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장애아동어머니를 위한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02746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7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62.7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161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박부진
        참고문헌: p.113-122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end to get mental difficulties because the mother should perform their duties to not only children's general wants but also other duties caused by particular character of handicapped Child.
      So, the mother feels the stress of bringing up children, troubles due to passive relationship, economic burden with educational remedy for her child, responsibility and anxiety about handicapped Child's future. Owing to this, She lost confidence, feels uneasy and get melancholia as parents.
      Therefore, social interest and interventional program for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more and more needed.
      A book is a useful tool to help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ending to fall into subjective thought, take an objective view and to treat problems such as a handicap.
      The bibliotherapy with such books seems to be able to express frustration and psychological trouble in the process, purify the emotion, supply insight of their behavior, find the solution and reduce the various stress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bibliotherapy helps people to get out of worries and anxieties themselves through comparing their problems with others, comforting their own inner wound. and the bibliotherapy leads affirmative and constructive thoughts, get the pessimistic thought away, make their behavior change in interaction with others, so promote effective and safety relationship.
      As the bibliotherapy could reduce the emotional, mental stress so that get mental composure, the reading remedy would be effective for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mental difficulties, anxieties, melancholies and low self-respect. The counselors in the past adhere to single approach, however, they are on combinational and eclectic position now. A Integrative counsel remedy is a method, that has no attachment to a theory of certain school, has a view from different angle, and examine things that can provide the profit between a good point of that school and application people. For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integrative counsel remedy would help them to solve various psychological problems they have. The Bibliotherapy has a character that combine well with other counsel because it includes whole process of accommodation, management, expression of information.
      Use the integrative skills through the mass with medical elements: music, art, story, writing. and want to develop combined reading remedy program.
      Therefore the aim of this research is below.
      First, Get a point what mental difficulties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eels as a matter of fact.
      Second, Develop the integrative bibliotherapy program for mental difficulties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rd, Practice that the integrative bibliotherapy program for the mothe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o examine its effect of that program.
      For the achievement of the first research's object, I have interviewed each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the result of that, summarized mental difficulties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to three things. the first one is the stress. second, anxieties and depression. third, low self-respect.
      For the achievement of the second research's object,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first research, develop the bibliotherapy program by combining various counsel theories and skills based on the 5 course of the bibliotherapy process suggested by Bath Doll & Caroll Dol(1997).
      Set a goal of each time, use the integrative skills through the various mass with medical elements: music, art, story, writing, at the introduction, the center, further activity. and practice the integrative bibliotherapy program in order to see affirmative changes in three problems from the interview.
      In choosing a book for the integrative bibliotherapy, select the book with two experts in bibliotherapy, and after a preparatory program, develop this program through consulting an expert about the results got from an effect of program and program evaluation, and revising.
      In order to verify an effect of the integrative bibliotherapy, practice this program to 24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attending to combined handicapped children's house placed at Seoul, In order to verify an effect of this program, divide the mothers into two groups as a research group and a controlled group.
      After the integrative bibliotherapy program begins, a summary of program effect is below.
      The stress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 research group is reduced after the program. Observing carefully the results by under factors, psychological stress, social stress and physical stress have reduce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economic stress and educational stress.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in whole stress statistically. So the stress of a research group has been reduced after the program.
      Anxiety and depression have also been reduced after the program.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low self-respect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fore We can see that integrative bibliotherapy program is effective to the stress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research seems to be able to offer basic material to development of various bibliotherapy program for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fact that an researcher investigates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erform the content analysis of a group in the internal situation that has no case such as practicing integrative bibliotherapy to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 see that this research has significant meanings as this research connect to the bibliotherapy program for the adult, and contribute to preventive program for their psychological problems
      번역하기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end to get mental difficulties because the mother should perform their duties to not only children's general wants but also other duties caused by particular character of handicapped Child. So, the mother feels ...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end to get mental difficulties because the mother should perform their duties to not only children's general wants but also other duties caused by particular character of handicapped Child.
      So, the mother feels the stress of bringing up children, troubles due to passive relationship, economic burden with educational remedy for her child, responsibility and anxiety about handicapped Child's future. Owing to this, She lost confidence, feels uneasy and get melancholia as parents.
