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백산학보』 55년의 성과와 과제 = The Paek-San Hakpo, 55 Years of Achievement and Tas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70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ek-San Hakpo, whose first issue was published on December 15, 1966, is one of the journals with the longest tradition in the field of historical studies and also holds high reputation for its academic achievements. The achievements of The Paek-S...

      The Paek-San Hakpo, whose first issue was published on December 15, 1966, is one of the journals with the longest tradition in the field of historical studies and also holds high reputation for its academic achievements. The achievements of The Paek-San Hakpo are indispensable to understanding the academic history of the historical studies circles in South Korea and show some of its aspects.
      The Paek-San Hakpo is a comprehensive journal in the field of historical studies. One of its characteristics is its main topics including ancient history, northern territorial history, and territorial issues compared with similar journals in each field. It is also characterized by its strong interdisciplinary nature in the field of archeology as well as historical studies.
      The Paek-San Hakpo was created by resonating with the task of the times, which was to criticize and overcome colonial historical studies, in the historical studies circles of South Korea in the 1960s.
      Generally, it had a strong nationalist tendency, but it looked out for the nationalist perceptions of history in a section of society and tried to maintain its academic exactness. As a consequence, it contributed to the external extension of South Korea's historical studies circles to the history and culture of East Asia and the grassy plain of Eurasia neglected by the circles.
      As it is clear in the "Recollections and Prospects" of Yoksa Hakbo, The Paek-San Hakpo has continued to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academic circles with a certain proportion of its papers and sought after new topics according to special feature plans across various topics. In recent years, it is especially focusing on local history and public history, seeking the combined growth of many different academic fields. There are expectations for its future grow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66년 12월 15일 창간된 『백산학보』는 역사학 분야에서 가장 유구한 전통을 가진 학술지의하나이다. 학술적인 성과 면에서 역시 명성이 높다. 그러므로 『백산학보』의 성과는 한국 역사학...

      1966년 12월 15일 창간된 『백산학보』는 역사학 분야에서 가장 유구한 전통을 가진 학술지의하나이다. 학술적인 성과 면에서 역시 명성이 높다. 그러므로 『백산학보』의 성과는 한국 역사학계의 학술사를 이해하는 데 빠질 수 없으며 그의 일면을 보여준다. 『백산학보』는 역사학 분야의 종합학술지에 속하는데, 각 분야의 유사 학술지와 비교해 고대사ㆍ북방사ㆍ영역 문제를 주된 주제로삼았다는 점에서 하나의 특징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역사학뿐만 아니라 고고학 분야의 학제적 성격이 강하였다는 점에서 또 하나의 특징을 찾을 수 있다. 『백산학보』는 식민주의 역사학 비판ㆍ극복이란 1960년대 한국 역사학계의 시대적 과제에 공명하면서 창간되었다. 대체로 민족주의적 성향이 강하였지만, 사회 일각의 국수주의적 역사인식을 경계하였고, 학문적 엄정성을 유지하고자하였다. 그 결과 한국 역사학계에서 소외된 동아시아 내지 유라시아 초원지대의 역사와 문화로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게 하는 데 기여하였다. 『역사학보』의 「회고와 전망」을 통해 알 수 있듯 대체로 일정 비율 이상의 논문이 꾸준히 학계의 관심을 받아왔으며, 다양한 주제의 특집을 기획하면서새로운 주제를 모색해 왔다. 특히 최근 들어 지역사와 공공역사에 주목하며 여러 분야의 학문을아울러 성장을 모색 중이다. 향후의 성장이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겸, "확대되는 한국고대사, 2005년 회고와 전망" 역사학회 (191) : 21-61, 2006

      2 신주백, "한국 역사학의 기원 -근현대 역사학의 제도ㆍ주체ㆍ인식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휴머니스트 2016

      3 "한계레신문"

      4 장덕현, "학술지 평가정책에 관한 고찰 - 학술진흥재단의 학술지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5 (35): 359-376, 2004

      5 허영란, "지방사를 넘어, 지역사로의 전환 -한국 근대 지역사 연구의 현황과 새로운 모색-" 역사문화학회 20 (20): 347-381, 2017

      6 조영광, "중국 학계의 東北 東夷 연구 현황과 쟁점" 한국사학회 (134) : 5-38, 2019

      7 "조선일보"

      8 김창석, "자료 공유의 경험과 연구 영역의 확장" 역사학회 (227) : 23-48, 2015

      9 박대재, "우리시대의 한국 고대사 1" 주류성 2017

      10 "연합뉴스"

