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近代 韓國山水畵의 考察 : 卞寬植·盧壽鉉의 作品을 中心으로 = (A) Study of Comparison with Korean Landscape : Focused Kwan-Sik Pyon and Su-Hyun No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695573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2

      • 학위논문사항

        學位論文(碩士) --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 傳統畵專攻 , 2002. 8

      • 발행연도

        200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54.4 판사항(4)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iv, 62 p. : 삽도 ; 26 cm.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회화를 연구할 때 기법이나 양식의 화법을 연구하기 보다는, 작가가 어떠한 방식으로 자신의 체험과 정서를 표현해 낼 수 있었는지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조선 후기 謙齋 鄭敾의 출현 이전엔 중국 산수화의 인상을 씻지 못한 문인·사대부의 묵적이었으나 정선이후에 와서 우리 산야를 직접 사생한 진경산수화가 성립되었는데, 이것이 진정한 전통 수묵산수화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술이 인간의 체험을 반영한 것이라면 한국의 예술적 특성은 이러한 자연관에서 연유된 미적 감성과 생활표현의 한 양상이라 할 수 있으며, 회화에서 다른 장르에 비하여 산수화가 주류를 이루게 된 것도 자연에 대한 한국인의 이러한 정신세계와 무관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연관은 역대 산수화가들에게 그대로 투영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20세기초 卞寬植과 盧壽鉉의 작품에서도 역시 이와 같은 면모가 드러나고 있다. 그들은 한국의 산천을 두루 체험하고 사생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자연에 투영시키고자 하였고, 또한 그들만의 독특한 필법과 준법으로 한국 산천의 특성을 회화화하는데 주력하였다.
      변관식의 특징은 적묵과 파선으로 볼 수 있는데, 그의 적묵법과 파선법은 여백을 배제하고 자연의 본질에 가까워지려는 의지의 소산이며, 자연의 본연을 나타내는 대지의 기본색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는 극히 자연스러운 풍치속에 자신의 감정을 화폭에 담기 위해서 노력했으며, 이것이 자연에 대한 끊임없는 애착과 표현의식을 보여주는 한 예일 것이다. 암울한 시대를 거치면서도 뛰어난 현실감각과 사경양식을 통해 자신의 화풍을 구축하였다는 사실은, 주위의 현실을 체험으로 극복하고 자연에 대한 순수한 조형의식을 보여주는 진경정신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경정신을 바탕으로 정선이후 진경산수화의 경지를 이루어 놓았다는 점에서 소정 예술의 진면목과 만날 수 있다.
      노수현의 예술세계는 속세를 떠나 마음의 산수를 찾아 노니는 정신세계였다고 할 수 있다. 그에게는 예술가로서의 때묻지 않은 평온함이 있으며, 筆은 곧고 먹색은 투명하리 만치 담백하다. 또한, 뛰어난 재능의 바탕위에 끊임없이 노력하고 성실히 작품제작에 몰두하는 태도를 보여준 모범적인 대가이다. 그는 전통화법을 충실히 섭렵하고 부단한 시도와 개성적인 특징을 구축하려는 노력으로 근대회화를 이룩하였다. 자연의 골격을 중심으로 한 엄격한 화면 구성과 불필요한 것들을 제거해 나감으로써 화면구성의 간결함으로 오히려 시원한 여백의 공간미를 느끼게 한다. 이렇듯, 그는 현대를 연결하면서도 독특한 작품세계를 구축한 중요한 작가였다.
      이들 작가가 쌓아올린 예술성은 한국 회화사적 입장에서 볼 때 자기의 개성을 확립하여 동시대와 후대의 많은 사람들로부터 예술적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로써 서구적 조형의식만을 현대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전통의 계승은 진부하다는 잘못된 의식이 범람했던 때에 근대화단의 대표적 작가였던 변관식과 노수현의 예술세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국화의 새로운 가능성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민족적인 전통을 계승하면서 한국화풍을 창출해낸 변관식과, 노수현 회화에 나타난, 요인에 대해 일상적인 체험들과 자연주의를 지향하는 가운데 자신들의 독창적인 화풍을 완성할 수 있었던 변모들을 연구하였다. 또한, 그들에 관한 그들에 관한 많은 문헌과 선행 연구된 결과들을 분석하고 특히 사계산수화를 중심으로 비교연구하여 전통과 현대의 만남, 한국화의 새로운 방향모색 등 오늘이 한국회화가 당면한 문제들에 접근 하고자 하였다.
      한국회화의 독창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근대회화의 대표라 할 수 있는 변관식과 노수현을 연구한 바 진경산수를 조형적으로 어떻게 표현하느냐 하는 것과 독창성이라는 그들의 작품에서 보면 두 가지 면을 모두 조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변관식은 화면전체를 묵을 충분히 사용함으로 화면 전체가 중묵의 필세로서 입체감을 나타내 주고, 노수현은 화면전체를 공간감을 이용해 의형·의인화한 표현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이들의 실경산수는 한국 산천이 가지고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시사해 주고 있으며, 전통을 이해하고 한국적인 산수화의 정립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 논문에서 미비한 부분들은 앞으로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보완되기를 바란다.
      번역하기

