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方僊道에 대하여― 《列子》를 중심으로 = On Fangxiandao― Centering on Liez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26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angxiandao is mentioned for the first time in Shiji “Fengshanshu” and this term is not noticeable else other than the same phrase in Hanshu “Jiaosizhi”. In “Fengshanshu”, it is explained that Zouyan’s wudezhongshishuo and Fangxiandao are inseparable from each other. It is explained that this Fangxiandao was created by misinterpreting or distorting Zouyan’s theory. Among various methods and techniques, Fangxiandao is a secret method to achieve immortality or eternal youth by becoming a Taoist hermit with supernatural powers. Qin Shi Huang pursued immortality and eternal youth under the influence of Yan and Qi fangshi in coastal areas, while adopting wudezhongshishuo at the suggestion of the people of Qi. And since thi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Taoism in the Later Han Dynasty, it is also explained as an early form of Taoism.
      Both Taoist hermit and immortal Medicine, the immortal beings that the fangshi say, were located in sanshensan in the middle of Bohai. It is only from the time of King Wei, King Xuan of Qi and King Zhao of Yan that people were dispatched to sanshensan to persue immortality.
      Wenyiduo claimed that the idea of immortality had already appeared in the Qi Dynasty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not the Warring States Period, and it developed into the theory of Taoist hermit with supernatural power, but the origin of this idea was not in Qi but in the Qiang tribes of western China from which Qi derived. After the people of the Qi moved to the east with this idea, they gradually abandoned the concept of soul and changed into a concept of pure physical immortality under the influence of the indigenous idea of the land.
      On the other hand, Aoki Masaru divided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Taoist hermit with supernatural power into three stages: the first period was the legendary period before the so-called shenxianjia was established, the second period was the shenxianjia period after the establishment of shenxianjia, the third period was the Taoism period after the appearance of Taoism, and explained as a historical development stage. And as belonging to the second period, he is holding the fangxiandao of the fangshi shown in Shiji “Fengshanshu”.
      He sees that most of the data of the Taoist hermit with supernatural power remaining today are from after the establishment of Taoism, but only Liezi and Shiji “Fengshanshu” preserve old stories before that time. In particular, Liezi enumerates the dwellings of immortals the most, and there are six in all.
      This paper examines not only the records of Shiji but also the dwellings of immortals mentioned by Aoki one by one, critically examines them, and extensively examines related literature. The six tales shown in Liezi are a kind of Taoist utopia rather than a place where immortals live in a strict sense. Among them, Lieguye, Kunlunshan and wushenshan are representative shenxianxiang mentioned in other documents, but rather than their prototypes, they seem to show a slightly modified form in later generation.
      번역하기

      Fangxiandao is mentioned for the first time in Shiji “Fengshanshu” and this term is not noticeable else other than the same phrase in Hanshu “Jiaosizhi”. In “Fengshanshu”, it is explained that Zouyan’s wudezhongshishuo and Fangxiandao ar...

