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법제 개선방안 = Improvement of legal system to improve quality of long-term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748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고령사회를 맞이하고 있고, 초고령 사회를 걱정해야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이에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긍정적인 측면을 발전시키고, 문제되는 부분을 개선해 가면서 전 국민이 보편적인 복지를 누릴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할 것이다. 특히, 노인장기요양서비스는 질 향상을 위해 보다 나은 전달체계를 통한 맞춤형 복지를 지향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취지와 배경을 살피면서, 서비스 질에 관한 현황을 진단하고, 문제점을 꼽을 수 있는 사항에 관하여 서비스주체와 대상 및 법제적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운영현황을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교육부실과 전문요양보호사 양성교육시스템의 결어로 서비스의 질 저하가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낮은 처우 및 관리체계 미흡한 점이다. 셋째, 획일적인 내용의 서비스가 중심이 되고 있고, 수급대상자의 수요조사가 결어되어서 맞춤형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넷째, 요양관련하여 수급대상자 및 그 가족의 적절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없는 서비스 정보접근의 어려움을 문제로 들었다.
      이런 문제점에 대한 주요 법제 개성방안으로는 요양보호사의 전문교육과정 신설, 요양보호사의 인건비 비율 및 자료제출의 법규범화,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수렴 제도를 통한 체계적인 관리, 서비스 제공기록의 맞춤형 설계 및 수요조사, 웹 서식을 통한 지식관리의 실질적 제도화, 서비스 이용의 다양한 정보접근체계 마련이라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우리나라는 고령사회를 맞이하고 있고, 초고령 사회를 걱정해야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이에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긍정적인 측면을 발전시키고, 문제되는 부분을 개선해 가면서 전 국...

      우리나라는 고령사회를 맞이하고 있고, 초고령 사회를 걱정해야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이에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긍정적인 측면을 발전시키고, 문제되는 부분을 개선해 가면서 전 국민이 보편적인 복지를 누릴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할 것이다. 특히, 노인장기요양서비스는 질 향상을 위해 보다 나은 전달체계를 통한 맞춤형 복지를 지향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취지와 배경을 살피면서, 서비스 질에 관한 현황을 진단하고, 문제점을 꼽을 수 있는 사항에 관하여 서비스주체와 대상 및 법제적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운영현황을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교육부실과 전문요양보호사 양성교육시스템의 결어로 서비스의 질 저하가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낮은 처우 및 관리체계 미흡한 점이다. 셋째, 획일적인 내용의 서비스가 중심이 되고 있고, 수급대상자의 수요조사가 결어되어서 맞춤형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넷째, 요양관련하여 수급대상자 및 그 가족의 적절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없는 서비스 정보접근의 어려움을 문제로 들었다.
      이런 문제점에 대한 주요 법제 개성방안으로는 요양보호사의 전문교육과정 신설, 요양보호사의 인건비 비율 및 자료제출의 법규범화,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수렴 제도를 통한 체계적인 관리, 서비스 제공기록의 맞춤형 설계 및 수요조사, 웹 서식을 통한 지식관리의 실질적 제도화, 서비스 이용의 다양한 정보접근체계 마련이라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 is entering into an aging society and reaching a stage where it should worry about a super-aged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ositive aspect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and to lead the universal welfare of the whole nation by improving the problematic part. In particular, the need for long–term care services for elderly people is increasing in order to improve customized welfare through better delivery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of service quality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service subject, subject, and legal system in terms of issues that can be considered as problems, while examining the purpose and background of introduc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oblems through the operation status of long–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First, the deterioration of service quality is a problem due to the poor education of caregivers and the education system of professional nursing staff. Second, the low treatment and management system of care workers are insufficient. Third, the service of uniform contents is centered, and the demand survey of the recipients is not completed, and customized services are not provided. Fourth, the difficulty in accessing service information that can not select appropriate services for the recipients and the family members related to medical care was a problem.
      Based on these problems, the main legislative measures for improvement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a professional curriculum for care workers, the ratio of labor costs of care workers and pan-normalization of submission of materials, systematic quality management through stakeholder feedback system, customized design and demand survey of service delivery records, Practical institutionaliz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through web form, and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access systems.
      번역하기

      Korea is entering into an aging society and reaching a stage where it should worry about a super-aged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ositive aspect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and to lead the universal w...

