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년 이상 장기결혼을 유지하고 있는 기혼남녀가 지각한 부부애착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부애착과 결혼안정성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03812
2023
-
부부애착 ; 정서표현 ; 결혼안정성 ; t-검증 ; F-검증 ; 중다회귀분석 ; marital attachment ; emotional expression ; marital stability
373
KCI등재
학술저널
221-236(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년 이상 장기결혼을 유지하고 있는 기혼남녀가 지각한 부부애착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부애착과 결혼안정성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년 이상 장기결혼을 유지하고 있는 기혼남녀가 지각한 부부애착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부애착과 결혼안정성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의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기혼남녀가 결혼생활을 지속하려는 요인이 되는 결혼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기혼 남자 149명, 여자 205명이며2022년 10월~12월까지 자기보고식 설문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고,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해 Chonbach, a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빈도, 백분율, 차이검증을 위해 t-검증과 F-검증을 하였는데 사후 검증으로 Duncan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상대적 영향력과 매개효과를 알아오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차이 검증에서 결혼안정성과 부부애착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부부애착과 정서표현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결혼안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회피애착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부애착과 결혼안정성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은 독립변인으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기혼남녀의 결혼안정성 향상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등 상담현장에서 필요한 실질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arital attachment on marriage stability in the recog-nition of married for more than 20 years and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arital attachment on marriage stability in the recog-nition of married for more than 20 years and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attachment and marriage stability to find ways how to improve.
Methods Marriage stability to be one of factor to continue their marriage relationship among married men and wom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49 married male and 205 married female and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marriage stabillit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depending on religion,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marital attach-ment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marriage stavility. And avoidance attach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tion on marriage stabillity. Finally,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significant as a independent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attachment and marriage stability,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it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and practical data in the field of counseling for program development and education etc to improve marriage stabil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스캐폴딩 기반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예비교사의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