      Therefore, social interest and interventional program for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more and more needed.
      A book is a useful tool to help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ending to fall into subjective thought, take an objective view and to treat problems such as a handicap.
      The bibliotherapy with such books seems to be able to express frustration and psychological trouble in the process, purify the emotion, supply insight of their behavior, find the solution and reduce the various stress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bibliotherapy helps people to get out of worries and anxieties themselves through comparing their problems with others, comforting their own inner wound. and the bibliotherapy leads affirmative and constructive thoughts, get the pessimistic thought away, make their behavior change in interaction with others, so promote effective and safety relationship.
      As the bibliotherapy could reduce the emotional, mental stress so that get mental composure, the reading remedy would be effective for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mental difficulties, anxieties, melancholies and low self-respect. The counselors in the past adhere to single approach, however, they are on combinational and eclectic position now. A Integrative counsel remedy is a method, that has no attachment to a theory of certain school, has a view from different angle, and examine things that can provide the profit between a good point of that school and application people. For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integrative counsel remedy would help them to solve various psychological problems they have. The Bibliotherapy has a character that combine well with other counsel because it includes whole process of accommodation, management, expression of information.
      Use the integrative skills through the mass with medical elements: music, art, story, writing. and want to develop combined reading remedy program.
      Therefore the aim of this research is below.
      First, Get a point what mental difficulties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eels as a matter of fact.
      Second, Develop the integrative bibliotherapy program for mental difficulties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rd, Practice that the integrative bibliotherapy program for the mothe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o examine its effect of that program.
      For the achievement of the first research's object, I have interviewed each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the result of that, summarized mental difficulties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to three things. the first one is the stress. second, anxieties and depression. third, low self-respect.
      For the achievement of the second research's object,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first research, develop the bibliotherapy program by combining various counsel theories and skills based on the 5 course of the bibliotherapy process suggested by Bath Doll & Caroll Dol(1997).
      Set a goal of each time, use the integrative skills through the various mass with medical elements: music, art, story, writing, at the introduction, the center, further activity. and practice the integrative bibliotherapy program in order to see affirmative changes in three problems from the interview.
      In choosing a book for the integrative bibliotherapy, select the book with two experts in bibliotherapy, and after a preparatory program, develop this program through consulting an expert about the results got from an effect of program and program evaluation, and revising.
      In order to verify an effect of the integrative bibliotherapy, practice this program to 24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attending to combined handicapped children's house placed at Seoul, In order to verify an effect of this program, divide the mothers into two groups as a research group and a controlled group.
      After the integrative bibliotherapy program begins, a summary of program effect is below.
      The stress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 research group is reduced after the program. Observing carefully the results by under factors, psychological stress, social stress and physical stress have reduce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economic stress and educational stress.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in whole stress statistically. So the stress of a research group has been reduced after the program.
      Anxiety and depression have also been reduced after the program.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low self-respect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fore We can see that integrative bibliotherapy program is effective to the stress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research seems to be able to offer basic material to development of various bibliotherapy program for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fact that an researcher investigates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erform the content analysis of a group in the internal situation that has no case such as practicing integrative bibliotherapy to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 see that this research has significant meanings as this research connect to the bibliotherapy program for the adult, and contribute to preventive program for their psychological proble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장애아동 어머니는 아동의 기본적인 욕구 외에 장애아동의 특수성으로 인해 또 다른 역할을 감당해야 하기에 심리적 어려움을 갖게 된다. 즉, 양육에서 오는 스트레스, 어머니의 소극적 대인관계로 인한 갈등, 아동의 교육 치료와 관련한 경제적 부담감, 장애아동의 장래에 대한 염려와 책임감 등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이로 인하여 부모로서 자신감이 결여되고 불안 정도가 높으며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문제점이 나타난다. 따라서 장애아동 어머니를 위한 사회적 관심 및 중재 프로그램의 요구가 더욱 절실하다고 하겠다.