      회화를 연구할 때 기법이나 양식의 화법을 연구하기 보다는, 작가가 어떠한 방식으로 자신의 체험과 정서를 표현해 낼 수 있었는지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조선 후기 謙齋 鄭敾...

      회화를 연구할 때 기법이나 양식의 화법을 연구하기 보다는, 작가가 어떠한 방식으로 자신의 체험과 정서를 표현해 낼 수 있었는지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조선 후기 謙齋 鄭敾의 출현 이전엔 중국 산수화의 인상을 씻지 못한 문인·사대부의 묵적이었으나 정선이후에 와서 우리 산야를 직접 사생한 진경산수화가 성립되었는데, 이것이 진정한 전통 수묵산수화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술이 인간의 체험을 반영한 것이라면 한국의 예술적 특성은 이러한 자연관에서 연유된 미적 감성과 생활표현의 한 양상이라 할 수 있으며, 회화에서 다른 장르에 비하여 산수화가 주류를 이루게 된 것도 자연에 대한 한국인의 이러한 정신세계와 무관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연관은 역대 산수화가들에게 그대로 투영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20세기초 卞寬植과 盧壽鉉의 작품에서도 역시 이와 같은 면모가 드러나고 있다. 그들은 한국의 산천을 두루 체험하고 사생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자연에 투영시키고자 하였고, 또한 그들만의 독특한 필법과 준법으로 한국 산천의 특성을 회화화하는데 주력하였다.
      변관식의 특징은 적묵과 파선으로 볼 수 있는데, 그의 적묵법과 파선법은 여백을 배제하고 자연의 본질에 가까워지려는 의지의 소산이며, 자연의 본연을 나타내는 대지의 기본색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는 극히 자연스러운 풍치속에 자신의 감정을 화폭에 담기 위해서 노력했으며, 이것이 자연에 대한 끊임없는 애착과 표현의식을 보여주는 한 예일 것이다. 암울한 시대를 거치면서도 뛰어난 현실감각과 사경양식을 통해 자신의 화풍을 구축하였다는 사실은, 주위의 현실을 체험으로 극복하고 자연에 대한 순수한 조형의식을 보여주는 진경정신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경정신을 바탕으로 정선이후 진경산수화의 경지를 이루어 놓았다는 점에서 소정 예술의 진면목과 만날 수 있다.
      노수현의 예술세계는 속세를 떠나 마음의 산수를 찾아 노니는 정신세계였다고 할 수 있다. 그에게는 예술가로서의 때묻지 않은 평온함이 있으며, 筆은 곧고 먹색은 투명하리 만치 담백하다. 또한, 뛰어난 재능의 바탕위에 끊임없이 노력하고 성실히 작품제작에 몰두하는 태도를 보여준 모범적인 대가이다. 그는 전통화법을 충실히 섭렵하고 부단한 시도와 개성적인 특징을 구축하려는 노력으로 근대회화를 이룩하였다. 자연의 골격을 중심으로 한 엄격한 화면 구성과 불필요한 것들을 제거해 나감으로써 화면구성의 간결함으로 오히려 시원한 여백의 공간미를 느끼게 한다. 이렇듯, 그는 현대를 연결하면서도 독특한 작품세계를 구축한 중요한 작가였다.
      이들 작가가 쌓아올린 예술성은 한국 회화사적 입장에서 볼 때 자기의 개성을 확립하여 동시대와 후대의 많은 사람들로부터 예술적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로써 서구적 조형의식만을 현대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전통의 계승은 진부하다는 잘못된 의식이 범람했던 때에 근대화단의 대표적 작가였던 변관식과 노수현의 예술세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국화의 새로운 가능성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민족적인 전통을 계승하면서 한국화풍을 창출해낸 변관식과, 노수현 회화에 나타난, 요인에 대해 일상적인 체험들과 자연주의를 지향하는 가운데 자신들의 독창적인 화풍을 완성할 수 있었던 변모들을 연구하였다. 또한, 그들에 관한 그들에 관한 많은 문헌과 선행 연구된 결과들을 분석하고 특히 사계산수화를 중심으로 비교연구하여 전통과 현대의 만남, 한국화의 새로운 방향모색 등 오늘이 한국회화가 당면한 문제들에 접근 하고자 하였다.
      한국회화의 독창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근대회화의 대표라 할 수 있는 변관식과 노수현을 연구한 바 진경산수를 조형적으로 어떻게 표현하느냐 하는 것과 독창성이라는 그들의 작품에서 보면 두 가지 면을 모두 조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변관식은 화면전체를 묵을 충분히 사용함으로 화면 전체가 중묵의 필세로서 입체감을 나타내 주고, 노수현은 화면전체를 공간감을 이용해 의형·의인화한 표현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이들의 실경산수는 한국 산천이 가지고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시사해 주고 있으며, 전통을 이해하고 한국적인 산수화의 정립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 논문에서 미비한 부분들은 앞으로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보완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think, cultural studies on how painters can express their own experience and emotion should be more important than research in apparent technique or pattern in expressing paintings through history. before Jeong Seon (called Gyeomjae) appeared in late Chosun dynasty, Chinese landscape painting drawn by high literary officials have been leading the painting culture those days when pictures were mostly painted by ink. After he made his appearance, however, real landscape painting in which Korean nature is directly sketched was established. It is a true Korean landscape painting in ink. suppose experience of human being is expressed in art, artistic feature of Korea is one phase of both aesthetic sensibility and life expression resulted from such a view of nature. Spiritual world of Korean people is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nature. That is why landscape painting is the main stream compared with other genres in paintings. former landscape painters have expressed such a view of nature as it was. In early 20thcentury, that viewpoint of nature was easily found in drawings painted by Byeon Gwan-shik (called Sojeong) and Noh Su-hyeon (called Shimsan) as well. They have tried to express their feelings into the nature by going through Korean mountains and rivers and sketching them on first hand. In addition, they concentrated energy on picturiz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ure through their own unique technique of calligraphy.