      1 김창겸, "확대되는 한국고대사, 2005년 회고와 전망" 역사학회 (191) : 21-61, 2006

      2 신주백, "한국 역사학의 기원 -근현대 역사학의 제도ㆍ주체ㆍ인식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휴머니스트 2016

      3 "한계레신문"

      4 장덕현, "학술지 평가정책에 관한 고찰 - 학술진흥재단의 학술지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5 (35): 359-376, 2004

      5 허영란, "지방사를 넘어, 지역사로의 전환 -한국 근대 지역사 연구의 현황과 새로운 모색-" 역사문화학회 20 (20): 347-381, 2017

      6 조영광, "중국 학계의 東北 東夷 연구 현황과 쟁점" 한국사학회 (134) : 5-38, 2019

      7 "조선일보"

      8 김창석, "자료 공유의 경험과 연구 영역의 확장" 역사학회 (227) : 23-48, 2015

      9 박대재, "우리시대의 한국 고대사 1" 주류성 2017

      10 "연합뉴스"

      11 김범철, "연구시각과 초점의 미세한 전이" 역사학회 (207) : 295-308, 2010

      12 이청규, "선사시대의 생계전략과 사회구조의 변천" 역사학회 (223) : 373-392, 2014

      13 동북아역사재단 한중관계연구소, "산동 지역의 동이" 역사공간 2018

      14 전호태, "밖으로부터 시작된 위기와기회, 2004년의 한국고대사연구" 역사학회 (187) : 11-28, 2005

      15 "동아일보"

      16 동북아역사재단, "동북공정 이후 현황과 동북아 역사 문제" 동북아역사재단 2020

      17 이성규, "김상기" 一潮閣 31 : 2002

      18 윤종영, "국사교과서 파동" 혜안 1999

      19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공공역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20

      20 조인성, "고대사 연구의 성과" 역사학회 (195) : 15-37, 2007

      21 "경향신문"

      22 李弘稙, "高句麗 遺蹟 調査의 歷程" 1 : 1966

      23 金庠基, "韓濊貊移動考" 1 : 1948

      24 李基白, "韓國史講座 1-古代篇-" 一潮閣 1982

      25 金元龍, "考古學" 49 : 1971

      26 裵基同, "考古學" 152 : 1996

      27 崔夢龍, "考古學" 128 : 1990

      28 金貞培, "考古學" 60 : 1973

      29 李佑成, "總說" 39 : 1968

      30 金庠基, "百濟의 遼西經略에 對하여" 3 : 1967

      31 劉鳳榮, "白頭山定界碑와 間島問題" 13 : 1972

      32 劉鳳榮, "王朝實錄에 나타난 李朝前期의 野人" 14 : 1973

      33 李基白, "溫達傳의 檢討" 3 : 1967

      34 李丙燾, "洪景來亂과 定州城圖" 3 : 1967

      35 金庠基, "東方史論叢" 서울大學校出版部 1974

      36 金庠基, "東夷와 淮夷ㆍ西戎에 對하여" 1ㆍ2 : 1954

      37 趙仁成, "國粹主義史學과 현대의 한국사학 -古朝鮮史를 중심으로-" 一潮閣 20 : 1997

      38 崔柄憲, "古代" 84 : 1979

      39 李泳鎬, "古代" 179 : 2003

      40 邊太燮, "古代" 44 : 1969

      41 徐永大, "古代" 152 : 1996

      42 梁起錫, "古代" 167 : 2000

      43 李基東, "古代" 72 : 1976

      44 李基東, "古代" 104 : 1984

      45 李基白, "古代" 49 : 1971

      46 閔賢九, "古代" 60 : 1973

      47 趙法鍾, "古代" 175 : 2002

      48 全德在, "古代" 171 : 2001

      49 林起煥, "古代" 183 : 2004

      50 李鍾旭, "古代" 116 : 1987

      51 崔光植, "古代" 159 : 1998

      52 李文基, "古代" 163 : 1999

      53 金庠基, "創刊辭" 1 : 1966

      54 劉鳳榮, "上古史에 對한 나의 見解" 16 : 1974

      55 全海宗, "丁卯胡亂時의 後金軍의 撤兵經緯" 2 : 1967

      56 洪以燮, "『滿洲源流考』論" 1 : 1966

      57 조인성, "‘고대사파동’과 식민주의 사학의 망령" 역사문제연구소 (118) : 10-39, 2017

      58 조인성, "‘고대사 파동’과 고조선 역사지도" 한국사연구회 (172) : 1-33, 2016

      59 여호규, "2009~2010년 한국고대사 연구동향: 잇따른 신자료 출현과 새로운 한국고대사상의 모색" 역사학회 (211) : 5-44,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59 1.72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