      책은 심리적 어려움으로 주관적 생각에 빠지기 쉬운 장애아동어머니들에게 현실을 객관적으로 바라 볼 수 있게 해 주고 장애와 같은 문제를 다루기에 용이한 도구이다. 이러한 책을 매개로 한 독서치료는 치료의 과정에 욕구불만이나 심리적 갈등을 표현할 수 있어 감정정화가 가능하고 치료대상자에게 자신의 행위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여 해결책을 찾을 수 있게 해 주는 방법이 되며 또한 장애아동어머니들이 호소하는 다양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보아진다.
      독서치료는 자신의 문제를 다른 사람의 문제와 비교하게 하며 자신의 내면의 상처를 위안받을 수 있어 걱정과 불안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생각을 유도하여 부정적이고 염세적인 생각을 떨칠 수 있고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는데 태도변화를 줄 수 있어 효과적이고 안전한 관계촉진을 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서적, 정신적 압박감을 완화시켜 즐거움과 심적 안정을 찾을 수 있다는 점들로 미루어 독서치료는 장애아동어머니들의 심리적 어려움 외에 불안 및 우울 그리고 낮은 자존감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과거의 상담자들은 단일 접근만을 고수했는데 현재는 통합적이고 절충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상담치료의 통합은 한 학파의 이론에 집착하기 보다는 다른 각도에서 조망하여 그 학파의 장점과 내담자 사이에 이익을 줄 수 있는 점들을 검토하여 시도하는 방법이다. 장애아동어머니들에게 통합적인 치료방법은 그들이 안고 있는 다양한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기에 좀 더 용이하리라 보아진다. 독서치료는 정보를 수용ㆍ처리ㆍ표현하는 전체 과정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상담과 잘 연합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음악, 미술, 이야기, 글쓰기 등 치료적요소를 지닌 매체를 활용한 통합적인 기법을 구사하여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어머니들이 현실적으로 안고 있는 직접적인 심리적 어려움이 무엇인지 파악한다.
      둘째, 장애아동어머니들의 심리적 어려움을 위한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셋째, 장애아동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첫번째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장애아동어머니들과 개별 면접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장애아동어머니들의 심리적 어려움을 세 가지로 축약하였다. 첫째, 스트레스 둘째, 불안과 우울 셋째, 낮은 자존감으로 구분하였다.
      두번째 연구 목적을 위하여 첫 번째 연구결과를 토대로 Bath Doll & Caroll Doll(1997) 이 제안하는 독서치료 과정 5단계에 근거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도입, 중심, 추후활동 등에서는 각 회기의 목표를 설정한 후 독서치료 외에 음악, 미술, 이야기, 글쓰기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기법들을 통합하여 접목시켰다. 그리고 심층면접에서 파악한 세 가지 문제점의 긍정적인 변화를 보고자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독서치료에 활용할 책을 선정함에 있어 독서치료 전문가 2인과 함께 선별하여 결정하였고 예비 프로그램 실시 후 프로그램의 효과와 프로그램 평가지 등을 통해 얻은 결과를 가지고 전문가와 의논하여 수정보완을 거친 후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서울시에 위치한 장애아 통합 어린이집에 다니는 24명의 취학 전 아동의 어머니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했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대상의 어머니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장애아동어머니들의 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 결과를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심리적 스트레스와 사회적 스트레스, 신체적 스트레스는 감소하였지만 경제적 스트레스와 교육적 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전체 스트레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프로그램 실시 후 불안과 우울의 감소에도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장애아동어머니들의 낮은 자존감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어머니들의 스트레스, 불안과 우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통합적 독서치료를 장애아동어머니들을 표적 집단으로 하여 실시된 모형 연구에 대한 선례가 없는 국내 상황에서 연구자가 장애아동어머니의 심리적 어려움의 요구도를 조사하고 그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과 집단원의 활동 내용 분석이 이루어진 점은 앞으로 장애아동어머니들을 위한 다양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보아진다. 또한 성인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으로 연결되어짐과 그들의 심리적 문제를 위한 예방적 프로그램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번역하기

      장애아동 어머니는 아동의 기본적인 욕구 외에 장애아동의 특수성으로 인해 또 다른 역할을 감당해야 하기에 심리적 어려움을 갖게 된다. 즉, 양육에서 오는 스트레스, 어머니의 소극적 대...