      Fangxiandao is mentioned for the first time in Shiji “Fengshanshu” and this term is not noticeable else other than the same phrase in Hanshu “Jiaosizhi”. In “Fengshanshu”, it is explained that Zouyan’s wudezhongshishuo and Fangxiandao are inseparable from each other. It is explained that this Fangxiandao was created by misinterpreting or distorting Zouyan’s theory. Among various methods and techniques, Fangxiandao is a secret method to achieve immortality or eternal youth by becoming a Taoist hermit with supernatural powers. Qin Shi Huang pursued immortality and eternal youth under the influence of Yan and Qi fangshi in coastal areas, while adopting wudezhongshishuo at the suggestion of the people of Qi. And since thi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Taoism in the Later Han Dynasty, it is also explained as an early form of Taoism.
      Both Taoist hermit and immortal Medicine, the immortal beings that the fangshi say, were located in sanshensan in the middle of Bohai. It is only from the time of King Wei, King Xuan of Qi and King Zhao of Yan that people were dispatched to sanshensan to persue immortality.
      Wenyiduo claimed that the idea of immortality had already appeared in the Qi Dynasty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not the Warring States Period, and it developed into the theory of Taoist hermit with supernatural power, but the origin of this idea was not in Qi but in the Qiang tribes of western China from which Qi derived. After the people of the Qi moved to the east with this idea, they gradually abandoned the concept of soul and changed into a concept of pure physical immortality under the influence of the indigenous idea of the land.
      On the other hand, Aoki Masaru divided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Taoist hermit with supernatural power into three stages: the first period was the legendary period before the so-called shenxianjia was established, the second period was the shenxianjia period after the establishment of shenxianjia, the third period was the Taoism period after the appearance of Taoism, and explained as a historical development stage. And as belonging to the second period, he is holding the fangxiandao of the fangshi shown in Shiji “Fengshanshu”.
      He sees that most of the data of the Taoist hermit with supernatural power remaining today are from after the establishment of Taoism, but only Liezi and Shiji “Fengshanshu” preserve old stories before that time. In particular, Liezi enumerates the dwellings of immortals the most, and there are six in all.
      This paper examines not only the records of Shiji but also the dwellings of immortals mentioned by Aoki one by one, critically examines them, and extensively examines related literature. The six tales shown in Liezi are a kind of Taoist utopia rather than a place where immortals live in a strict sense. Among them, Lieguye, Kunlunshan and wushenshan are representative shenxianxiang mentioned in other documents, but rather than their prototypes, they seem to show a slightly modified form in later gen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사기》 「봉선서」에서 처음으로 방선도를 언급하고 있는데, 이 용어는 《한서》 「교사지」에 같은 문구가 보이는 것 외에 다른 데서는 눈에 띄지 않는 단어이다. 「봉선서」에서는 조우얀(騶衍)의 오덕종시설과 방선도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이 방선도는 조우얀의 이론을 곡해 또는 왜곡하여 탄생한 것으로 설명되고 있는 것이다. 방선도란 여러 가지 방술 가운데서 특히 신선이 되어 불사 혹은 불로장생을 이루는 비법이다. 진시황은 제나라 사람들의 건의에 의해 오덕종시설을 채택함과 동시에 연・제 해변 방사들의 영향으로 불로장생을 추구하였다. 그리고 이는 후한 대에 이르러 도교가 성립하는데 커다란 영향을 끼친 것이므로, 도교의 초기형태로 설명되기도 한다.
      방사들이 말하는 불사의 존재인 선인과 불사약은 모두 발해 가운데의 삼신산에 있었다. 제의 위왕・선왕과 연의 소왕 때로부터 비로소 삼신산에 사람을 파견하여 불사(不死)를 추구하였던 것이다.
      원이두오(聞一多)는 불사 관념은 전국시대가 아니라 춘추시대의 제나라에서 이미 나타났고, 이것이 신선설로 발전하는데, 이 관념의 기원은 오히려 제나라에 있지 않고 제나라가 유래한 중국 서부의 강족(羌族)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제나라 사람이 이를 가지고서 동방으로 옮겨온 이후로는 그 땅 토착사상의 영향을 받아 점차로 영혼 관념을 버리고 순수한 육체 불사의 관념으로 변천하였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아오키 마사루(靑木正兒)는 신선설의 발달을 세 단계로 나누어, 제1기는 이른바 신선가가 성립하기 이전의 전설시대, 제2기는 신선가가 성립한 이후의 신선가시대, 제3기는 도교 발생 이후의 도교시대로 구분하여, 이를 역사적 발전단계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제2기에 속하는 것으로서 《사기》 「봉선서」에 보이는 방사들의 방선도를 들고 있는 것이다.
      그는 오늘날 남아 있는 신선설의 자료는 대개 도교가 성립된 이후의 것이지만, 그 이전의 고설(古說)을 보존하고 있는 것은 《열자》와 《사기》 「봉선서」 정도라고 본다. 특히 그 중 《열자》는 신선의 거처를 가장 많이 열거하고 있는데, 모두 여섯 가지이다.
      본고는 《사기》의 기록뿐만 아니라 아오키가 언급한 신선의 거처들을 하나하나 음미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관계 문헌을 폭넓게 고증한 것이다. 《열자》에 보이는 여섯 가지 설화는 엄밀한 의미에서 신선이 사는 곳이라기보다는 일종의 도가적 유토피아를 말한 것이다. 그 중 열고야・곤륜산・오신산 같은 것은 다른 문헌에서도 언급된 대표적 신선향이지만, 그 원형이라기보다는 후대에 다소 변형하여 기록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듯하다.
      번역하기

      《사기》 「봉선서」에서 처음으로 방선도를 언급하고 있는데, 이 용어는 《한서》 「교사지」에 같은 문구가 보이는 것 외에 다른 데서는 눈에 띄지 않는 단어이다. 「봉선서」에서는 조...

