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는 우리나라 전체 도서 중 56 % 인 2,313 개가 분포하고 여객 수는 전국의 49 % 인 6,270 천 명이 이용한다. 도서의 산림경관은 해안경관과 함께 도서를 구성하는 주요 경관서비스 중 하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05763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3-77(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전라남도는 우리나라 전체 도서 중 56 % 인 2,313 개가 분포하고 여객 수는 전국의 49 % 인 6,270 천 명이 이용한다. 도서의 산림경관은 해안경관과 함께 도서를 구성하는 주요 경관서비스 중 하나...
전라남도는 우리나라 전체 도서 중 56 % 인 2,313 개가 분포하고 여객 수는 전국의 49 % 인 6,270 천 명이 이용한다. 도서의 산림경관은 해안경관과 함께 도서를 구성하는 주요 경관서비스 중 하나로 희귀 및 토착생물 등 생물의 주요 서식지와 수자원, 방풍림, 어부림 등을 제공하고 도서를 방문하는 여객에 시각적 아름다움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연안 여객선 항로에서 볼 수 있는 도서산림 경관자원의 공간 분포를 확인하고 도서의 경관자원을 고려한 도서산림관리와 의사결정체계 방향성을 제공하고자 수행했다. 여객선 항로 중심의 가시영역 분석을 위해 여객항로와 기상정보 기반 시정거리를 이용하고 수치표고모델과 임상도 수고정보를 활용한 수치표면모델을 입력자료로 분석을 수행했다. 그 결과 전라남도 전체 도서 면적 192,540 ha 중 53 %의 가시영역과 75,183 ha의 산림을 확인했다. 도서별 가시영역 내 임분 면적은 진도가 가장 넓었고 돌산도와 완도가 다음순서로 넓었다. 낙엽수림은 거금도와 완도 순서이고, 상록수림은 돌산도와 완도 순서다. 혼효림은 거금도와 암태도가 높았다. 도서산림경관자원의 공간적 분포는 여객경로 중 볼 수 있는 산림면적을 기준으로 4개 해역(진도와 신의도, 장산도 사이 해역, 돌산도와 남해도 사이 해역, 완도와 대모도, 소안도 사이 해역, 신안 일대 해역)에서 산림경관 가치가 높았다. 낙엽수림은 돌산도와 남해도 사이 해역과 진도와 신의도, 장산도 사이 해역의 산림경관 가치가 높았다. 상록수림은 완도와 대모도, 소안도 사이 해역과 진도와, 신의도, 장산도 사이 해역의 산림경관 가치가 높았다. 침활혼효림은 신안 일대 해역의 산림경관 가치가 높았다.
경관자원의 심미적 가치와 이를 고려한 산림관리 의사결정체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추세로 향후 경관서비스 항목의 상세 및 정량화가 필요하다.
수목의 생육 특징과 탄소저장 산정과의 상관성 연구를 통한 해안지역 수목식재 시사점 제시 - 미국 해안 및 도시지역 식재수종을 중심으로 -
탄소 흡수원 발굴을 위한 기초연구: 갯잔디(Zoysia sinica Hance)군락 이산화탄소 호흡량 측정 및 환경인자 상관성 분석
한국인의 수산물 소비량 진단 : 수급 산정의 문제와 개선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