      장애아동 어머니는 아동의 기본적인 욕구 외에 장애아동의 특수성으로 인해 또 다른 역할을 감당해야 하기에 심리적 어려움을 갖게 된다. 즉, 양육에서 오는 스트레스, 어머니의 소극적 대인관계로 인한 갈등, 아동의 교육 치료와 관련한 경제적 부담감, 장애아동의 장래에 대한 염려와 책임감 등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이로 인하여 부모로서 자신감이 결여되고 불안 정도가 높으며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문제점이 나타난다. 따라서 장애아동 어머니를 위한 사회적 관심 및 중재 프로그램의 요구가 더욱 절실하다고 하겠다.
      책은 심리적 어려움으로 주관적 생각에 빠지기 쉬운 장애아동어머니들에게 현실을 객관적으로 바라 볼 수 있게 해 주고 장애와 같은 문제를 다루기에 용이한 도구이다. 이러한 책을 매개로 한 독서치료는 치료의 과정에 욕구불만이나 심리적 갈등을 표현할 수 있어 감정정화가 가능하고 치료대상자에게 자신의 행위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여 해결책을 찾을 수 있게 해 주는 방법이 되며 또한 장애아동어머니들이 호소하는 다양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보아진다.
      독서치료는 자신의 문제를 다른 사람의 문제와 비교하게 하며 자신의 내면의 상처를 위안받을 수 있어 걱정과 불안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생각을 유도하여 부정적이고 염세적인 생각을 떨칠 수 있고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는데 태도변화를 줄 수 있어 효과적이고 안전한 관계촉진을 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서적, 정신적 압박감을 완화시켜 즐거움과 심적 안정을 찾을 수 있다는 점들로 미루어 독서치료는 장애아동어머니들의 심리적 어려움 외에 불안 및 우울 그리고 낮은 자존감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과거의 상담자들은 단일 접근만을 고수했는데 현재는 통합적이고 절충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상담치료의 통합은 한 학파의 이론에 집착하기 보다는 다른 각도에서 조망하여 그 학파의 장점과 내담자 사이에 이익을 줄 수 있는 점들을 검토하여 시도하는 방법이다. 장애아동어머니들에게 통합적인 치료방법은 그들이 안고 있는 다양한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기에 좀 더 용이하리라 보아진다. 독서치료는 정보를 수용ㆍ처리ㆍ표현하는 전체 과정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상담과 잘 연합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음악, 미술, 이야기, 글쓰기 등 치료적요소를 지닌 매체를 활용한 통합적인 기법을 구사하여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어머니들이 현실적으로 안고 있는 직접적인 심리적 어려움이 무엇인지 파악한다.
      둘째, 장애아동어머니들의 심리적 어려움을 위한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셋째, 장애아동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첫번째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장애아동어머니들과 개별 면접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장애아동어머니들의 심리적 어려움을 세 가지로 축약하였다. 첫째, 스트레스 둘째, 불안과 우울 셋째, 낮은 자존감으로 구분하였다.
      두번째 연구 목적을 위하여 첫 번째 연구결과를 토대로 Bath Doll & Caroll Doll(1997) 이 제안하는 독서치료 과정 5단계에 근거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도입, 중심, 추후활동 등에서는 각 회기의 목표를 설정한 후 독서치료 외에 음악, 미술, 이야기, 글쓰기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기법들을 통합하여 접목시켰다. 그리고 심층면접에서 파악한 세 가지 문제점의 긍정적인 변화를 보고자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독서치료에 활용할 책을 선정함에 있어 독서치료 전문가 2인과 함께 선별하여 결정하였고 예비 프로그램 실시 후 프로그램의 효과와 프로그램 평가지 등을 통해 얻은 결과를 가지고 전문가와 의논하여 수정보완을 거친 후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서울시에 위치한 장애아 통합 어린이집에 다니는 24명의 취학 전 아동의 어머니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했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대상의 어머니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장애아동어머니들의 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 결과를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심리적 스트레스와 사회적 스트레스, 신체적 스트레스는 감소하였지만 경제적 스트레스와 교육적 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전체 스트레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프로그램 실시 후 불안과 우울의 감소에도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장애아동어머니들의 낮은 자존감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어머니들의 스트레스, 불안과 우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통합적 독서치료를 장애아동어머니들을 표적 집단으로 하여 실시된 모형 연구에 대한 선례가 없는 국내 상황에서 연구자가 장애아동어머니의 심리적 어려움의 요구도를 조사하고 그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과 집단원의 활동 내용 분석이 이루어진 점은 앞으로 장애아동어머니들을 위한 다양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보아진다. 또한 성인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으로 연결되어짐과 그들의 심리적 문제를 위한 예방적 프로그램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고찰 = 5