      Korea is entering into an aging society and reaching a stage where it should worry about a super-aged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ositive aspect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and to lead the universal welfare of the whole nation by improving the problematic part. In particular, the need for long–term care services for elderly people is increasing in order to improve customized welfare through better delivery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of service quality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service subject, subject, and legal system in terms of issues that can be considered as problems, while examining the purpose and background of introduc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oblems through the operation status of long–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First, the deterioration of service quality is a problem due to the poor education of caregivers and the education system of professional nursing staff. Second, the low treatment and management system of care workers are insufficient. Third, the service of uniform contents is centered, and the demand survey of the recipients is not completed, and customized services are not provided. Fourth, the difficulty in accessing service information that can not select appropriate services for the recipients and the family members related to medical care was a problem.
      Based on these problems, the main legislative measures for improvement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a professional curriculum for care workers, the ratio of labor costs of care workers and pan-normalization of submission of materials, systematic quality management through stakeholder feedback system, customized design and demand survey of service delivery records, Practical institutionaliz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through web form, and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access syste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 Ⅱ.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취지와 배경
      • 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개념
      • 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취지 및 경과
      • 3.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특성
      • Ⅰ. 서
      • Ⅱ.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취지와 배경
      • 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개념
      • 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취지 및 경과
      • 3.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특성
      • Ⅲ.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현황과 문제점
      • 1. 요양보호사의 교육부실과 전문요양보호사 양성교육시스템의 결어
      • 2. 요양보호사의 낮은 처우 및 관리체계 미흡
      • 3. 획일적인 내용의 서비스 중심 및 수요조사의 결어
      • 4. 요양관련 서비스 정보접근의 어려움
      • Ⅳ.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법제 개선방안
      • 1. 요양보호사의 교육시간 연장 및 전문교육과정 신설
      • 2. 요양보호사의 인건비 비율 및 자료제출의 법규범화
      • 3. 관계자들의 의견수렴을 통한 체계적인 질 관리
      • 4. 장기요양 급여제공기록의 맞춤형 설계 및 수요조사
      • 5. 웹 서식을 통한 지식관리의 실질적 제도화
      • 6. 서비스 이용의 다양한 정보접근체계 마련
      • Ⅴ. 결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원태, "老人長期療養保險法의 改正方向"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2

      2 이상우, "한국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질 관리체계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14

      3 이혜영, "우리나라 케어복지사제도의 도입 방안" 2002

      4 곽정국, "사회적 사회복지사업법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관계성 연구" 6 (6): 2011

      5 배유진, "사회복지 데이터관리와 법제방향" 사회복지법제학회 7 (7): 191-214, 2016

      6 "보건복지부"

      7 유승현, "노인장기요양체계의 서비스 연계성 분석: 서비스 중복 및 사각 위험요인 탐색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6 (46): 127-155, 2012

      8 엄기욱,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서비스 질 향상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9 정영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법과정책연구원 22 (22): 319-354, 2016

      10 최영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韓・日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경인행정학회 11 (11): 351-366, 2011

      1 박원태, "老人長期療養保險法의 改正方向"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2

      2 이상우, "한국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질 관리체계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14

      3 이혜영, "우리나라 케어복지사제도의 도입 방안" 2002

      4 곽정국, "사회적 사회복지사업법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관계성 연구" 6 (6): 2011

      5 배유진, "사회복지 데이터관리와 법제방향" 사회복지법제학회 7 (7): 191-214, 2016

      6 "보건복지부"

      7 유승현, "노인장기요양체계의 서비스 연계성 분석: 서비스 중복 및 사각 위험요인 탐색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6 (46): 127-155, 2012

      8 엄기욱,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서비스 질 향상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9 정영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법과정책연구원 22 (22): 319-354, 2016

      10 최영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韓・日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경인행정학회 11 (11): 351-366, 2011

      11 이준우,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노년학회 29 (29): 149-175, 2009

      12 "노인장기요양보험"

      13 김찬우, "노인복지서비스 증진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정립에 관한 고찰" 한국노인복지학회 (67) : 33-60, 2015

      14 "국민건강보험공단"

      15 "국가법령정보센터"

      16 "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413211"

      17 국민건강보험공단, "2011년 요양보호사 운영실태 보고서" 2011

      18 보건복지부, "2011년 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5-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복지법제학회 -> 사회복지법제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and Law -> Academy of Social Welfare and Law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