      《사기》 「봉선서」에서 처음으로 방선도를 언급하고 있는데, 이 용어는 《한서》 「교사지」에 같은 문구가 보이는 것 외에 다른 데서는 눈에 띄지 않는 단어이다. 「봉선서」에서는 조우얀(騶衍)의 오덕종시설과 방선도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이 방선도는 조우얀의 이론을 곡해 또는 왜곡하여 탄생한 것으로 설명되고 있는 것이다. 방선도란 여러 가지 방술 가운데서 특히 신선이 되어 불사 혹은 불로장생을 이루는 비법이다. 진시황은 제나라 사람들의 건의에 의해 오덕종시설을 채택함과 동시에 연・제 해변 방사들의 영향으로 불로장생을 추구하였다. 그리고 이는 후한 대에 이르러 도교가 성립하는데 커다란 영향을 끼친 것이므로, 도교의 초기형태로 설명되기도 한다.
      방사들이 말하는 불사의 존재인 선인과 불사약은 모두 발해 가운데의 삼신산에 있었다. 제의 위왕・선왕과 연의 소왕 때로부터 비로소 삼신산에 사람을 파견하여 불사(不死)를 추구하였던 것이다.
      원이두오(聞一多)는 불사 관념은 전국시대가 아니라 춘추시대의 제나라에서 이미 나타났고, 이것이 신선설로 발전하는데, 이 관념의 기원은 오히려 제나라에 있지 않고 제나라가 유래한 중국 서부의 강족(羌族)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제나라 사람이 이를 가지고서 동방으로 옮겨온 이후로는 그 땅 토착사상의 영향을 받아 점차로 영혼 관념을 버리고 순수한 육체 불사의 관념으로 변천하였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아오키 마사루(靑木正兒)는 신선설의 발달을 세 단계로 나누어, 제1기는 이른바 신선가가 성립하기 이전의 전설시대, 제2기는 신선가가 성립한 이후의 신선가시대, 제3기는 도교 발생 이후의 도교시대로 구분하여, 이를 역사적 발전단계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제2기에 속하는 것으로서 《사기》 「봉선서」에 보이는 방사들의 방선도를 들고 있는 것이다.
      그는 오늘날 남아 있는 신선설의 자료는 대개 도교가 성립된 이후의 것이지만, 그 이전의 고설(古說)을 보존하고 있는 것은 《열자》와 《사기》 「봉선서」 정도라고 본다. 특히 그 중 《열자》는 신선의 거처를 가장 많이 열거하고 있는데, 모두 여섯 가지이다.
      본고는 《사기》의 기록뿐만 아니라 아오키가 언급한 신선의 거처들을 하나하나 음미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관계 문헌을 폭넓게 고증한 것이다. 《열자》에 보이는 여섯 가지 설화는 엄밀한 의미에서 신선이 사는 곳이라기보다는 일종의 도가적 유토피아를 말한 것이다. 그 중 열고야・곤륜산・오신산 같은 것은 다른 문헌에서도 언급된 대표적 신선향이지만, 그 원형이라기보다는 후대에 다소 변형하여 기록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듯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석명, "회남자" 소명출판 2010

      2 오이환, "황로 사상의 연원" 한국중국학회 (90) : 361-385, 2019

      3 桓寬, "鹽鐵論" 世界書局 1974

      4 靑木正兒, "靑木正兒全集 제2권" 春秋社 1970

      5 靑木正兒, "靑木正兒全集 제2권" 春秋社 1970

      6 魏徵, "隋書" 中華書局 1973

      7 王充, "論衡" 世界書局 1974

      8 段玉裁, "說文解字" 藝文印書館 1974

      9 許地山, "許地山論道" 九州出版社 2006

      10 郭慶藩, "莊子集釋" 中華書局 1961

      1 이석명, "회남자" 소명출판 2010

      2 오이환, "황로 사상의 연원" 한국중국학회 (90) : 361-385, 2019

      3 桓寬, "鹽鐵論" 世界書局 1974

      4 靑木正兒, "靑木正兒全集 제2권" 春秋社 1970

      5 靑木正兒, "靑木正兒全集 제2권" 春秋社 1970

      6 魏徵, "隋書" 中華書局 1973

      7 王充, "論衡" 世界書局 1974

      8 段玉裁, "說文解字" 藝文印書館 1974

      9 許地山, "許地山論道" 九州出版社 2006

      10 郭慶藩, "莊子集釋" 中華書局 1961

      11 王先謙, "莊子集解" 世界書局 1974

      12 聞一多, "聞一多全集 新增訂本 1" 南通圖書公司出版部

      13 郭璞, "穆天子傳" 大化書局 1983

      14 "爾雅" 藝文印書館 1973

      15 班固, "漢書" 中華書局 1962

      16 高誘, "淮南子" 世界書局 1974

      17 "毛詩正義" 藝文印書館 1973

      18 洪興祖, "楚辭補注" 藝文印書館 1973

      19 陸賈, "新語" 世界書局 1974

      20 王嘉, "拾遺記" 大化書局 1983

      21 郝懿行, "山海經箋疏" 藝文印書館 1974

      22 司馬遷, "史記" 中華書局 1975

      23 楊伯峻, "列子集釋" 中華書局 1979

      24 張湛, "列子注" 世界書局 1974

      25 日原利國, "中國思想辭典" 硏文出版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