 협동학습의 실태 연수 교사 18명을 대상으로 면담 조사" 22 (22): 360-376, 2001

      1 최현옥, "협동학습에 대한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시 중고등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2002

      2 정홍선,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 및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초등사회과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2000

      3 노태희,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 중심 활동을 강조한 협동학습과 개별학습 전략의 효과" 25 (25): 56-64, 1998

      4 박종윤, "중학교 과학수업에 적용한 Jigsaw 협동학습의 효과" 21 (21): 635-647, 2001

      5 한재영,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TGT Teams-Games-Tournaments 협동학습의 교수 효과" 12 (12): 275-290, 2004

      6 이기영, "중등학교 과학 수행평가의 평가 유형과 채점 방식 및 신뢰도 분석" 25 (25): 173-183, 2005

      7 최영재, "전문가 집단을 활용한 Jigsaw II 협동학습이 과학지식 탐구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20 (20): 177-186, 2001

      8 정문성, "열린교육을 위한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형설출판사 1998

      9 조희형, "구성주의와 과학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820-836, 2002

      10 곽영순, "과학 교사들이 진단한 과학과 협동학습의 실태 연수 교사 18명을 대상으로 면담 조사" 22 (22): 360-376, 2001

      11 정영란, "고등학교 생물 ‘물질대사’ 단원에서 협동학습의 효과 STAD 모형의 적용" 23 (23): 35-46, 2003

      12 Rama, K. L, "The Influence of Cooperative Learning on Academic Performance and Student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Benefits of Peer Collaboration in a Suburban, Ninth Grade Global Studies Course" Wayne State University 2003

      13 Keys,C.W,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Reasoning Skills in Conjunction with Collaborative Writing Assignments:An Interpretative Study of Six Ninth-grades Students" 31 (31): 1003-1022, 1994

      14 Lumpe, A. T, "Science Teacher Beliefs and Intentions Regarding the Use of Cooperative Learning" 98 (98): 123-135, 1998

      15 Hunt, "SATIS Approaches to S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09-420, 1988

      16 Tobin, "Research on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Science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acmillan Pub 1994

      17 Czerniak, C. M,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Beliefs and Science Education Reform" 7 (7): 247-266, 1996

      18 Lumpe, A. T, "Peer Collaboration and Concept Development Learning about Photosynthesis" 32 (32): 71-98, 1995

      19 Miller, R.,, "Improving Science Education The Contribution of Research" Open University Press 2000

      20 Hashweh,M.Z, "Effects of Science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in Teaching" 33 (33): 47-63, 1996

      21 Gess-Newsome, J, "Biology Teachers Perceptions of Subject Matter Structure and its Relationship to Classroom Practice" 32 (32): 301-325,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4 1.54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5 1.7 1.914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