      Sojeong specialized in three elements such as ink, wavy line and brown. It is said that ink and wavy line used by him exclude space and are close to the essentials of the nature, and brown is a basic color of the earth that should return to true nature.
      In particular, he made every effort at expressing his feelings into picture through most natural scenic beauty, which shows Korean people have continuous love and expression on the nature.
      Over dark and gloomy times, he expressed his style of drawing through excellent sensitivity for the reality and real landscape painting, which is resulted from Jingyeong (real landscape) Spirit by which he overcame facing reality through experience and showed pure formative consciousness of the nature. His ability of art can be taken into high consideration in that another stage of real landscape painting has been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at Jingyeong spirit after Gyeomjae did.
      It is said that spiritual world of Shimsan means mental mountain and river away from the world in search of imaginary landscape. His paintings include unstained simplicity as an artist, and his style of calligraphy is straight and ink color is really mild. Based on talented ability, furthermore, he is a typical master who continued to make his efforts and be faithfully absorbed in paintings. Shimsan deeply dug intotradition of paintings in Chosun dynasty and he completed his self-identification through constant attempts and efforts at winning individual fame since then. by composing strict picture and removing unnecessary things based on the frame of the nature, the simplicity of outline creates cool beauty of space instead. like this, he is an important person connecting late Chosun dynasty to the modern times in art history, showing hope and model to appreciator and researcher as true and conscientious artist.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nto routine experience and their own unique style of picture in search of naturalism reflected in paintings drawn by Byeon Gwan-shik and Noh Su-hyeon who not merely preserved national tradition but also created Korean style of picture.
      In terms of Korean painting history, artistry made by the two painters reflects their own personality and evokes artistic sympathy from many people in next generation as well as the same period. In addition, when wrong way of thinking - only western formative consciousness is modern- prevails, I hope comparison and analysis of artistic spirit of both Sojeong and Shimsan, the representative painters of modern painting circle, will be helpful to new possibility of Korean paintings.
      Therefore, on how tradition can be in harmony with modern times and how we should develop tradition, I would like to analyze many documents and precedent data on Byeon Gwan-shik and Noh Su-hyeon, and put them together based on landscape paintings of four seasons in order to bestow real meaning upon research in direction of Korean paintings.
      번역하기

      I think, cultural studies on how painters can express their own experience and emotion should be more important than research in apparent technique or pattern in expressing paintings through history. before Jeong Seon (called Gyeomjae) appeared in lat...