      • 1. 장애아동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 5
      • 1) 장애아동어머니의 일반적 어려움 = 9
      • 2) 스트레스 = 9
      •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고찰 = 5
      • 1. 장애아동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 5
      • 1) 장애아동어머니의 일반적 어려움 = 9
      • 2) 스트레스 = 9
      • (1) 경제적 및 교육적 스트레스 = 10
      • (2) 사회적 스트레스 = 12
      • (3) 신체적 스트레스 = 13
      • (4) 부부관계 스트레스 = 14
      • 3) 불안 및 우울 = 16
      • (1) 불안 = 16
      • (2) 우울 = 17
      • 4) 자존감 = 19
      • 2. 통합적 독서치료 = 20
      • 1) 독서치료 이론 = 20
      • (1) 독서치료의 개념 = 20
      • (2) 독서치료의 목적 = 22
      • (3) 독서치료의 원리 = 23
      • (4) 독서치료 과정 = 25
      • 2) 매체를 활용한 통합적 독서치료의 과정 및 방법 = 28
      • 3) 통합적 독서치료의 효과 = 33
      • 3. 장애아동어머니를 위한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 = 35
      • 1) 장애아동어머니를 위한 집단 상담프로그램 = 35
      • (1) 장애아동어머니와 집단상담 = 35
      • (2) 장애아동어머니를 위한 집단상담의 치료적 요인 및 역동 = 38
      • 2) 장애아동어머니를 위한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 = 41
      •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 44
      • 1. 연구문제 = 44
      • 2. 용어정의 = 45
      • Ⅳ. 연구방법 = 47
      • 1. 장애아동어머니의 심리적 어려움을 파악하기 위한 심층면접 = 47
      • 1) 연구대상 = 47
      • 2) 심층면접 절차 및 내용 = 48
      • 3) 자료처리 = 49
      • 2.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 = 49
      • 1) 장애아동어머니를 위한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 49
      • (1) 프로그램의 목적 = 49
      • (2) 프로그램 개발 과정 = 51
      • (3) 프로그램의 구성 = 55
      • (4) 프로그램의 내용 = 61
      • 2) 장애아동어머니를 위한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 74
      • (1) 연구대상 = 74
      • (2) 연구 설계 = 76
      • (3) 연구절차 = 77
      • (4) 측정도구 = 77
      • (5) 자료처리 = 80
      • Ⅴ. 연구결과 = 81
      • 1. 장애아동어머니의 심리적 어려움 = 81
      • 1) 장애아동어머니의 일반적 어려움 = 81
      • 2) 스트레스 = 82
      • (1) 경제적 스트레스 = 82
      • (2) 사회적 스트레스 = 83
      • (3) 신체적 스트레스 = 84
      • (4) 교육적 스트레스 = 85
      • (5) 부부관계 스트레스 = 85
      • 3) 불안 및 우울 = 87
      • (1) 불안 = 87
      • (2) 우울 = 88
      • 4) 자존감 = 90
      • 2.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 91
      • 1)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 92
      •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스트레스 사전검사 비교 = 92
      • (2) 스트레스의 사전-사후검사 비교 = 92
      • (3) 스트레스 감소에 대한 질적 분석 = 95
      • 2)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99
      •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불안 및 우울 사전검사 비교 = 99
      • (2) 불안 및 우울의 사전 사후검사 비교 = 99
      • (3) 불안 및 우울의 감소에 대한 질적 분석 = 102
      • 3) 통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 104
      •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존감 사전검사 비교 = 104
      • (2) 자존감의 사전 사후검사 비교 = 104
      • (3) 자존감 향상에 대한 질적 분석 = 105
      • Ⅵ. 결론 및 논의 = 107
      • 참고문헌 = 113
      • ABSTRACT = 123
      • 부록 = 12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