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전국의 산재근로자들의 심리적 상태와 행동유형을 조사하여 심리정서적 지원이 재활단계에서 반드시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산재근로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내러 티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55197
2013
Korean
359
학술저널
1-15(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국의 산재근로자들의 심리적 상태와 행동유형을 조사하여 심리정서적 지원이 재활단계에서 반드시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산재근로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내러 티브...
본 연구는 전국의 산재근로자들의 심리적 상태와 행동유형을 조사하여 심리정서적 지원이 재활단계에서 반드시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산재근로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내러 티브 면담을 통해 살펴본 결과 재활과정에서 나타나는 행동유형은 자아성취형, 규범순응형, 불평형, 의존형, 투사형 등 5개의 유형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들은 갑자기 닥친 재해가 큰 충격으로 작용하여 자신의 감정도 아직 이해하기 어려운 상태였다. 산재근로자들의 공통 적인 심리상태는 가능한 미래를 예측하고 싶다, 경험을 이야기 하고 싶다, 인간적으로 존중 받고 싶다, 심리적 고통을 나누고 싶다, 가족의 이해를 받고 싶다,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싶지 않다 등이었는데, 이는 현실적인 문제해결을 원한다기 보다는 정서적인 지지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직장으로의 복귀를 막연히 희망하면서 현재의 불안을 안고 있는 산재근로자들에게 는 반드시 심리적 안정이 수반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심리상담사가 지원되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지역 보건의료 서비스 개선을 위한 보건소 기능 재정립에 관한 실증 연구