      I think, cultural studies on how painters can express their own experience and emotion should be more important than research in apparent technique or pattern in expressing paintings through history. before Jeong Seon (called Gyeomjae) appeared in late Chosun dynasty, Chinese landscape painting drawn by high literary officials have been leading the painting culture those days when pictures were mostly painted by ink. After he made his appearance, however, real landscape painting in which Korean nature is directly sketched was established. It is a true Korean landscape painting in ink. suppose experience of human being is expressed in art, artistic feature of Korea is one phase of both aesthetic sensibility and life expression resulted from such a view of nature. Spiritual world of Korean people is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nature. That is why landscape painting is the main stream compared with other genres in paintings. former landscape painters have expressed such a view of nature as it was. In early 20thcentury, that viewpoint of nature was easily found in drawings painted by Byeon Gwan-shik (called Sojeong) and Noh Su-hyeon (called Shimsan) as well. They have tried to express their feelings into the nature by going through Korean mountains and rivers and sketching them on first hand. In addition, they concentrated energy on picturiz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ure through their own unique technique of calligraphy.
      Sojeong specialized in three elements such as ink, wavy line and brown. It is said that ink and wavy line used by him exclude space and are close to the essentials of the nature, and brown is a basic color of the earth that should return to true nature.
      In particular, he made every effort at expressing his feelings into picture through most natural scenic beauty, which shows Korean people have continuous love and expression on the nature.
      Over dark and gloomy times, he expressed his style of drawing through excellent sensitivity for the reality and real landscape painting, which is resulted from Jingyeong (real landscape) Spirit by which he overcame facing reality through experience and showed pure formative consciousness of the nature. His ability of art can be taken into high consideration in that another stage of real landscape painting has been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at Jingyeong spirit after Gyeomjae did.
      It is said that spiritual world of Shimsan means mental mountain and river away from the world in search of imaginary landscape. His paintings include unstained simplicity as an artist, and his style of calligraphy is straight and ink color is really mild. Based on talented ability, furthermore, he is a typical master who continued to make his efforts and be faithfully absorbed in paintings. Shimsan deeply dug intotradition of paintings in Chosun dynasty and he completed his self-identification through constant attempts and efforts at winning individual fame since then. by composing strict picture and removing unnecessary things based on the frame of the nature, the simplicity of outline creates cool beauty of space instead. like this, he is an important person connecting late Chosun dynasty to the modern times in art history, showing hope and model to appreciator and researcher as true and conscientious artist.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nto routine experience and their own unique style of picture in search of naturalism reflected in paintings drawn by Byeon Gwan-shik and Noh Su-hyeon who not merely preserved national tradition but also created Korean style of picture.
      In terms of Korean painting history, artistry made by the two painters reflects their own personality and evokes artistic sympathy from many people in next generation as well as the same period. In addition, when wrong way of thinking - only western formative consciousness is modern- prevails, I hope comparison and analysis of artistic spirit of both Sojeong and Shimsan, the representative painters of modern painting circle, will be helpful to new possibility of Korean paintings.
      Therefore, on how tradition can be in harmony with modern times and how we should develop tradition, I would like to analyze many documents and precedent data on Byeon Gwan-shik and Noh Su-hyeon, and put them together based on landscape paintings of four seasons in order to bestow real meaning upon research in direction of Korean painting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次
      • 國文抄錄 = i
      • I. 序論 = 1
      • II. 近代繪畵의 時代的 背景과 傳統畵風 繼承 = 3
      • 1. 近代畵壇의 背景과 새 畵風의 導入 = 5
      • 目次
      • 國文抄錄 = i
      • I. 序論 = 1
      • II. 近代繪畵의 時代的 背景과 傳統畵風 繼承 = 3
      • 1. 近代畵壇의 背景과 새 畵風의 導入 = 5
      • 2. 近代畵風의 特性 = 8
      • III. 卞寬植의 南宗畵 精神과 作品世界의 特性
      • 1. 筆墨法과 設彩法 = 11
      • 2. 四季山水畵와 그 特性 = 14
      • 3. 反骨精神과 眞景美 = 16
      • IV. 盧壽鉉의 北宗畵 精神과 作品世界의 特徵
      • 1. 運筆과 設彩法 = 20
      • 2. 四季山水畵와 그 特性 = 24
      • 3. 眞景精神과 意境美 = 28
      • V. 卞寬植과 盧壽鉉 作品의 造形性 比較分析 = 31
      • 1. 共通點 = 33
      • 2. 差異點 = 38
      • VI. 結論 = 40
      • 年譜 = 44
      • 參考文獻 = 48
      • 圖版目錄 = 51
      • 圖版 = 52
      • ABSTRACT = 5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